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검색 결과

검색어 입력폼

'기독교' 대한 검색결과 (도서 122 | 독후감 256)

  • 기독교조직신학개론
    |다니엘 L. 밀리오리|관련독후감 1
    B신학 세계에 첫발을 내딛으려는 모든 이를 위한 이상적 필독서! /b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전면개정판):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은 오랫동안 기독교 신학의 표준적 입문서였다. 이 책은 전통적인 교리를 신선하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할 뿐만 아니라, 현대 신학의 새로운 목소리를 경청하되 비판적으로 다룬다는 큰 장점을 지닌다. 또한 창조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문체를 통해 핵심 논의들을 풀어감으로써 흥미진진하고 균형 잡힌 읽기 쉬운 책으로 정평이 나 있다.
  • 기독교학교 역사에 길을 묻다
    |박상진|백승종|임희국|강영택|한규원|관련독후감 1
    『기독교학교 역사에 길을 묻다』는 기독교학교의 뿌리를 발견하게 해주며, 오늘의 기독교학교가 믿음의 선배들의 헌신 위에 세워진 학교임을 깨닫도록 한다. 초창기 기독교학교가 척박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사명을 감당했는지를 인식하게 할 것이다. 아울러 초기 기독교학교가 교회 및 지역 사회와 어떤 관계를...
  •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윤리 50
    |데릭 프라임|관련독후감 1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윤리 50』은 성경 공부의 참고 도서로, 신앙을 하나님 말씀이란 진리에 기초를 두는 데 도움을 준다. 기독교 신앙과 삶에 대한 가장 공통적인 질문에 포괄적인 답을 제시한다. 성경의 가르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모든 진술의 근거로 성경 구절을 인용한다.
  •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버트런드 러셀|관련독후감 4
    버트런드 러셀의 논리정연하고 유려한 문체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에세이와 주옥 같은 기고문을 편집한 책이다. 버트런드 러셀의 종교에 관한 에세이를 비롯해 지금도 여전히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여러 글들을 모아 엮었다. 러셀은 이 책에서 일관되게 정신의 자유를 강조하며, 열린 가슴과 열린 정신으로 세상을...
  • 넌 세상을 어떻게 바라볼거니? (기독교세계관으로 바라보기)
    |김종걸|관련독후감 2
    김종걸 교수는 침례신학대학교에서 30여 년간 기독교 철학을 가르쳐온 복음주의적 학자이다. 저자는 본서에서 우리 삶의 중요한 6가지 주제인 창조, 성, 교회, 생명, 사회적 이슈, 한국 사회에 대해 깊이 고찰하고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살아가야 할 관점을 처방으로 제시한다. 본 서는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기독교세계관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성경적 관점인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창조신앙이라고 주장한다. 창조신앙은 신앙의 뿌리이며 이것이 흔들리면 모든 것이 흔들리게 된다는 것이다. 2부에서 성(性)을 다루면서 우리사회와 교회에 큰 도전이 되고 있는 동성애, 동성혼은 양성평등을 성 평등으로 환원시키며, “성경의 가르침과 인류의 보편적인 성 윤리에 배치되는 비도덕적인 성적 관행”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동성애를 더 이상 죄라고 말할 수조차 없게 만드는 법안인 차별금지법 제정을 반대하고 있다. 3부는 교회의 본질을 다루면서 가난한 자들과 초고령 사회에 접어드는 시점에 노인들을 위한 교회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4부는 생명 관련 주제로 생명의 종교인 기독교의 입장에서 자살 등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한 이슈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성경적인 답을 제시하고 있다. 5부에서는 인권, 양극화, 다문화사회와 이주자 문제 등 민감한 사회 이슈를 언급하며 기독교적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가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6부에서 저자는 기독교가 이런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한국교회와 사회를 이끌기 위해서는 복음주의적 접근을 해야된다고 주장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공공성과 신학적 책임, 한국교회의 반성,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등에 대한 다양한 해석학적인 해답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자는 그 가운데서도 진지한 복음주의적인 반성이 결국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변혁을 위한 단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기독교 세계관을 갖는다는 것은 단지 지적 세계관을 갖는 것이 아니라, 무한하고 인격이 있으시고 창조주되시고, 구속주되시고, 심판주되시는 하나님에게 인격적으로 의탁하는 것이다. 하나님 중심의 기독교 세계관은 방황하는 현대인 그리고 어정쩡한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소망이요 대답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전10개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10개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