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9세기 독일가곡

검색어 입력폼
저자
로레인 고렐
독후감
1
책소개 오늘날 예술가곡이라 불리는 가곡의 19세기 독일에서 의 형태와 전개를 고찰한 연구서. 시와 음악, 작곡가/성악가/그리고 공연들, 19세기 여성 음악가들, 펠릭스멘델스존, 잘 알려지지 않은 가곡 작곡가들 등 15개 장으로 나누어 악보와 사진과 함께 엮었다.
  • <19세기 독일가곡>중 1, 3, 4장을 읽고 요약 및 느낀점
    <19세기 독일가곡>중 1, 3, 4장을 읽고 요약 및 느낀점
    19세기 독일가곡은 독일 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가곡에서의 시와 음악의 통합에는 많은 논란과 다양한 견해가 있었는데, 쇤베르크는 음악과 가사의 표면적인 일치는 내면적인 일치와 관계가 없으며 시의 역할은 단지 부차적 역할에만 국한된다고 하였고, 파울 헨리랑은 19세기 가곡과 음악의 가사를 통합하는데 있어서 슈베르트를 화음이나 기악반주 같은 순수한 음악적 요소를 시와 선율의 중요성과 동등한 정도로 고양시키는 역할을 하며 시와 음악의 조화를 이루기에 충분한 영역으로 가곡을 이끌었다고 평가하였다. 슈만은 가곡에 있어서 시의 역할에 대해 높이 인식하였는데, 노르베르트 부르크뮐러에 대해 높이 평가하며 미묘한 음악적 인식 속에서 시의 가장 섬세한 효과를 창조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성악곡의 가사에 얼마만큼의 중요도를 부여할지에 관한 논쟁도 치열했다. 빈첸초 갈릴레이와 글룩은 가사에 맞춰 곡을 써야 한다는 개혁운동에 참여했던 반면에 모차르트는 가사는 단지 음악의 보조적인 요소라고 보았다. 작곡가는 자신의 곡에 가사의 의미를 강화하거나 특정한 가사의 의성어를 강조할 수도 있었다. 전통적으로 가사는 선율이나 리듬만큼이나 성악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였다. 기악이 듣는 이에게 일반적인 분위기를 전달한다면, 가곡은 듣는 이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가사가 곡에 사용되면서 순수기악곡보다 덜 추상적이 되기 때문이다. 초기의 가곡작곡가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는 시의 표현을 위해 음악은 배경만을 제공하는 단순한 곡조로 작곡하였다. 괴테는 라이하르트의 곡을 선호했는데 시를 중심으로 들을 수 있어서였다. 초기의 가곡은 시인에게 작곡가와 동일하거나 더 우월한 지위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쇤베르크나 매트너는 음악의 중요성을 더 강조했는데, 특히 매트너는 자신이 시인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면에 볼프는 시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위대하다고 평가를 받는데 그가 살았던 19세기 후반에는 시를 좀 더 중요시하였기 때문이었다.
    독후감/창작| 2019.08.31| 7 페이지| 2,000원| 조회(181)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