소개글
"TV 프로그램이나 기타 여러 미디어 콘텐츠에서 발견한(혹은 본인이 주변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외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포착하고 이를 기술한 다음 이것이 어떤 원인에 의한 오류인지 나름대로의 분석을 가하여 써 보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
2.1. 오류 유형과 사례
2.1.1. 발음 오류
2.1.2. 어휘 오류
2.1.3. 문법 오류
2.1.4. 기타 오류
2.2. 오류 원인 분석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개선 방안
3.1.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변화
3.2. 한국어 습득의 어려움
3.2.1. 높임 표현
3.2.2. 언어의 특성
3.3.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문화와 상호작용의 핵심 요소로서,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사용할 때, 언어 오류가 흔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류는 언어 학습과 활용의 과정에서 중요한 흔적을 남긴다. 이 레포트는 TV 프로그램에서 발견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언어 오류를 분석하고, 해당 오류의 원인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돕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
2.1. 오류 유형과 사례
2.1.1. 발음 오류
한국어 발음 오류의 주요 원인은 모국어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자신의 모국어 발음 체계와 한국어의 발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구사하기 어려워한다. 예를 들어, 한 외국인 학습자가 "사과"를 "사꽈"로 발음한 것은 모국어인 언어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 발음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고 한국어를 배운 학습자들은 주변에서 올바른 발음 모델을 듣지 못하면서 오류를 만들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발음 오류는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 습관과 한국어 발음 체계의 차이, 그리고 충분한 발음 연습 기회의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1.2. 어휘 오류
어휘 오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겪는 오류 중 하나이다. 어휘 오류는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모르거나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한 외국인 학습자가 "사과"를 "사꽈"로 발음한 것은 발음 연습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언어 환경의 영향도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 발음 연습을 하지 않고 한국어를 배운 학습자들은 주변 환경에서 올바른 발음 모델을 듣지 못하면서 오류를 만들기 쉽다.
또 다른 예로, 어휘 선택의 오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자신의 모국어에서 나온 어휘와 구문을 한국어로 번역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한 외국인이 한국어 대화 중 "오늘 나는 너무 지루한"이라고 말한 것을 들었는데, 이는 부정형 형용사와 부정형 동사의 혼란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어휘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 수준, 언어 환경, 모국어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서는 어휘 오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2.1.3. 문법 오류
문법 오류는 언어를 구사하는데 필요한 모든 규칙, 정보의 집합 또는 언어의 문법현상이 기술상 나타나는 오류를 말한다.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저지르는 문법 오류의 대표적인 예가 잘못된 조사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주격조사의 경우 '이'와 '가'의 차이를 모르고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나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문맥과 맞지 않는 품사를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어휘의 존댓말 오류, 어순 오류가 있으며, 그 밖에 올바른 문법형태소 사용보다는 소통을 위해 의미 전달에만 중점을 두고 문장을 생성할 때 발생하는 경우 일정한 형태를 사용하지 못해 누락된 불필요한 형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네스 카야'는 "오늘따라 터키가 비가 오니깐 자기가 너무 많이 보고 싶다. 거기 서울도 비와?"라고 말하면서 조사 사용의 오류를 보였다. 또한 '파티 푸스쿨루'는 "사람들 이제 외국인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니까 딱"이라고 말하면서 주어...
참고 자료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교안
서상규 외,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교육』, 13, 국제한국어교육 학회, 2002, pp.127~156.
이정희, 「한국어 오류 판정과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3,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002, pp.175~197.
‘미녀들의 수다’ 2007년 11월 26일 방송
‘미남들의 수다’ 2007년 9월 24일 방송
참고 키워드(서양권 한국어), 공식 사이트(FSI 블로그)
https://www.fsi-language-courses.org/blog/fsi-language-difficulty/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한국어교육론1』, 조항록, 국제한국어교육학회(편), 한국문화사, 2005
강승혜, 『한국어교육 60년을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의 변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제56집, 2020년 2월, p. 1-26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20034062&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D%95%9C%EA%B5%AD%EC%96%B4%EA%B5%90%EC%9C%A1+60%EB%85%84%EC%9D%84+%ED%86%B5%ED%95%B4+%EB%B3%B8+%ED%95%9C%EA%B5%AD%EC%96%B4+%ED%95%99%EC%8A%B5%EC%9E%90%EC%9D%98+%EB%B3%80%EC%B2%9C%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1&totalSizeByMenu=1&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tru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D%95%9C%EA%B5%AD%EC%96%B4%EA%B5%90%EC%9C%A1+60%EB%85%84%EC%9D%84+%ED%86%B5%ED%95%B4+%EB%B3%B8+%ED%95%9C%EA%B5%AD%EC%96%B4+%ED%95%99%EC%8A%B5%EC%9E%90%EC%9D%98+%EB%B3%80%EC%B2%9C
박덕유, 『학교문법론의 이해』, 역락, 2012
박미숙·오영훈, 『외국인 유학생이 경허하는 한국어 높임표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2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