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조선의 딸, 총을 들다 (대갓집 마님에서 신여성까지, 일제와 맞서 싸운 24인의 여성 독립운동가 이야기)

검색어 입력폼
저자
정운현
독후감
2
책소개 『조선의 딸, 총을 들다』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대열에서도 푸대접을 받고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 24인의 삶과 행적을 복원한 책이다.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신채호의 아내 박자혜, 이봉창·윤봉길의 의거를 도운 백범 김구의 비서 이화림으로 기억되지만, 그들은 어머니나 아내이기 이전에...
  • [독후감] '조선의 딸, 총을 들다'를 읽고
    [독후감] '조선의 딸, 총을 들다'를 읽고
    역사를 움직인 주체를 남성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남성조차 여성이 없었다면 태어 나지도, 그리고 역사의 주체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역사를 이끌어간 주체는 남성만 이 아니다. 그 남성을 낳은 여성들 역시 남성과 대등하게 역사를 이끌어간 당당한 주 체였다. 1910년 일본이 강압적이고 비열한 방법으로 대한제국을 강제 점령한 후 우리 민족 은 36년 동안 일제의 폭압 하에 처절한 삶을 보내야했다.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자신의 자산을 독립운동에 모조리 바친 우당 이회영 일가, 석주 이상룡 일가를 비롯 하여 수 많은 남성들이 한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가산과 목숨을 바쳤다. 하지만 오 직 남성들만이 독립운동에 나섰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우리는 알지 못하지만 실 제로 많은 여성들이 나라의 독립과 조국의 광복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려가면서까 지 독립운동을 해왔다.
    독후감/창작| 2021.04.13| 1 페이지| 1,000원| 조회(86)
  • 조선의딸,총을들다
    조선의딸,총을들다
    역사에 대해 일도 모르는 나지만 사극은 좋아하는 편이다. 어느 날 티비에서 재방송 해주는 사극을 보며, 아버지에게 물었다. 아빠 왜 대부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만 나와요? 그에 대한 답은 조선에 대한 자료가 제일 많이 남아 있어서였다. 그리고 조선은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이 창설되기 전의 시대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조선은 193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해 1910년 까지 519년이라는 오랜 기간 이어져 왔던 나라였다. 그리고 우린 1910년에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고 만다. 내가 가지고 있는 작은 물건하나 남에게 빼앗기면 억울하고 분통이 터지는데 나라를 빼앗긴 기분이라 함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 억울한 일을 또다시 겪지 않기 위해, 그리고 그 당시 우리나라를 지킨 이들을 기억하기 위해 우린 어렸을 때 일제 강점기에 대해 배운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인물들은 그리 많지 않다. 난 워낙 학업에 관심이 없던지라, 우리가 아는 안중근의사, 김구선생님, 유관순열사 이 분들이 독립운동을 다 한줄 알았다.
    독후감/창작| 2018.07.28| 3 페이지| 1,000원| 조회(218)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