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코올성 간경변증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본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1.1. 주관적 사정
2.1.2. 객관적 사정
2.2. 진행기록
2.3. 문제목록
2.4. 간호진단
2.5.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본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증상이 없어 대표적인 침묵의 장기로 불리는 간, 이 때문인지 간암이 남성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간은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간암은 상당수가 간경화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간암으로 발전한 경우이다. 간경화증은 복합적인 원인을 가지고 있고 증상이 말기에 이르러야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어렵다. 또한 간 조직은 한 번 파괴되면 정상 조직으로 돌아오기가 어렵고 만성질환으로 발전이 많이 되기 때문에, 간이 굳어 간경화로 진행되기 전에 발견하고 치료해야 예후가 좋다. 이에 간경화에 대한 병태생리 및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한 치료와 간호에 대해서 알아보므로써 환자에게 올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와 간호를 할 수 있다. 이번 case study는 본원 IG f/u하여 입/퇴원 반복하는 분으로 집에서 저염식이 지켜지지 않고 jaundice, ascites, leg edema으로 입원한 사례로 간경화의 증상을 임상에서 보고 그에 따른 간호중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간경변증은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간경변증은 섬유증에 의해서 혈액, 담즙, 간 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고 간세포, 담세관, 맥관, 그물세포 등이 변할 때 발생한다. 간경변증은 괴사 후, 담즙성, 울혈성 및 Laennec's(알코올, 소결절, 문맥성) 경변증 등 4가지 형태가 있다.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은 알코올 섭취이다. 알코올성 간경변은 이름 그대로 음주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질병으로 평균적으로 하루에 80g 이상을 마시면 간에 지방이 쌓이고 이 상태가 10년 이상 지속되면 발생한다. 음주자의 간조직에는 지방저류와 간세포의 변성, 괴사, 간업세포의 동원, 섬유화 등의 염증성 소견이 보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음주를 한다면 간경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의 크기가 작아지고 단단해지는 것은 심각한 증상으로서 식도 정맥류의 파열로 인한 심한 토혈로 사망할 수 있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광범위한 파괴가 있어 이러한 변화는 혈행을 변화시키고 림프계와 담관에서의 흐름의 변화를 초래한다. 주기적인 병세악화는 담즙 정체와 황달을 가져온다. 간경변증이 심하면 간의 주요 혈관으로 유입되는 혈류를 손상시키거나 변화시키기 때문에 문맥성 고혈압이 발생한다. 문맥성 고혈압은 문맥계를 통해서 흐르는 혈액유입이 증가되거나 문맥계 안에서 혈류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어 문맥계 내에 지속적인 압력상승이 있을 때 발생한다.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해 식도 정맥류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수가 나타나는 이유는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혈장과 림프의 정수압 상승으로 림프성 정체가 일어나 복강 내로 수분의 유출을 일으키고 저 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 삼투압 저하로 복강 내 수분의 유입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알코올성 간경변증 환자는 대개 증상이 없...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19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근순 외(2017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성미혜 외(2018년).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박은영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김연숙 외(2018), 건강사정 제 3판, JMK
박유라(2008). 『간경변 환자의 가정간호 요구도 분석』. 서울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대한간학회 https://www.kasl.org/ 『2019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EBS 명의: 간 건강을 지키는 법 (20.3.20일 방송분)
김동인, 이병만, 이진우, 조근형, 조영철, 신정우 and 이미숙. (2006). 경경정맥 간내문맥정맥 단락술 후 발생한 스텐트 추정감염 1예. 대한내과학회지, 70(2), 232-236.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전미양, 고진강, 김경미, 김동희, 김명수, 천의영, 최수영 외 (2019).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서연옥 외 (2020). 성인간호학Ⅰ(3판). 수문사.
약학정보원. “스피락톤, 아티반정, 염산티아민정, 메디락디에스장용, 로프민캡슐, 폴산, 졸민정”. www.health.kr. 202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