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왕의 선물 2 (선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검색어 입력폼
저자
심경호
독후감
1
책소개 선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지금부터 620년 전에 탄생해 519년 동안 나라를 다스린 조선의 역대 국왕들은 누구에게 어떤 선물을 보냈을까? 그리고 그들은 그것을 어떻게 활용했을까? 조선 왕조를 이끈 27명의 국왕들은, 사대부나 외국 사신들에게 증여한 유형무형의 선물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고, 사대...
  • 조선국왕의 선물 레포트
    조선국왕의 선물 레포트
    조선의 국왕이 증여한 하사품속에 숨겨진 ‘정치’에 대하여 조선은 1392년에 건국된 대한민국의 마지막 왕조로서,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기 전까 지 약 500년의 장구한 세월을 존속해왔던 왕조이다. 일반적으로 왕조는 200~300년을 주기 로 생성하고 멸망하는데 이에 조선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그 역사가 긴 만큼 다른 어떤 왕조에 비해 더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고, 획일화된 대외 정치를 가졌다 고 보기 힘들다. 이 리포트에서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 후기의 전반적인 대외관계와 그 시 대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 대일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겠다. 조 선의 국왕들이 선물이라는 말로 포장하여 증여한 물품이 단순히 증여품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며 그 안에 담긴 정치적 속성들을 나름대로 고려하여 서술하겠다. 먼저 중국과의 관계 를 서술하자면,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외교정책의 하나로는 중국의 왕조에 대해서 사대정책 을 취하는 것이었다. 태조 이성계는 즉위 이전부터 친명정책을 표방하였으며 개국이후에도 즉시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새 왕조의 승인을 청하고 국호도 두 개를 지어 보내서 선택받아 사용할 정도였다. 또한 국왕이 즉위할 때에는 반드시 명나라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돌아가 셨을 때에는 이를 알려서 시호를 받았으며 종속의 상징으로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형식적인 종속관계를 유지 하였다. 실 질적인 유대를 맺게 되는 것은 조공에 의해서였는데, 그 조공 물품에는 금, 은, 마필, 인삼, 저포, 마포, 석자류, 호피, 나전 등이 있었다고 한다. 이 관계는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 부터 조금씩 틀어지기 시작하는데,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해 원병을 보낸 명나라는 이 로 인해 국력이 소모된 사이에 만주지방에서 누루하치가 후금이란 나라를 세우게 된다.
    독후감/창작| 2015.03.04| 5 페이지| 1,000원| 조회(73)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