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옥의 탄생 (우리 시대의 고전 6)

검색어 입력폼
저자
자크 르 고프
독후감
4
책소개 정보없음
  • 연옥의 탄생 서평
    연옥의 탄생 서평
    본래 종교인이였다가 현재는 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종교적 문제에도 관심이 어느 정도 있었고, 현재는 종교적으로 신성시되고, 터부시되는 개념들에 반대되는 이견들에 관심이 있었다. 왜 터부시 되었는지, 왜 신성불가침의 영역인건지가 나를 흥미롭게 했다. 예를 들면, 현재 서술하고자 하는 책의 주된 내용인 ‘연옥’이다. 연옥은 가톨릭과 기독교를 나누는 중요한 교리 중 하나다. 가톨릭은 연옥의 존재를 인정하나 기독교는 연옥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신앙인이 생각하는 연옥은 말 그대로 옥(獄)으로, 무엇인가가 갇혀있는 장소이며, 천국과 지옥의 중간지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무엇인가는 죽은 자들의 ‘영(靈)’이며, 속죄의 장소, 또는 잠시 머물러 있는 장소라고 알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개념들이 그리스도교 신앙의 근간인 성경에 존재하는지는 의문조차 없었고, 그렇게 가르쳐왔기에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하지만 근래 들어 알고 있던 개념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고, 의문을 풀어줄 만한 책이 바로 이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독후감/창작| 2019.06.10| 3 페이지| 1,000원| 조회(58)
  • 자크 르 고프 : <연옥의 탄생>을 읽고
    자크 르 고프 : <연옥의 탄생>을 읽고
    연옥이라니, 얼마나 엄청난 것인가! 연옥은 실로 ‘샤토브리앙’의 말처럼 천국과 지옥을 능가하는 것이다. 천국과 지옥에는 없는 ‘미래’를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흔히들 개신교와 가톨릭교회를 나누는 중요한 교리 중에 하나일 뿐으로 알고 있는 ‘연옥’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자크 르 고프(Jacques Le Goff)는 아주 집요하게 그 기원부터 파고든다. 중세를 ‘암흑의 천 년’으로만 해석하는 것에 대항하여 ‘긴 중세’를 소개한 대표적인 중세사학자인 그는, 왜 하필이면 ‘연옥’에 주목하게 되었을까? 항간에서는 자크 르 고프가 예민한 종교 문제를 건드렸다고 불쾌해하며 ‘좋은 머리를 가지고 쓸데없는 작업을 했다’고도 비판했지만, 그의 서적은 놀랍게도 ‘종교’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그는 ‘연옥’을 통해서 그러한 개념이 탄생하게 된 ‘시대’를 보고자 했으며, 그 시대 속에 살고 있었던 사람들의 ‘변화’를 보고자 했다. 마침내 그는 이 장대한 연구서를 통해 ‘긴 중세’를 논(論)할 수 있는 하나의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독후감/창작| 2018.12.11| 5 페이지| 1,000원| 조회(87)
  • 연옥의 탄생을 읽고
    연옥의 탄생을 읽고
    천국과 지옥 양 갈래 사이에 놓인 공간이 실재할까? 실재한다고 장담할 수 없으나 있을 거라고 추정할 수는 있다. 이 질문을 놓고 자크 르 고프는 잊혀졌던 연옥의 과거를 들추어 존재성을 양지로 끌어낸다. 이 책은 첫 장부터 연옥이 탄생하기 이전기와 개념이 형성되는 연대기를 따라 서술하여 작품의 소재로 완성된 단테의 『신곡』에서 대단원을 마감한다. 한 편의 연옥 대서사시가 완성되었다고 평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저작을 감행한 용기는 아마도 저자의 꼼꼼한 성격이 한 몫을 했을 거라고 본다. 이 점은 르 고프가 치밀하고 빈틈없는 서술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미루어 볼 수 있다. 연옥이란 용어를 푸르가토리움(purgatorium)과 로쿠스 푸르가토리우스의 의미를 추적하고 편파적인 해석을 지양하고자 연옥을 반대하는 입장과 사례를 첨가하여 두루 기술한다. 다만 저자가 저술하기에 앞서 연옥을 성급하게 정의하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한다.
    독후감/창작| 2015.11.26| 3 페이지| 1,500원| 조회(89)
  • 자크 르 고프 연옥의 탄생 서평
    자크 르 고프 연옥의 탄생 서평
    자크 르 고프는 연옥의 탄생에서 연옥 개념이 오랜 기간 동안의 준비 과정을 거쳐 마침내 12세기에 탄생하게 되는 과정을 방대한 문헌과 사료들에 근거하여 보여준다. 아날학파의 대표적 학자인 르 고프는 중세인들의 심성 속에서 사후의 속죄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비롯된 정화하는 불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공간화 되어 연옥이라는 장소로 자리매김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연옥의 탄생사에 얽힌 사회문화적 맥락을 풀어낸다. 이 글에서는 심성과 그것의 공간화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연옥의 특성과 그것의 탄생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볼 것이다. 연옥의 심성(mentalité) 심성이란 어떤 시공간의 사회문화적 집단이 가지는 태도, 정신, 그리고 세계관과 같은 것들을 이르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르 고프를 포함한 후 세대의 아날학파는 이러한 심성에 관심을 가지고 초점을 맞춰 역사를 바라보려 한다. 따라서 심성에 대한 연구는 일종의 문화사적 측면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독후감/창작| 2015.11.26| 4 페이지| 1,500원| 조회(84)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