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권력과 인간

검색어 입력폼
저자
정병설
독후감
2
책소개 왜 아버지는 아들을 죽였을까? 문학동네 까페에서 매주 연재되며 독자들과 실시간 지식 소통의 통로가 되어 준 「우리 시대의 명강의」프로젝트 두 번째 책, 『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이 출간되었다. 매주 수요일 연재된 정병설 교수의 『권력과 인간』은 사도세자의...
  • [독후감상문(한국사)] 권력과 인간 -정병설
    [독후감상문(한국사)] 권력과 인간 -정병설
    과연 어떠한 말을 하였을까? 뒤주 속에서 숨을 거두기 전에 그가 한 말을 상상해보려 하였지만 결국 할 수 없었다. 평범한 죽음조차 감히 상상하기 어려운데 더욱이 뒤주에서 칠팔일 동안 서서히 죽어간 그의 마음과 생각은 가늠조차 할 수 없었다. 하지만 분명 그는 두려웠을 것이고, 반드시 살고 싶었을 것이다. 살아 있는 자는 결코 상상할 수 없는 죽음, 역사가 기억하는 죽음을 간직한 세자, 한 인간으로서 그의 죽음에 좀 더 다가가고 싶어졌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단 한사람의 단순한 죽음이 아니다. 그의 죽음에는 조선의 역사 얽혀있다. 그의 죽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 일세기의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이 사건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배경과 경과, 나아가 그에 대한 담론의 변화까지 알아야 한다고 지은이는 말하고 있다. 본인 역시 '이야기‘보다는 ’사실‘이 간절했다. 무엇보다도 역사의 현장 속에서 그를 바라보고 싶었다. 어느새 정조의 비통한 울음이 들리는 것 같았다.
    독후감/창작| 2016.10.08| 3 페이지| 1,000원| 조회(108)
  • 권력과 인간 독후감 정병설
    권력과 인간 독후감 정병설
    우리 역사에서 사도세자는 역사학자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는 인물 중 하나이다. 이는 우리 역사에서 왕인 아버지가 후계자인 자신의 아들을 죽였던, 비극적인 사례는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송강호, 유아인 주연의 영화로도 다시 만들어지기도 했다. 물론 이전에도 영화나 드라마 혹은 소설 속에서 사도세자는 단골 인물로 등장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 국문과 교수인 저자 정병설은 기존의 학설들을 비판하고,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새로운 원인을 혜경궁 홍 씨의 ‘한중록’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료를 통해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역사학자가 아니라 국문학자의 주장이라 더 흥미롭다. 비전문가라는 선입견은 잠시 뒤로 하고, 저자의 설명을 들어가면, 저자의 주장에 동의 여부와 상관없이, 저자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쓰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다.
    독후감/창작| 2015.11.23| 2 페이지| 2,000원| 조회(205)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