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습자의 오류를 포착하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오류의 종류
2.1. 언어적 오류
2.1.1. 발음 오류
2.1.2. 어휘 오류
2.1.3. 문법 오류
2.1.4. 담화 오류
2.2. 기능수행 오류
2.3. 사회문화적 오류
3. 오류의 원인
3.1. 생략에 의한 오류
3.2. 과대일반화에 의한 오류
3.3. 전이에 의한 오류
4. 오류 사례 및 분석
4.1. 사회문화적 오류 사례
4.2. 문법 오류 사례
4.3. 발음 오류 사례
4.4. 담화 오류 사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 학습자들은 목표어를 사용할 때 끊임없이 실수와 오류를 만들어 낸다. 실수란 일회적으로 등장하는 단순 오기를 뜻하지만, 오류는 일관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오류는 모국어의 간섭, 어휘 입력 부족, 상황적 오류, 의사소통 능력 부족, 목표어에 대한 잘못된 이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본 과제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다양한 오류 유형을 살펴보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언어적 오류, 기능수행 오류, 사회문화적 오류 등 오류의 유형과 생략, 과대일반화, 전이 등 오류의 원인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2. 오류의 종류
2.1. 언어적 오류
2.1.1. 발음 오류
발음 오류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는 언어권별로 전형적인 오류 형태가 나타날 정도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는 대부분 학습자의 모국어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중국어 한자 발음의 전이로 인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 '휴게실'을 '수게실(休息室)'로 발음하는데, 이를 한국어로 발음할 때 중국식 한자음 발음을 그대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국어 모음 체계에 없는 'ㅡ' 모음을 'ㅓ'나 'ㅣ'로 발음하는 오류도 나타난다. 이는 중국어 모음 체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경우, 일본어에는 'ㅓ','ㅕ' 등의 모음이 없어 이들 모음을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일본어는 이중모음이 'ya', 'yu', 'yo', 'wa' 4개밖에 없는데 반해 한국어는 10개의 단모음과 11개의 이중모음이 있어 이중모음 발음을 구별하기 어려워한다.
특히 한국어의 된소리 발음과 평음, 격음 구별이 일본어와 다르기 때문에 된소리를 발음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가방을 사다'와 '가방이 싸다'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힘들어한다.
이처럼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발음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언어권 특성을 고려한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 개별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 양상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발음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2.1.2. 어휘 오류
한국어 어휘는 유의어, 동음이의어, 한자어가 많고 대우를 나타내는 어휘가 발달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어휘의 의미적 오류와 존대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어휘 오류는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오류를 발생하는 비율이 낮아지게 되는 특성을 갖는다. 학습 기간이 길어지고, 단계가 올라갈수록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어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다양한 어휘 오류의 유형 중에서도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유의어 사용의 오류와 연어 관계의 오류까지 세 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봤다.
첫째,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어휘 오류이다. 학습자들은 모국어나 자신이 알고 있는 외국어를 한국식 발음으로 쓰거나, 모국어의 어휘를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를 만들어 내는 오류를 보인다. 일본어 학습자의 경우 "저에게 좋게 했습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한국어 어휘의 약 60% 이상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어 중국어 학습자의 경우 중국어의 한자어를 한국식으로 읽어 발생하는 오류가 나타나기도 한다.
둘째, 유의어 사용의 오류이다. 이는 어휘의 의미적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어휘의 의미적 오류는 유의어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해서 사용해야 할지 모를 때 나타나는 오류로서 가장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오류이다. 모국어 학습자들은 상황에 따라, 화용적 맥락에 따라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각 단어의 미묘한 차이를 알지 못하면 맥락에 맞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다.
셋째, 연어 사용의 오류이다. 한국어는 눈을 감다(*닫다), 뜨다(*열다)와 같이 문장 구성에서 일반적 통사 구성과는 다른 어휘적 긴밀성을 보이는 단어들이 있다. 이를 연어 관계라고 한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이러한 연어 관계를 세밀하게 학습하지 않을 경우 유사한 의미의 다른 어휘를 사용하여 오류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어휘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이러한 어휘 오류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매우 중요하며, 학습자의 발화와 글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1.3. 문법 오류
한국어는 교...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2002.
네이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연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57869&cid=46674&categoryId=46674
법률사무소’, 한국어가 가장 어려운 이유,https://blog.naver.com/onemindlaw/221822208676
세계일보, 한국어 배우는 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단어는(2021.06.10.),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589382?sid=103
배연화(2018), 한국어 중급학습자의 말하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대치 오류에 대하여, 순천대학교 국제교류어학원
쑹웨이(2018),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조사 오류 양상과 지도 방안 연구 - ‘이/가’, ‘을/를’ 대치 오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kbs 다큐 https://www.youtube.com/watch?v=i7vsxFQnstQ
2023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대회 https://www.youtube.com/watch?v=Y-ID5VMee0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강남욱. 배움 사이버평생교육원 강의교재.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외. 아카넷. 2017
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교육학. 강경화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초급. 양명희 이선웅 안경화 김재욱. 집문당
한국어 문법교육. 한재영 외.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