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감이 온다 (잘되는 나를 만드는 은밀한 힘)

검색어 입력폼
저자
한상복
독후감
4
책소개 『감이 온다』는 그런 감이 좋은 사람들이 어떻게 탁월한 ‘감’을 발휘해 일상을 만족과 성취감으로 채워 가는지, 어떻게 하면 우리 내면에서 그런 감을 일깨워낼 수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범접하기 어려운 특별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일상의...
  • 감이 온다 독후감
    감이 온다 독후감
    감이 중요한 건 사실 누구나 알지 않을까 싶다. 현실적인 판단력, 주어진 상황에 대한 냉철한 분석, 그런 것이 동반이 되어야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가 예시를 든 감이 좋아 나중에 후하게 평가를 받은 사례는 사실 되게 미신적인 부분도 있다. 물론 수술을 할 때 위생을 신경 써 손을 깨끗이 씻고 분만을 한 사례는 과학적으로 나중에 환자에게 당연히 감염 방지 차원에서 좋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당연히 제멜바이스도 감으로 한 행위였기 때문에 저자가 언급을 했듯이 자신의 행위에 대해 명확한 근거를 내놓지는 못했다.
    독후감/창작| 2024.04.15| 1 페이지| 1,000원| 조회(17)
  • 감이 온다 독후감
    감이 온다 독후감
    저자는 답이 없는 세상이기 때문에 감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자는 즉각적으로 즉흥적 판단을 내린 거 같지만 탁월한 선택을 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런 사람들의 선택을 단지 운빨로 치부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하였다. 저자는 안심하는 것이 방심을 낳고 감을 잃게 되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저자는 감에는 논리가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오히려 논리 없는 감을 굉장히 안 좋게 여기는 것 같았다. 내가 호감을 줄 수 있는 인물이 된다면 사람들이 몰려들고 좋은 감이 생길 수가 있다고 했다. 맞는 말이긴 하나 감은 판단과 관계된 것인데 인간관계가 상관있나 싶은 생각도 든다.
    독후감/창작| 2024.01.16| 1 페이지| 1,000원| 조회(52)
  • '감이 온다' 독후감
    '감이 온다' 독후감
    감(感)을 사전적 용어로 풀이하면 어떤 대상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기분이나, 직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이다. 이 책은 이런 감이 좋은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5년 2월 위즈덤하우스에서 출판되었고, 저자는 한상복이다. 신문기자로 일하다가 작가로 전업했고, <배려>라는 밀리언셀러를 기록하며 2006년 네티즌이 선정한 올해의 책으로 뽑히기도 했다. 여기 재밌는 실험이 있다. TV의 한 교양프로그램에서 고양이의 뛰어난 균형감각은 어디서 나오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긴 꼬리를 동여맨 뒤 고양이를 담 위에 올려놓았는데 큰 불편 없이 움직였다. 이번에는 눈을 가렸는데도 주춤대거나 발을 헛딛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염을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킨 뒤 고양이를 담 위에 올려주었다. 그러자 고양이가 웅크린 채 꼼짝도 하지 않는 것이었다. 겁에 질려 이동도 하지 않았다. 수염은 고양이의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수염은 고양이의 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결된 일종의 ‘안테나’이다. 고양이의 수염처럼 우리에게 ‘안테나’ 역할을 해 주는 게 느낌이다.
    독후감/창작| 2018.09.12| 3 페이지| 2,000원| 조회(39)
  • 감이 온다 독후감
    감이 온다 독후감
    우리가 사는 세상이 점차 발전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의 천차만별 욕구와 취향을 충족시키려는 기술과 서비스 역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급속도로 증가한 선택과 정보들 사이에서 현대인들은 때로는 방황을 하기도 한다. 자신을 위한 선택과 정보들이 많아서 좋은 점도 있지만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는 안 좋은 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나 개인들은 어떤 방법을 통해 가장 좋은 결과를 내는 선택을 할지에 대한 고민이 오기 마련이다.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에 주로 주목을 했다면 뒷모습 관찰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한상복이 쓴 이 책 『감이 온다』는 조금 다른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염을 안테나 삼아서 방향을 찾는 고양이처럼 인간에게도 안테나 역할을 해주는 느낌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 눈에 보이지 않는 느낌이라는 것은 인간이 탁월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독후감/창작| 2016.01.26| 3 페이지| 1,500원| 조회(80)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