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로감염(UTI) 개요
1.1. 정의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이란 비뇨기계의 한 부분에 세균이 감염된 것이다. 방광이나 신장에 세균이 들어가 소변 속에서 번식하게 된 것으로 위치에 따라 상부요로감염과 하부요로감염으로 나뉜다. 아동에서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부위는 방광이다.""
1.2. 원인
요로감염(UTI)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장내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특히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80~90%를 차지한다"이다. 요로감염은 주로 상행성 감염으로 발생하는데, 생후 1~12개월 사이 아동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요로계 기형이다. 특히 12개월 이전에는 방광요관역류나 요관의 폐색성 병변 등 요로계 기형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아의 생후 첫 해 동안 요로감염 발생률이 높은 편이며, 이는 항문과 질에 더 가까이 있는 여성의 짧은 요도와 관련이 있다. 그 외에도 요로정체, 해부학적 요인, 면역저하 등이 요로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병태생리
요로에 병원성 세균이 들어오면 30분 이내에 방광과 요도에 염증이 생긴다. 급성으로 방광에 염증이 생기면 초기에 방광점막을 충혈과 부종이 있으며, 호산구가 침윤되어 있다. 더 진행되면 점막은 쉽게 탈락되어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작은 궤양을 만들기도 하나 근육층까지 침범하지는 않는다. 또한 방광에 염증이 생기면 평활근의 경련과 방광자극으로 인해 빈뇨, 긴박뇨, 배뇨통이 나타나며 배뇨 시 요관으로 역류하게 된다.
방광염이 만성화되면 신우신염이 일어난다. 수신증(hydronephrosis, 유출 방지로 신우에서의 소변 축적) 또는 감염의 염증 및 허혈성 영향으로 인한 신우신염은 신장 흉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신장 흉터는 고혈압, 신장 기능장애, 말기 신장질환과 관련이 있다. 신장 손상의 위험은 1세 미만 유아의 요로감염, 상부 요로감염에 대한 진단 및 효과적인 항균 치료의 지연, 해부학적 폐쇄 또는 신경 공급 방해, 상부 요로감염의 반복 등에서 증가할 수 있다. 요로성 폐혈증은 체순환으로 감염이 전파된 것으로 응급조치가 필요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복합 감염은 신우신염, 요로성 패혈증, 신장손상 등을 초래할 위험이 높다.
1.4. 임상증상 및 징후
요로감염(UTI)의 임상증상 및 징후는 감염의 위치와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생아기의 경우 설명할 수 없는 발열, 저체온증, 섭취 부족, 구토와 설사, 나쁜 냄새의 소변 등 비특이적인 증상들이 주로 나타난다.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기까지는 하부 요로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인 빈뇨, 긴박뇨, 배뇨통, 치골상부 통증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많은 요로감염이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하부 요로감염의 경우 신생아에서는 섭취 부족, 구토, 체중 증가 부족, 황달, 복부팽만, 무기력,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유아에서는 열, 설사, 구토, 민감성, 무기력, 불유쾌한 냄새의 기저귀, 섭취 부족, 체중 증가 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학령전기 아동에서는 열, 혈뇨, 절박뇨, 배뇨곤란, 빈뇨, 탁한 소변, 나쁜 냄새의 소변, 탈수, 복통, 야뇨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학령기 아동에서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상부 요로감염인 신우신염의 경우 전 연령에서 고열, 오한, 복통, 오심, 구토, 옆구리 통증, 늑골척추각 압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중등도에서 중증 수준의 탈수가 동반된다.
1.5. 진단
요로감염(UTI)의 진단은 소변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요로감염은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백혈구가 보이는 농뇨와 세균이 관찰되는 세균뇨가 있는 경우 요로감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소변 표본으로 세균 유무를 검사하는데 요시험지(dipstick)를 사용해서 요로감염을 검사할 수 있다"" L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