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검색어 입력폼
책소개 그런데 코로나19가 불과 석 달 만에 한국 학교의 수업 양상을 완전히 바꾸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상 처음 온라인 개학 상황을 맞이한 교육현장은 분주하고 어수선했다. 온라인 수업 앞에 모든 것이 노출됐으며 학교 교육의 민낯이 드러났다. 강제 경험이 낳은 부정적 요소들을 준비된 시스템으로 혁신하기 위해...
  • 코로나19, 한국교육의 잠을 깨우다 독후감(서울교대)
    코로나19, 한국교육의 잠을 깨우다 독후감(서울교대)
    돌이켜보면, 코로나 19가 우리 삶에 들어온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12월 말 정도부터 중국의 우한에서 폐렴증세를 보이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우리나라가 두려움에 떨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약 한 달이 지난 후였다. 당시만 해도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그리고 전 세계에 퍼져나가 세상을 바꾸어놓을 것이라고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8월 20일 기준), 코로나 19는 다시 우리나라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고 학교는 야자를 하지 않고 학원들은 휴원하여 마치 겨울방학 시기로 되돌아간 것만 같고 하루빨리 코로나 19가 잠잠해지길 바랄 뿐이다. 사실 그 사이에는 정말 많은 변화들이 있었는데 마스크 대란,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의 생활화. 실업자 증가와 재택근무 확산, K-방역 부상, 언택트문화 확산, 추경과 코리아 뉴딜정책 발표 등....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바꾸어 놓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독후감/창작| 2022.07.21| 2 페이지| 1,000원| 조회(21)
  • 코로나 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코로나 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 온라인 수업을 전국적으로 동시에 한 것은 처음이다. 교육부나 교육청의 지시 이후 실제 준비 시간은 일주일밖에 되지 않아 혼란스러웠다는 선생님들이 계셨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은 어땠으며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 교실에서 쓸 수 있는 교육 콘텐츠에 집중해서 블로그 같은 데 공유했는데 온라인 수업이 시작되고 매일 3만명 정도가 들어왔다. 그만큼 온라인 수업이 급작스러운 거다. 선생님들이 당장 내일 온라인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수업해야 하는데 직접 만드는 데는 제한이 많아 저작권 문제 등 현장에서 상당히 잡음이 많았다. 영상 제작은 물론이고 정보 기기 등에 별 관심이 없는 대부분의 선생님들을 어떻게 끌고 갈 것인지 가장 고민이 된다. • 올해 2월 하순, 개학을 연기하다 결국 온라인 수업을 전면 도입하기로 했을 때 학교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당시 언론 인터뷰를 하면 많은 선생님들이 말이 되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막상 닥치니 다들 열정을 갖고 배우고 있다. 교사 집단은 기본 역량이 뛰어나서 닥치면 하는데 그렇게 움직이기까지가 상당히 힘들다. 작년에 교육청에 있을 때만 해도 학교에 와이파이도 없었고 네이버나 구글 같은 상용 메일도 불가능했다. 그런 것들을 좀 풀어달라고 하면 보안이나 행정문제가 있다며 거절당했다. 그런데 코로나19사태로 모든 게 한 번에 뚫렸다. 교육보다 위에 있던 온갖 행정의 논리가, 공감대만 형성되면 이렇게 쉽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었다. 많은 선생님들이 온라인 수업을 활용했기 때문에 당황은 했지만 적응을 어려워하지 않았다. 경험이나 인프라가 좀 더 갖춰져 있었으면 훨씬 더 풍부한 온라인 수업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선생님마다 다양한 방법을 자기 것으로 흡수해서 나만의 수업을 만들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게 중요하다. 또한 개인 기기가 없는 아이들에게 바우처 지급을 하거나 대여를 해 주는 것이 어떨까 싶다.
    독후감/창작| 2020.08.29| 19 페이지| 2,500원| 조회(653)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