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검색 결과

검색어 입력폼

'자본주의' 대한 검색결과 (도서 109 | 독후감 299)

  • 세습 자본주의 세대 (88만원 세대는 어쩌다 영끌 세대가 되었는가?)
    |고재석|관련독후감 1
    “이 책은 86년생인 저자가 겪은 한국 사회의 자화상이다” - 유승민, 우석훈, 최병천, 이준석 추천! 80년대생들이 경험한 한국 자본주의의 축복과 고통 “민생과 경제 이슈에는 예민하고, 거대 서사에는 반감을 가진 세대!” “산업화 이후 풍요 속에서 태어났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영끌족이 된 세대!” 1980년대생은 뉴밀레니엄의 팡파르 속에 성인이 된 세대다. 이들은 G세대와 N세대로 불리며, 찬란하고 화려한 인생이 펼쳐질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 예감은 정작 정반대 방향으로 흘렀다. 발랄보다는 꾸역꾸역 같은 단어가 어울리는 청춘을 보냈고, 화려하기보다는 비루했다. 80년대생들은 산업화 이후의 풍요 속에서 태어나 큰 꿈을 펼치라는 말을 듣고 자랐지만, 막상 성인이 되자 저성장에 적응하라는 훈계를 들어야 했다. 20대 때는 고시원 인생, 30대 때는 월세 인생, 급기야는 울며 겨자 먹기로 영끌족이 된 세대다. 80년대생들에게는 낭만과 불안과 좌절이 순환 운동하듯 반복되었고, 어제는 즐거웠고 오늘은 고달팠으며 내일은 어떤 날이 될지 모를 그런 시간이 이어졌다. 그리고 세상에 발을 들이기도 전부터 숨죽여 사는 법을 배웠다. 1980년대생은 여러 겹의 얼굴을 가진 세대다. 민생과 기회의 문제에 예민하되, 진보 담론에는 거부감이 적고, 거대 서사에는 반감을 가졌다. 80년대생들은 한때 ‘진보 세대’라고 불릴 만큼 민주당과 정의당 지지 성향이 강했던 집단이었다. 그런데 2022년 3월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를 찍으며, 민주당의 재집권을 막았다. 그만큼 30대 사이에 누적된 반감이 컸다는 방증이다. 그것은 사다리 올라타듯 자산을 확보할 준비를 하던 30대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직격탄을 맞았다. 자연히 집권당인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커졌다. 특히 삼미남(30대 미혼 남성)은 집값 급등 탓에 결혼까지 포기해야 했다. 이들은 IMF 외환위기보다 더 힘든 시기를 보냈다. 1980년대생은 영끌 세대이자, 빚투 세대다.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구입하고, 빚까지 내서 투자할 수밖에 없었다. 그 영끌의 후폭풍으로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았다. 더구나 지금은 ‘장기 인플레이션’의 시대다. 인플레이션의 일상화는 시장의 불안정을 뜻한다. 30대는 시장의 상황을 주시하면서 적절한 대응책이 무엇인지를 눈을 부릅뜬 채 찾아내야 하는 ‘피로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 80년대생은 가장 재수 없는 세대가 될지도 모른다. 이들은 국가가 자신들을 책임져주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월급과는 별개의 소득 창출 수단을 찾아야 하고, 당장의 매출이나 평판보다는 미래의 성장 가능성이 훨씬 큰 직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제 구조와 환경과 정책이 제공하는 경제적 사다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재석의 『세습 자본주의 세대』는 1980년대생들이 경험한 한국 자본주의의 축복과 고통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80년대생은 사다리를 잃은 세대, 결혼을 못하는 세대, 결혼과 부동산 시장의 패자 등으로 불리며, 한국 자본주의의 민낯을 처절하게 경험했다. 이들은 누구보다도 꿈꾸는 대로 살다간 망한다는 지혜를 체득했으며, 부동산 정책 실패의 쓴맛을 보았다. 이들은 각자도생해야 한다는 것을 성인이 되고 나서 깨달았다. 이들에게는 사다리 한 단계를 올라가느냐 마냐가 중요한데, 사다리가 놓인 그 땅 자체가 정글이 되었다. 부동산 자산을 얻을 수 없는 절망감이 이들을 감쌌다. 부동산 자산 증식의 꿈은 속절없이 바스러졌다. 한국 경제는 더는 성장하지 않을 것이며, 저임금과 불안정한 고용 조건의 그림자는 오랫동안 짙게 드리울 것이다.
  • 소득상한제 : 건강한 자본주의로 가는 길 (모두가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고김주희|관련독후감 1
    이 책은 작금의 자본주의 체제가 영속적으로 야기하는 과잉생산과 금융위기, 양극화 및 실업과 부채 문제들을 일소하기 위한 하나의 유효한 방안으로 최저임금과 연동된 ‘소득상한제’를 주장한다. 저자는 경제학 전공자가 아닌 인문학 전공자로서 점점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 가는 특정 계층을 위한 경제 담론들이 아닌, 우리 모두의 경제를 이루어야 할 쉽고 단순한 경제를 이야기한다. 경제 서적이라기보다 인문사회 도서로 보아도 무방하다. 저자는 경제 문제를 단지 정책입안가와 경제전문가에게만 맡기는 대신, 소득상한제 담론을 중심으로 시민들 각자가 우리 사회의 오롯한 경제 주체가 되어 시민들 스스로 더욱 건강한 경제 시스템을 논의하고 만들어 가는 데에 참여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날로 높아가는 취업과 자립의 문턱 앞에서 절망하거나 분노하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여전히 새로운 세상에 대한 꿈과 열망을 다 버리지 않고 있는 2030 세대들을 향해 보내는 희망찬 메시지이기도 하다.
  • 소비를 그만두다 (소비자본주의의 모순을 꿰뚫고 내 삶의 가치를 지켜줄 적극적 대안과 실천)
    |히라카와 가쓰미|관련독후감 1
    일본의 한 지식인이 던지는 부조리한 현대사회에 실천적 대안!『소비를 그만두다』는 자신의 생활을 통해 생각을 증명하는 행동하는 지식인 히라카와 가쓰미가 소비자본주의의 모순과 개인의 삶에 맞닿을 자본주의의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소비’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며...
  • 숲속의 자본주의자 (자본주의의 변두리에서 발견한 단순하고 완전한 삶)
    |박혜윤|관련독후감 3
    ‘나는 요즘 시대에 잘 맞지 않는 것 같아…’ 한번쯤 중얼거려본 당신의 마음을 두드릴 삶의 실험 서울에 살던 평범한 가족이 특별한 계획 없이 미국 시골로 떠났다. 110년된 집에서 밀을 갈고 빵을 구워먹으며 자본주의의 변두리에서 새로운 일상을 찾았다. 소크라테스처럼 삶에 질문을 던지고, 소로처럼...
  • 시간 벌기 (민주적 자본주의의 유예된 위기)
    |볼프강 슈트렉|관련독후감 1
    『시간 벌기』는 1970년 초반 전후戰後자본주의의 황금기 퇴조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약 40년간 세계의 민주적 자본주의가 어떤 구조적 모순과 위기의 궤적을 그려왔는지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동시에 시간을 사들이며 위기를 유예시켰던 방식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해 보여준다....
이전10개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10개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