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낭암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2.1. 담낭암의 정의
2.2. 담낭암의 원인
2.3. 담낭암의 병태생리
2.4. 담낭암의 증상
2.5. 담낭암의 진단
2.5.1. 초음파검사
2.5.2. 전산화단층촬영(CT)
2.5.3. 자기공명영상촬영(MRI)
2.5.4.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2.5.5. 경피경간 담도조영술(PTC)
2.5.6. 내시경 초음파검사(EUS)
2.5.7.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2.5.8. 혈청 종양표지자
2.6. 담낭암의 치료
2.6.1. 수술 치료
2.6.2. 항암화학요법
2.6.3. 방사선 치료
2.7. 담낭암 환자의 간호
3. 간호사례
3.1. 대상자 소개
3.2. 과거력
3.3. 건강사정
3.4. 간호진단
3.4.1.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3.4.2. 담낭의 종양과 관련된 급성 통증
3.4.3.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요구량 보다 적음
3.4.4. 약물과 관련된 오심
3.4.5. 수면 양상 장애로 나타나는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3.5. 간호계획 및 중재
3.6. 간호중재의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담낭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간호사례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며 질병의 정의, 증상, 치료,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담낭암은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아 생존율이 약 30% 정도에 불과하다. 게다가 암이기 때문에 재발하거나 다른 장기로 암이 퍼질 가능성이 항상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담낭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필요성
담낭암은 전체 암 발생률에서 9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질환이지만, 아직까지 담낭암의 발생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특히 담낭암은 초기 증상이 없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5년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담낭암의 원인으로는 담석증, 자기 담낭, 담낭 용종, 췌-담관 합류 이상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담낭암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담낭암의 정확한 발생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담낭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근치적 절제술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담낭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효과적인 선별검사법 개발과 정확한 병기 설정을 위한 영상 검사법 개선이 필요하다.
담낭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지만 치료 성적이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담낭암 환자의 간호와 관련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술 및 비수술 치료에 따른 부작용 관리와 더불어, 담낭암 환자의 영양 상태 개선, 통증 관리, 불안 감소 등 총체적인 간호 중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처럼 담낭암은 발생 원인, 조기 진단,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 환자 간호 등 다방면에서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토대로 담낭암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수행하고, 실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담낭암의 정의
담낭은 작은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 형태의 구조물로 우측 복부의 윗쪽, 간 밑에 위치하고 있다. 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라는 지방소화에 필요한 액체를 저장하는 장기로써 식사시 담낭이 수축하여 담즙을 소장으로 분비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소화기관이다. 담낭암은 담낭에서 생기는 암으로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보통 담낭암이라고 하면 담낭 선암을 말한다.
2.2. 담낭암의 원인
담낭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위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담석증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담낭암 환자의 약 70-90%에서 담석이 동반되고 있으며, 담석증 환자는 담낭암 발생 위험이 5-10배 가량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담석이 있으면 담낭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며, 담석의 크기가 클수록 위험도가 더욱 높아진다.
둘째, 담낭의 석회화 병변인 자기담낭(porcelain gallbladder)도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자기담낭의 경우 12.5-62%에서 담낭암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어, 증상이 없더라도 예방적 절제술이 권장된다.
셋째, 담낭 용종도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초음파 검사의 발달로 담낭 용종이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모든 담낭 용종이 암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에서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 암 발생 위험이 높아 수술적 절제가 권장된다.
넷째, 췌담관 합류 이상의 해부학적 구조 또한 담낭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담낭암 환자의 약 17%에서 췌관과 담관의 합류 이상이 발견되는데, 이 경우 담즙의 정체로 인해 담낭암이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는 고무 공장 화학물질 노출, 장티푸스 보균,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 등이 지목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담석, 자기담낭, 담낭 용종, 췌담관 합류 이상 등의 해부학적 요인과 더불어 화학물질 노출, 감염 등의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담낭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담낭암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 담낭암의 병태생리
담낭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담낭암을 발생 세포의 종류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가장 많은 선암 외에 미분화암 편평상피세포암, 선극세포종 등이 있고, 드물게 유암종, 림프종, 간질종양, 과립세포종, 악성 흑색종 등이 생길 수 있다.
형태 기준으로는, 육안으로 보아 담낭벽이 두툼해진 침윤성, 결절성 암과 담낭벽 침윤이 거의 없는 유두형 암으로 나뉜다. 유두형은 담낭 내강을 채우거나 담관 내강을 따라 파급될 수 있으며 비교적 예후가 좋은편이다.
담낭암은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며, 가장 많은 형태는 선암종이다. 암세포가 담낭 점막에서 시작되어 점차 근육층과 장막층, 인접 장기로 침범하게 된다.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로 전이되거나 혈관을 통해 간, 폐 등의 원격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전이 속도가 빨라 진단 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고, 담관 폐쇄로 인한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암세포가 담낭벽을 침범하여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담석이 발생하기도 한다.
담낭암은 담낭 내에서 점차 진행되면서 주변 장기로 침범하고 전이되는 양상을 보인다.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편이며, 진행되면서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2.4. 담낭암의 증상
담낭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조기진단이 어려운 편이다.
담낭암 초기에는 황달 증상이 없고 비특이적 복통이나 간 기능 검사상의 이상만 있을 수 있다.
비특이적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피로함,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른쪽 상복부 또는 심와부에 범위가 뚜렷하지 않은 통증, 황달이 발생한다.
간혹 십이지장이나 대장의 폐색이 나타나기도 한다.
담낭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주변 장기로 침범이 진행된 후에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다.
따라서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2.5. 담낭암의 진단
2.5.1. 초음파검사
초음파검사는 환자에게 통증이 있거나 황달이 왔을 때 담석증 등과 감별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시행하는 검사이다.
초음파검사는 환자의 담낭에 생긴 용종이나 종양, 담관 확장, 간 전이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사선에 노출될 필요가 없고,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편이라 진단에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초음파검사의 정확도는 검사자의 능력에 크게 좌우되며, 환자의 비만도나 장내 공기 등의 요인에 의해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검사로는 암의 병기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초음파검사에서 담낭암이 의심되면 전산화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종양의 침윤 정도, 간 침범 범위, 절제 가능성, 림프절 전이 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2.5.2. 전산화단층촬영(CT)
전산화단층촬영(CT)은 암 진단과 병기(측정에 초음파검사보다 더 유용하다"" 전산화단층촬영은 검사자에 따른 오류가 적고, 병변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영상이 더 세밀하기 때문에 1cm 정도의 암도 발견할 수 있다"" 종양의 침윤 정도, 간 침범 범위, 절제 가능성, 림프절 종대, 간 전이, 간문맥이나 동맥 혈관 침범 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5.3. 자기공명영상촬영(MRI)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은 강한 자기장을 가진 초전도 자석 안에 들어가 라디오고주파를 이용해 공명시킨 후 나오는 신호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인체의 각 조직들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방법이다. 담낭암의 진단에 있어 MRI는 간 전이를 더 잘 발견할 수 있는 ...
참고 자료
차트
성인간호학1 수문사 ☞ 424-425p 담낭, 430-431p 역행성 내시경 담관, 췌장 조영술, 464-468p 담석증, 468-470p 담낭염
기본 간호학Ⅱ (2015), 손정태 외, 수문사
생리학 (2014), 최명애 외, 현문사 ☞ 127-129 담낭
핵심병리학 (2015), 백운철 외, 은학사 ☞ 207-215 담낭, 담낭염
“갑자기 명치가 아프다면, ‘담석증’ 의심해야”, 국민일보, 2011년 3월 2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449612[네이버 지식백과] 담낭염 [cholecyst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449612→ 네이버뉴스 국민일보 → 생활/문화
곽희용, 김성근, 박종경, 이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2010. 6), “급성 담낭염에서 개복 담낭절제술의 의미”,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105~109 (5pages)
정인오 (2010. 10) “급성 담낭염에서의 복강경 부분 담낭 절제술의 가능성과 효용성”, 의학석사학위 논문
김대동, 강구정, 임태진 (2001), “급성 화농성 담낭염에 있어서 개복수술과 비교한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장점”,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지 4권 1호, p 1~7
REVIEW BOOK for nurse (2016), 전국 간호대학교수 감수, 의학교육
간호중재 가이드북 (2009), 김정애, 장은정WWW.KMLE.CO.KR 의학검색엔진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http://health.mw.go.kr/Main.do 국가 건강정보포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449612→ 네이버뉴스 국민일보 → 생활/문화
http://blog.naver.com/pure_daniel?Redirect=Log&logNo=14013481872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원종순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제7판 2018, 황옥남 외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 수문사, 2017, 이인모 외
최신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송경애 외
국가암정보센터 공식홈페이지
약학정보원 공식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공식홈페이지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486p
국가암정보센터, 『담낭암』, 2022.10.03,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9/cancer/view.do?cancer_seq=3749
약학정보원, 『보령세프트리악손주2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079
약학정보원, 『아세타펜주』,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051600084
약학정보원, 『미카르디스정 40m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249
약학정보원, 『트리돌주 50m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35
약학정보원, 『이노엔0.9%생리식염주사액(1000mL)』,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73
약학정보원, 『콤비플렉스페리주(1100mL)』,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831
약학정보원, 『맥페란주사액2ml』, 2022.10.03.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70A0304
약학정보원, 『페리올리멜엔4이주』,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60700010
약학정보원, 『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EEEEE0208
약학정보원, 『낙소졸정』,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3082200006
약학정보원, 『덱사메타손주5mg』,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50A0089
서울아산병원, 『리도카인 주 2%』, 2022.10.1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2LID20
김용석, 『췌담도 질환에서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 대한췌담도학회지 19권4호, 대한췌장담도학회, 2014, 157-163p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40~43p
송경애,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466~474p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239~259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2~25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56~261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53~255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176~18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