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
1.1. 모음의 개념 및 분류
모음이란 조음 과정에서 기류가 구강 통로의 중앙부에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만들어 지는 소리를 의미한다. 자음은 구강에서 장애를 일으켜 발음되지만 모음은 구강을 울려서 발음된다는 점에서 자음과 구분된다.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분류된다. 단모음은 조음 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조음 동작으로만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이중모음은 두 개의 조음 동작으로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단모음의 분류 기준은 크게 세 가지로, 혀의 고저, 혀의 전후, 입술 모양이다. 이 세 가지 기준에 따라 한국어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의 10개로 분류된다. 이 중 전설 모음이 5개, 후설 모음이 5개로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비원순 모음은 3단 대립을, 원순 모음은 2단 대립을 보여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단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모음은 자음과 구분되는 별도의 소리로서,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되며 이 중 단모음은 조음 기관의 특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된다. 이를 통해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1.2. 단모음과 이중모음
한국어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되며, 단모음은 조음 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동작으로 발음되는 반면 이중모음은 두 개의 조음 동작으로 발음된다"이다. 단모음은 혀의 높낮이, 전후 위치, 입술의 모양에 따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표준발음법에서는 단모음을 'ㅏ, ㅐ, ㅢ, ㅟ, ㅗ, ㅚ, ㅜ, ㅟ, ㅡ, ㅣ'의 10개로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 발음에서는 'ㅚ'와 'ㅟ'가 이중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