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데이터가 보인다 (원리로 깨우치는 데이터 분석 기법)

검색어 입력폼
책소개 데이터 과학자와 분석가가 알아야 할 데이터 분석의 기초와 활용 『데이터가 보인다』. 1장에서는 데이터 분석 방법과 분석 시스템의 기반기술의 전체 모습을, 2장에서는 데이터 분석의 기초지식을, 3-6장은 데이터 분석의 기본적인 방법을, 7-9장은 분석 시스템의 기반기술을 IT 전문지식이나 통계분석에...
  • [서평] 데이터가 보인다
    [서평] 데이터가 보인다
    1. 평균 데이터가 보인다는 말은 데이터 '가시성'을 나타내자는 의미다. '인포그래픽'이 아니라 '통계'를 배워야 한다. 통계가 '거짓말'이라는 주장이 있는 바, 이는 의도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통계가 거짓말을 할 필요가 있겠는가. 사심 많은 인간이 자신의 의도에 맞게 조작할 뿐이다. 물론 통계라는 업은 모집단에서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것이니 어떤 식으로든 의도가 반영될 수 밖에 없음은 자명하다. 문장을 뽑아내서 의미를 잡는다는 '단장취의'의 약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속지 않기 위해서는 통계의 기초는 알아 두면 된다. 에버리지와 미디언의 차이를 안다면 도시가구 평균(에버리지)소득보다는 중위(미디언)소득을 찾아봐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평균의 종류는 크게 산술, 기하, 조화 평균이 있다. 14쪽이다. <여러분이 일반적으로 평균이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산술평균으로 복수개의 수치의 합계를 수치의 갯수로 나눠서 얻을 수 있다.
    독후감/창작| 2017.07.10| 3 페이지| 1,000원| 조회(55)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