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나쁜 뇌를 써라

검색어 입력폼
저자
강동화
독후감
4
책소개 우리에게 도움이 안 될 것 같고,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그래서 거의 사용하지 않으려 하는 ‘나쁜 뇌’. 실수하는 뇌, 합리화하는 뇌, 왜곡하는 뇌, 망각하는 뇌, 비합리적인 뇌, 냉정한 뇌, 중독된 뇌, 병든 뇌 등의 ‘나쁜 뇌’는 얼핏 부정적으로 보이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긍정적인 뇌 기능들이 갖지 못한 매력이 있음을 증명하는 책이다.
  • 나쁜 뇌를 써라 독후감
    나쁜 뇌를 써라 독후감
    나쁜 뇌란 무엇일까? 나의 주의력 결핍, 나의 기억력 결핍 등 지금껏 나의 뇌 역량 중 나쁜 쪽에만 집중해서 보완시키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강동화의 ‘나쁜 뇌를 써라’... 어떻게 나쁜 뇌를 강화시켜 남들과 비슷하게 생활 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을 안고 책을 맞이했다. 쩝... 강동화는 뇌의 좋고 나쁨이 아닌 뇌 기능 중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단점이 결코 단점으로 끝이아닌 그 속에도 장점이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독후감/창작| 2022.04.07| 2 페이지| 1,000원| 조회(20)
  • 도서 “나쁜 뇌를 써라. 강동화 저. 위즈덤하우스.”를 읽고 8개 챕터 중 1개를 선정하여 독후감 쓰기
    도서 “나쁜 뇌를 써라. 강동화 저. 위즈덤하우스.”를 읽고 8개 챕터 중 1개를 선정하여 독후감 쓰기
    Ⅰ. 서론 뇌의 부정성조차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뜻밖의 지혜, 나쁜 뇌를 써라 라는 책에서는 뇌와 기억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본인은 8개의 챕터 중에서 3챕터인 왜곡하는 뇌-왜곡의 두 얼굴, 거짓과 긍정(기억의 왜곡은 부정적인 기능만 할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본인의 기억 오늘하루 동안 있었던 일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서 카페에 가서 1시간동안 이야기를 하였던 것이다. 반년 만에 만난 친구를 보자마자 내 자신도 모르게 너무 반가웠다. 만나서 친구를 안아보고 바로 근처 카페에 들어갔고 주문을 하였다. 내 자신은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시켰고 내 친구는 바닐라라떼를 주문하였다.
    독후감/창작| 2020.03.11| 4 페이지| 1,500원| 조회(28)
  • 도서 “나쁜 뇌를 써라, 강동화 저, 위즈덤하우스”를 읽고 8개 챕터 중 1개를 선정하여 독후감 쓰기
    도서 “나쁜 뇌를 써라, 강동화 저, 위즈덤하우스”를 읽고 8개 챕터 중 1개를 선정하여 독후감 쓰기
    나쁜 뇌를 써라라는 책을 읽기 전에 먼저 책의 겉표지를 보았을 때, ‘뇌의 부정성 조차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뜻밖의 지혜’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책의 뒤쪽에 ‘나쁜 뇌를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이 당신의 삶이 성공으로 이끈다’ 라는 글을 보았을 때 무언가 이 책에 대한 흥미가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이 책중 한 챕터인, 책의 223페이지부터 시작하는 ‘공감하는 뇌’ 라는 부분이 마음에 들어서 선택하게 되었다. 책을 읽다가 보니 정말 재미있는 부분이 많이 있었는데 지금부터 한번 이야기 해보겠다. 제일 처음에 배우 김명민의 이야기를 하면서 시작하게 되는데, 배우 김명민은 한 역할을 맡을 때, 자신이 온전히 그 역할로 몰입하여 그 역할의 삶을 살게 되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독후감/창작| 2018.09.18| 3 페이지| 2,000원| 조회(34)
  •   [A+ 서평/독후감] ‘나쁜 뇌를 써라’를 읽고
    [A+ 서평/독후감] ‘나쁜 뇌를 써라’를 읽고
    저자 강동화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아산병원 울산의대 신경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은 우리가 평소에 쓸모 없다고 생각하고, 활용하지 않는 소위 말하는 나쁜 뇌에 대해 파헤치고, 그것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흔히 좌뇌와 우뇌를 말하는데 사람마다 좌뇌가 발달한 사람과 우뇌가 발달한 사람으로 나뉘어지며, 저자는 여기에 국한하지 않고, 실수하는 뇌, 합리화 하는 뇌, 왜곡하는 뇌, 망각하는 뇌, 결정하는 뇌, 공감하는 뇌, 몰입하는 뇌, 창조하는 뇌의 총 8가지 분류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독후감/창작| 2011.09.25| 2 페이지| 1,000원| 조회(778)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