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면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학과 면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학과 면접 준비
1.1.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
1.2. 면접 예상질문
1.2.1. 간호법
1.2.2. PA제도
1.2.3. 전문간호사의 종류
1.2.4. 흉곽수술 환자 morphine 투여 금기 이유
1.2.5. 욕창 4단계, 호발부위 및 간호
1.2.6. 당뇨병 합병증
1.2.7. 매슬로우 욕구이론
1.2.8. 감염관리 손씻기 5가지
1.2.9. 임신성 고혈압 특징
1.2.10. 신생아 예방접종
1.2.11. 소화기관 순서
1.2.12. CVP
1.2.13. 노사근무
1.2.14. 투약의 5right
1.2.15. 인슐린 주사부위 및 이유
1.2.16. 협심증 환자 흉통 시 투여 약물
1.2.17. 쿠싱증후근 증상 및 간호
1.2.18. 임종 5단계
1.2.19. 분만 24시간 이후 자궁 위치
1.2.20. 안락사와 존엄사
1.2.21. 포괄수과제
1.2.22. 점적주입(gtt) 정의 및 계산법
1.2.23. Vital sign
1.2.24. 경구투약
1.2.25. 근육주사
1.2.26. 피하주사
1.2.27. 피내주사
1.2.28. 정맥 수액요법
1.2.29. 수혈요법
1.2.30. 위관영양
1.2.31. 단순도뇨
1.2.32. 유치도뇨
1.2.33. 배출관장
1.2.34. 수술 전 간호
1.2.35. 수술 후 간호
1.2.36. 입원 관리
1.2.37. 격리실 출입 시 보호장구 및 폐기물 처리
1.2.38. 산소포화도 측정, 심전도 모니터 적용
1.2.39.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1.2.40. 기관 내 흡인
1.2.41. 기관절개관 관리
1.2.42.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1.3. 면접에서 고득점 요령 10개
1.4. 자기소개 / 지원동기 질문지

2. 간호관리학
2.1. 가장 위기였던 순간과 극복 방법
2.2. 간호사에게 필요한 자질
2.3. 간호사가 해서는 안 되는 일
2.4. 투약 오류 시 대처 방법
2.5. 개인정보 보호와 가족 정보 요구 대응
2.6. 임상과 이론의 차이 사례
2.7. 간호사 간 의사소통 증진 방안

3. 간호학과 합격 경험
3.1. 간호사의 꿈을 갖게 된 계기
3.2. 간호학과 지원을 위한 준비 활동
3.3. 서울대 간호학과 전형 방법
3.4. 공부 노하우
3.5. 졸업 후 진로 계획
3.6. 대학 진학 준비를 위한 조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학과 면접 준비
1.1.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

'1.1.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는 간호학과 면접 대비에 필수적이다. 간호사 업무에 필요한 전문 의학 용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면접관의 질문에 적절히 대답할 수 있다.

첫째, 해부학 및 생리학 관련 용어이다. 'abd.'는 abdomen(복부)를 의미하며, 'ABGA'는 arterial blood gases analysis(동맥혈 가스 분석)을 뜻한다. 'A.B.R'은 absolute bed rest(절대 침상 안정)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A.F.B'(acid-fast-bacillus, 항산성 간균), 'AFP'(alpha-Fetoprotein, a-페토단백질), 'A.K'(above knee, 무릎 위) 등이 있다.

둘째, 약물 투여 및 처방 관련 용어이다. 'a.c.'는 before meals(식전)을, 'b.i.d'는 twice a day(하루 두 번)을 의미한다. 'B.U.N'은 blood urea nitrogen(혈중 요소질소)을 나타낸다. 'C & S'는 culture & sensitivity(배양과 감수성)을, 'D/C'는 discontinue, stop(중단, 정지)을 뜻한다.

셋째, 검사 및 진단 관련 용어이다. 'E.C.G 또는 E.K.G'는 electrocardiogram(심전도)을, 'E.E.G'는 electroencephalogram(뇌파전도)을 의미한다. 'F.B.S'는 fasting blood sugar(공복시 혈당)을, 'G.B.S'는 gallbladder series(담낭 촬영)을 나타낸다.

넷째, 수술 및 처치 관련 용어이다. 'I & D'는 incision and drainage(절개와 배액)을, 'I.V.P'는 intravenous pyelogram(혈관내 조영술)을 뜻한다. 'L.P'는 lumber puncture(요추 천자)를, 'N-Cath'는 Nelaton catheterization(일시 배뇨)을 의미한다.

다섯째, 기타 활력 징후 및 처치 관련 용어이다. 'P.T.A'는 prior to admission(입원 전)을, 'P.T.'는 physical therapy(물리요법)을 나타낸다. 'Sig.'는 to write(처방하다, 주다)를 의미한다.

이처럼 다양한 의학 용어를 숙지하고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간호학과 면접에서 실무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1.2. 면접 예상질문
1.2.1. 간호법

간호법은 간호 실무의 기준을 제시하고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는 법이다. 우리나라의 간호법은 간호사법으로 1951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1962년과 1973년에 개정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정의와 자격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간호사는 간호교육기관을 졸업하고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로 정의되며, 의료기관이나 보건소 등에서 환자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 간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둘째, 간호사의 직무와 권한을 명시하고 있다. 간호사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진료 보조, 환자 관리, 건강 증진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의사의 지시 없이 필요한 간호 처치를 할 수 있다.

셋째, 간호사의 윤리 강령과 금지 행위를 규정하고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하며, 비밀 유지와 성실한 의무 수행을 해야 한다. 반면 무자격자의 진료 행위 방조, 환자 차별, 의사의 지시 거부 등은 금지된다.

넷째, 간호사 면허 관리와 교육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보건복지부장관은 간호사 면허를 관리하고, 교육부장관은 간호교육기관 지정과 교육 기준 등을 정한다.

다섯째, 간호 관련 단체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대한간호협회, 시·도 간호사회 등 간호 전문 단체의 설립과 활동이 보장된다.

이처럼 간호법은 간호 실무의 기준과 간호사의 권리, 책임 등을 명시하여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환자 권리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1.2.2. PA제도

PA제도는 의사 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 제도로, 의사의 지도 하에 일정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된 의료 인력을 의미한다. PA는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 진료, 처치, 질병 관리 등의 의료 업무를 수행한다.

PA제도는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의사의 업무 중 일부를 PA가 대신 수행함으로써 의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에게 보다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A는 의사의 감독 하에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오더, 처방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PA 제도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존재한다. 찬성론에서는 의사 부족 문제 해결, 의료 접근성 향상, 비용 효과성 등의 장점을 강조하지만, 반대론에서는 의사 권한 침해, 의료 질 저하, 환자 안전 문제 등의 우려를 제기한다. 이에 따라 PA 제도 도입 및 운영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2.3. 전문간호사의 종류

전문간호사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전문가 간호사(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 APRN)란 간호사 면허를 보유하고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를 말한다. APRN에는 임상간호전문가(Clinical Nurse Specialist, CNS), 전문응급구조사(Nurse Practitioner, NP), 마취전문간호사(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CRNA), 산과 전문간호사(Certified Nurse Midwife, CNM) 등이 있다.

임상간호전문가(CNS)는 특정 환자군이나 의료기관의 부서 등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환자 간호 제공, 간호사 교육 및 관리, 연구 등을 수행한다.

전문응급구조사(NP)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의사의 지시 없이도 독자적으로 진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응급실, 산업장, 학교 등에서 근무한다.

마취전문간호사(CRNA)는 마취 유도, 유지, 회복 단계의 마취 관리를 담당한다. 마취과 의사의 지도하에서 독자적으로 마취 간호를 수행한다.

산과 전문간호사(CNM)는 임신, 출산, 산욕기 등 여성의 생식 건강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한다. 정상 임신과 출산 관리, 가족계획, 부인과적 건강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전문간호사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확대된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 의사와의 협력 체제 속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독자적인 실무를 담당하며, 간호 실무와 연구,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1.2.4. 흉곽수술 환자 morphine 투여 금기 이유

흉곽수술 환자에게 morphine을 투여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morphine은 호흡 억제 작용이 있어 흉곽수술 후 호흡기능이 약화된 환자에게 사용하면 치명적인 호흡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흉곽수술 환자는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해 심호흡이 어려워지고 폐 기능이 감소하는데, morphine은 이런 환자에게 투여하면 호흡 억제를 더욱 악화시켜 위험할 수 있다.

둘째, morphine은 의식 저하 작용이 있어 호흡 및 기침 반사를 약화시킬 수 있다. 흉곽수술 환자는 수술 후 기관 내 분비물 배출이 어려워져 폐렴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은데, morphine 투여 시 의식 저하로 인해 기침 반사가 억제되어 분비물 배출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셋째, morphine은 장운동을 억제하여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흉곽수술 후 장운동 저하가 흔히 발생하는 상황에서 morphine 투여는 이를 악화시켜 장폐색,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흉곽수술 환자에게는 마약성 진통제인 morphine 투여가 금기시 된다. 대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나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통증을 관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1.2.5. 욕창 4단계, 호발부위 및 간호

욕창은 피부와 하부조직의 국소적인 압력손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고령의 환자나 뇌졸중, 척수손상 등의 질환으로 오랫동안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에게서 잘 발생한다. 욕창의 발생 및 진행 단계는 총 4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 욕창은 피부의 국소적 발적이 있으나 피부가 온전한 상태이고, 압력을 제거하면 발적이 호전된다. 주로 발뒤꿈치, 천골, 좌골, 견갑골 등의 뼈돌출부위에서 호발한다. 이 단계에서는 적절한 피부관리와 압박 감소를 통해 욕창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2단계 욕창은 피부의 표피층 또는 진피층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물집이나 피부 벗겨짐 등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 단계에서도 압박 감소와 함께 습윤 드레싱 등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3단계 욕창은 피부가 전층 손상되어 피하지방층까지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피부가 뚫려 있고 근육이 보이거나 피하지방이 노출된다. 이 단계에서는 욕창 세척, 괴사조직 제거, 습윤 드레싱 등의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4단계 욕창은 가장 심각한 단계로, 피부와 근육, 건, 관절낭, 골조직 등이 광범위하게 손상된 경우이다. 이 단계에서는 피부 및 근육 이식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욕창은 체중 부하 부위인 천골, 좌골, 발뒤꿈치, 큰돌기 등에서 호발하는데, 이는 이 부위들이 뼈가 돌출되어 있어 지속적인 압박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노인, 뇌졸중 환자, 척수손상 환자, 말기 암 환자 등 활동이 제한된 환자에게서 잘 발생한다.

욕창 간호에서는 우선 욕창 발생 위험이 있는 환자를 선별하고, 정기적으로 피부 사정을 하며, 압력 감소를 위한 지지면 사용, 체위 변경, 영양 관리, 습윤 드레싱 등의 방법으로 욕창 예방과 치료에 힘써야 한다. 또한 욕창 단계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욕창의 악화를 방지하고 치유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1.2.6. 당뇨병 합병증

당뇨병 합병증은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당뇨병 합병증에는 크게 미세혈관 합병증과 거대혈관 합병증이 있다. 미세혈관 합병증에는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이 포함되며, 거대혈관 합병증에는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 질환이 포함된다.

첫째, 망막병증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이다. 고혈당은 망막의 미세혈관을 손상시켜 망막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증상으로는 시력 저하, 부분 시야 결손, 야맹증 등이 나타나며,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둘째, 신증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고혈당에 의해 신장의 미세혈관이 손상되어 단백뇨가 발생하고, 점차 신부전으로 진행된다. 증상으로는 부종, 피로감, 소변량 감소 등이 있으며, 말기 신부전에 이르면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하다. 철저한 혈당 관리와 고혈압 치료가 중요하다.

셋째, 신경병증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고혈당으로 인해 말초신경이 손상되어 감각 저하, 통증, 근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자율신경계 기능 저하로 인해 위장관 증상, 발기부전, 배뇨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혈당 조절과 함께 증상 관리를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거대혈관 합병증인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 질환은 당뇨병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된다.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혈증 등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죽상동맥경화증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저한 혈당 관리,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이처럼 당뇨병 합병증은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철저한 혈당 관리와 함께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2.7. 매슬로우 욕구이론

매슬로우 욕구이론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계층적으로 설명한 이론이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과 애정의 욕구,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등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었다.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안전에 대한 욕구가 나타나고, 안전 욕구가 충족되면 소속과 애정의 욕구, 존중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가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다섯 가지 욕구 단계 중 가장 기본적인 욕구는 생리적 욕구이며, 상위 단계의 욕구는 하위 단계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 나타나게 된다.

간호사는 환자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켜줌으로써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영양 공급,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유지, 통증 관리 등을 수행하며, 안전 욕구 충족을 위해 낙상 예방, 감염 관리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또한 소속과 애정의 욕구 충족을 위해 환자-간호사 간 치료적 관계 형성, 가족과의 유대감 증진 등을 지원한다.

이처럼 매슬로우 욕구이론은 간호사가 환자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간호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다양한 욕구 단계를 파악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간호 중재를 계획하여 실행함으로써 환자의 전인적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2.8. 감염관리 손씻기 5가지

감염관리 손씻기 5가지는 환자의 안전과 간호사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이다. 손씻기는 가장 효과적인 감염 예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씻기를 통해 병원체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손씻기 5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찰하며 씻는다. 둘째, 손등과 손바닥 전체를 씻는다. 셋째, 손가락 사이를 씻는다. 넷째, 손톱 밑을 깨끗이 씻는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흐르는 물에 헹구고 말린다.

이처럼 손씻기는 감염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이다. 간호사는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철저한 손씻기 실천이 필요하다. 손씻기를 통해 환자와 자신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는 간호사의 기본적인 의무라고 할 수 있다.


1.2.9. 임신성 고혈압 특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 고혈압으로,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 나타나며 임신부의 건강과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임신성 고혈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이 140/90 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혈압의 상승은 임신 중기 이후에 나타나며,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관찰된다.

둘째, 단백뇨가 동반된다. 임신성 고혈압에서는 소량의 단백뇨부터 심한 단백뇨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단백뇨는 신장 기능 저하를 의미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셋째, 부종이 동반될 수 있다. 손, 발, 얼굴 등에 부종이 있으며, 특히 아침에 더 심하게 나타난다. 부종은 체액 저류를 반영하는 증상이다.

넷째,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장기 손상을 시사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다섯째, 임신성 고혈압은 전자간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자간증은 임신성 고혈압에 뇌부종, 간기능 장애, 혈소판 감소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는 가장 심각한 형태의 고혈압이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부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임신부의 혈압과 소변, 증상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여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또한 임신부에게 위험 증상을 인지하고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1.2.10. 신생아 예방접종

신생아에 대한 예방접종은 감염병으로부터 신생아를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예방접종 일정은 생후 0~2개월 사이에 실시되며, 주요 백신은 결핵 예방 백신(BCG), B형 간염 백신,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 폴리오 백신 등이 있다.

BCG 백신은 생후 1개월 이내에 접종하는데, 이는 신생아기에 결핵에 가장 취약하기 때문이다. B형 간염 백신은 출생 직후 첫 투여를 하며, 이후 1개월, 6개월에 각각 추가 접종...


참고 자료

널스 스토리, 널스 케이프, 널스 다이어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