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검색어 입력폼
저자
최준식
독후감
4
책소개 현직 한국학과 교수가 진단하는 한국인과 한국문화. `우리 것은 무조건 좋은 것이여`라는 태도와 `자민족 멸시 혹은 무시주의`의 두가지 시각에서 우리 문화를 객관적으로 살폈다. 집단을 못떠나는 한국인, 우리주의, 무교의 영향, 낯선 것에서 경계 등을 조명했다.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_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_최준식
    최준식 작가의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는 한국 문화의 깊이와 다양성을 살펴보며, 한국인들이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찾고 유지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크게 깊어졌고, 문화에 대한 다양한 논쟁과 시각들에 대한 흥미도 생겼다. 작가는 한국 문화의 본질과 그 발전 과정을 세밀하게 조명하며, 고대 한국의 역사부터 현대 한국의 문화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와 배경에서의 문화적 특성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책에서 두드러진 몇 가지 주요 테마들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보자.
    독후감/창작| 2023.04.03| 4 페이지| 1,000원| 조회(50)
  • [독후감]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독후감]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우리나라가 집단주의 사회라는 것은 여러 군데에서 발견된다. 첫 예로 아마 한국인은 지구상의 어떤 민족보다도 ‘우리’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일 게다. 가령 누구를 소개할 때 “우리 김길동 씨는……”이라고 하면서 맨 앞에 ‘우리’라는 필요 없는 말을 집어넣는다. 또 이름을 말하거나 적을 때 성(性)을 먼저 내세우는 것은 개인마다 고유하게 있는 이름보다는 자기가 속한 가문을 나타내는 성을 먼저 말함으로써 자신은 그 성씨 집안에 속해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즉 앞에서 말한 ‘우리’란 다름 아닌 집이라는 뜻이다. 가령 ‘돼지우리’라 할 때 이 ‘우리’는 바로 울타리 혹은 집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우리’라고 말할 때 그것은 같은 집안 식구인 아주 가까운 사이를 나타낸다. 이렇듯 한국에서는 가장 친밀한 단체가 가족이 되고, 한국인들은 이 가족을 기본 단위로 해서 외부 사회를 파악한다. 유교가 말하는 모든 덕목의 실천은 바로 가정에서 시작된다. 공자는 이렇게 말한다.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간의 우애가 인간적인 도덕성을 실현하는 근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집단주의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나라는 아니다. 일본을 비롯해 아시아의 작은 용이라고 불리는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은 공업화가 상당히 진행된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집단주의 성향이 꽤 강하게 남아 있는 나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일본은 그래도 개인주의 성향이 제일 강한 나라로 간주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게 남아 있다. 현재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이지메’ 현상은 일본 사회에 아직도 강한 집단주의 현상이 잔존하고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을 가장 병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술 마실 때 하는 건배의 표현으로 ‘우리가 남이가’하는 말일 것이다. 즉 한 집안이니 뭉쳐서 우리끼리는 다 봐주고 다른 집단은 타도 혹은 극복의 대상으로만 보자는 지극히 집단적 이기성을 띤 발언이다.
    독후감/창작| 2018.05.01| 6 페이지| 2,000원| 조회(92)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독후감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독후감
    “우리 것이 최고 VS 자국비하 해외파” 저자는 가능한 두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하며, 우리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세계화가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글로벌화,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문화나, 의식을 아는 것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궁금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접근법이 있지만, 저자의 전공이 종교학이기 때문에 중교 문화적 접근방식을 택했다. 저자는 ‘다른 나라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다른 문화를 만나는 것이다. 그들의 문화를 알기에 앞서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그래야 그들의 문화가 보인다.’라고 문화를 정의했다. 문화의 성격은 집단주의, 개인주의로 나눠지는데,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집단주의 사회라고 설명한다. 우리 김길동씨, 우리 아빠, 우리 남편 등 집단주의는 항상 자신을 ‘우리’라는 집단의 일부로 생각한다.
    독후감/창작| 2016.02.03| 3 페이지| 1,000원| 조회(83)
  •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우리 것이 최고 VS 자국비하 해외파” 저자는 가능한 두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하며, 우리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세계화가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글로벌화,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문화나, 의식을 아는 것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궁금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접근법이 있지만, 저자의 전공이 종교학이기 때문에 중교 문화적 접근방식을 택했다. 저자는 ‘다른 나라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다른 문화를 만나는 것이다. 그들의 문화를 알기에 앞서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그래야 그들의 문화가 보인다.’라고 문화를 정의했다. 문화의 성격은 집단주의, 개인주의로 나눠지는데,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집단주의 사회라고 설명한다. 우리 김길동씨, 우리 아빠, 우리 남편 등 집단주의는 항상 자신을 ‘우리’라는 집단의 일부로 생각한다.
    독후감/창작| 2016.02.02| 2 페이지| 1,000원| 조회(57)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