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요로감염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11.27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요로감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로감염(UTI) 개요
1.1. 정의
1.2. 원인
1.3. 병태생리
1.4. 임상증상 및 징후
1.5. 진단
1.6. 경과 및 예후
1.7. 치료

2. UTI 사례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1.2. 신체사정
2.1.3. 성장발달
2.2. 투약기록지
2.3. 진단검사
2.4. 간호과정
2.4.1. 요로계통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4.2. 요로계통 감염과 관련된 요로손상의 위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요로감염(UTI) 개요
1.1. 정의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이란 비뇨기계의 한 부분에 세균이 감염된 것이다. 방광이나 신장에 세균이 들어가 소변 속에서 번식하게 된 것으로 위치에 따라 상부요로감염과 하부요로감염으로 나뉜다. 아동에서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부위는 방광이다.""


1.2. 원인

요로감염(UTI)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장내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특히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80~90%를 차지한다"이다. 요로감염은 주로 상행성 감염으로 발생하는데, 생후 1~12개월 사이 아동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요로계 기형이다. 특히 12개월 이전에는 방광요관역류나 요관의 폐색성 병변 등 요로계 기형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아의 생후 첫 해 동안 요로감염 발생률이 높은 편이며, 이는 항문과 질에 더 가까이 있는 여성의 짧은 요도와 관련이 있다. 그 외에도 요로정체, 해부학적 요인, 면역저하 등이 요로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병태생리

요로에 병원성 세균이 들어오면 30분 이내에 방광과 요도에 염증이 생긴다. 급성으로 방광에 염증이 생기면 초기에 방광점막을 충혈과 부종이 있으며, 호산구가 침윤되어 있다. 더 진행되면 점막은 쉽게 탈락되어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작은 궤양을 만들기도 하나 근육층까지 침범하지는 않는다. 또한 방광에 염증이 생기면 평활근의 경련과 방광자극으로 인해 빈뇨, 긴박뇨, 배뇨통이 나타나며 배뇨 시 요관으로 역류하게 된다.

방광염이 만성화되면 신우신염이 일어난다. 수신증(hydronephrosis, 유출 방지로 신우에서의 소변 축적) 또는 감염의 염증 및 허혈성 영향으로 인한 신우신염은 신장 흉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신장 흉터는 고혈압, 신장 기능장애, 말기 신장질환과 관련이 있다. 신장 손상의 위험은 1세 미만 유아의 요로감염, 상부 요로감염에 대한 진단 및 효과적인 항균 치료의 지연, 해부학적 폐쇄 또는 신경 공급 방해, 상부 요로감염의 반복 등에서 증가할 수 있다. 요로성 폐혈증은 체순환으로 감염이 전파된 것으로 응급조치가 필요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복합 감염은 신우신염, 요로성 패혈증, 신장손상 등을 초래할 위험이 높다.


1.4. 임상증상 및 징후

요로감염(UTI)의 임상증상 및 징후는 감염의 위치와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생아기의 경우 설명할 수 없는 발열, 저체온증, 섭취 부족, 구토와 설사, 나쁜 냄새의 소변 등 비특이적인 증상들이 주로 나타난다.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기까지는 하부 요로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인 빈뇨, 긴박뇨, 배뇨통, 치골상부 통증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많은 요로감염이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하부 요로감염의 경우 신생아에서는 섭취 부족, 구토, 체중 증가 부족, 황달, 복부팽만, 무기력,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유아에서는 열, 설사, 구토, 민감성, 무기력, 불유쾌한 냄새의 기저귀, 섭취 부족, 체중 증가 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학령전기 아동에서는 열, 혈뇨, 절박뇨, 배뇨곤란, 빈뇨, 탁한 소변, 나쁜 냄새의 소변, 탈수, 복통, 야뇨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학령기 아동에서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상부 요로감염인 신우신염의 경우 전 연령에서 고열, 오한, 복통, 오심, 구토, 옆구리 통증, 늑골척추각 압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중등도에서 중증 수준의 탈수가 동반된다.


1.5. 진단

요로감염(UTI)의 진단은 소변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요로감염은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백혈구가 보이는 농뇨와 세균이 관찰되는 세균뇨가 있는 경우 요로감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소변 표본으로 세균 유무를 검사하는데 요시험지(dipstick)를 사용해서 요로감염을 검사할 수 있다"" Leu...


참고 자료

오성희.(2003).요로감염증의항생제요법.[MEDRIC]소아감염
양선희외,『기본간호학』,현문사,2017,95-109
김미예외,『아동건강간호학』,수문사,2014,216-235
하태욱,황용,박승철,이재환.(2017).요로감염의주요원인균과항생제감수성의변화에관한고찰.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18(3),85-93.
박지민,이재승,김동수.(2002).발열이있는영유아에서요로감염증의진단과치료.[MEDRIC] 소아감염.
Jane W. Ball 외 3인(2020). 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 577-582
T. Heather Herdman 외 2인(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메디컬. 287, 426-427, 433, 456, 485
김민주(2011).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위즈덤하우스 (인간의 가장 본능적인 욕구는 무엇일까?-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182~185
김수현 외(2020). 성인간호학Ⅰ. 학지사메디컬. 731
김양호 외 편저(2021). 병리학 제6판. 현문사. 165
김영혜외 편저(2018), 아동간호학, 현문사, 151-525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88-306 (진단검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55-204
성미혜 외 10인(2016).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최명애 외(2018). 임상약리학 제8판. 현문사.
Lee Y. H.& Kim G. C(1995). 소아 요로감염의 진단.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2(1). 86-93.
강윤덕, 김남수, 오성희(2004). 소아 요로 감염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 대한소아과학회. 47(10). 1065-1071.
위성헌(2014). 요로감염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2-6.
오성희(2003). 요로감염증의 항생제 요법. 소아감염. 10(1). 55-60.
오성희 외 3인(2004). 소아 요로 감염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 소아과. 47(10). 1065-1071.
문세영 기자. 요로감염증 여성에게 흔한 이유… ‘이것’ 가까워. 코메디닷컴. 2023.04.08. https://kormedi.com/1573159/%ec%9a%94%eb%a1%9c%ea%b0%90%ec%97%bc%ec%a6%9d-%ec%97%ac%ec%84%b1%ec%97%90%ea%b2%8c-%ed%9d%94%ed%95%9c-%ec%9d%b4%ec%9c%a0-%ec%9d%b4%ea%b2%83-%ea%b0%80%ea%b9%8c%ec%9b%8c/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접속일: 2023.04.06.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종합검진-‘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종목 소개’. https://www.kslm.org/. 접속일: 2023.04.05.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의료정보-‘검사/시술/수술정보’,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Submain.do. 접속일: 2023.04.06.
서울아산병원 이주훈 교수 . 건강정보-의료정보-소아청소년 질환정보-‘[소아신장과] 요로 감염. 그것이 알고 싶다.’.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39. 접속일: 2023.04.0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접속일: 2023.04.06. (약물 사진 출처)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