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경제는 지리 (지리로 포착한 세계경제 40장면)

검색어 입력폼
저자
미야지 슈사쿠
독후감
4
책소개 지리로 포착한 세계경제 40장면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것은 바로 지리! 지리를 통해, 세계의 지금을 포착하고 미래의 경제를 읽어 낸다. 지리는 표면적인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지역에서 벌어지는 각종 정보를 수집, 분석해서 그 지역만의 특징을 찾아내는 학문이다. 지리란 다름 아닌 <지구상의 이치>이며...
  • <경제는 지리> 독후감
    <경제는 지리> 독후감
    1. 어떤 계기로 이 책을 읽게 되었는가? 대한민국은 자원 빈국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세계 6위 수출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세계 경제가 단일 시장으로 향하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더 잘 살기 위해서는 지리적 관점으로 세계 경제를 보는 안목은 필수 조건이다.
    독후감/창작| 2024.03.26| 1 페이지| 2,000원| 조회(8)
  • 경제는 지리 독후감
    경제는 지리 독후감
    이 책을 사서 읽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경제는 지리’라는 책의 제목 탓이 크다. 나는 평소 신문이나 책을 읽을 때, 넓은 시각으로 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한다. 경제와 지리의 연관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면 좀 더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목차를 보고 다양한 사례들을 저자가 범주화한 ‘입지’, ‘자원’, ‘무역’, ‘인구’, ‘문화’에 입각하여 이야기를 구성한 책임을 알았다. 그래서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머리를 식힐 겸, 이 책을 사게 되었다. 지리를 통해 경제를 보고, 경제를 통해 지리를 살펴보는 과정이 즐거웠다. 저자가 범주화한 ‘입지’, ‘자원’, ‘무역’, ‘인구’, ‘문화’ 순으로 책을 읽고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써보겠다.
    독후감/창작| 2021.02.05| 3 페이지| 1,000원| 조회(346)
  • [독후감] 경제는 지리, 미야지 슈사쿠 저, 오세웅 역(2018). 7분의언덕
    [독후감] 경제는 지리, 미야지 슈사쿠 저, 오세웅 역(2018). 7분의언덕
    Ⅰ. 서론 지리와 역사는 자동차 두 바퀴와 같은 것으로 어느 한쪽에 대한 이해 없이는 다른 한쪽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역사에 관해 이야기할 때, 당시의 지리적 조건에 대한 지식과 함께라면 한층 더 심도 있는 대화가 가능해진다. < 중 략 > Ⅱ. 본론 1. 입지: 지리적 이점으로 본 경제 전략 자원 빈국일수록 어디서 자원을 조달하고 이를 어떤 방법으로 수송할지 등의 국가 정책을 지리적 조건에서 따져보는 ‘지정학’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지리학은 지정학을 배우는 데 가장 적합한 학문이다. 지정학적 관점에서 일본에게 가장 중요한 나라는 동남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이다. 일본은 석탄, 철광석, 천연가스의 상당량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며 해당 자원을 실은 선박은 동남아시아를 통과한다. 즉 일본의 경제 전략에 있어 오스트레일리아는 생산 요소를 수입하는 곳이며 동남아시아는 가장 중요한 해상교통로이다.
    독후감/창작| 2020.03.05| 4 페이지| 2,000원| 조회(157)
  • [서평] 경제는 지리
    [서평] 경제는 지리
    지정학'이란 말이 있다. 위치에 따라 정치(국제 정치가 외교다)가 달라진다는 내용이다. '브레진스키'의 '거대한 체스판'이란 책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책은 유라시아 대륙을 누가 컨트롤하느냐가 인류의 역사라 했다. 정치보다 지역에 방점을 찍었다. 이 책은 지리를 통해 경제를 본다. 사람은 자신이 딛고 있는 땅 위에서 뭔가를 한다. 지정학에 대응해 말하면 지경학이라 해도 되겠다. 지리학은 자연지리와 인문지리, 이를 합한 지지학이 큰 얼개다. 259쪽이다. <지리를 배울 때는 지형, 기후 같은 자연지리에서 출발하여 농림수산업, 공업, 인구, 도시, 교통통신, 인종 민족 등 인문지리를 배우고 그 다음 이 모두를 나라별, 지역별로 총괄한 지지학으로 끝맺습니다> 자연 지리를 일종의 토대, 하부구조, 인프라 스트럭처라고 한다면, 인문 지리가 상부 구조겠다. 상부 구조는 인프라에 통제를 받는다는 게 현대적 개념(의식< 무의식을 이야기한 건 프로이트, 경제적 토대가 이데올로기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칼 막스의 주장)이니, 인문 지리보다는 자연지리가 더 중하겠다.
    독후감/창작| 2019.01.14| 3 페이지| 1,000원| 조회(396)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