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NRL-KO에서의 ERG 변화 분석

콩돌밤돌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12.28
최종 저작일
2021.12
12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NRL-KO에서의 ERG 변화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Abstract
1.2. Introduction

2. 본론
2.1. 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3. 결과 및 고찰
3.1. 결과(Result)
3.2. Discussion

4.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1.1.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시각신호 측정법 중 하나인 Electroretinogram(ERG) 기법을 이용할 것이다.
어린 마우스와 나이든 마우스에서 ERG를 시행한 결과 나타난 a-wave와 b-wave에서의 차이점을 토대로 시각 신경의 노화양상을 파악할 것이다. 또한 그 원인을 추론하며 노화와 세포 기능 저하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Nrl gene의 기능과 작용 기작에 대한 확인을 위해 ERG기법을 이용할 것이다. 이를 앞선 두 어린 마우스, 나이든 마우스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노화와 Nrl gene과의 관계 또한 파악할 것이다.

1.2. Introduction

1) Electroretinogram(ERG)
· ERG는 망막의 광수용체(Rods, Cones), 망막 내부세포, 신경절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들의 전기적반응을 측정하는 검사방법이다. 망막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각막 표면 또는 눈 밑 피부에 전극을 배치한다. 기록 중 대상의 눈이 표준화된 자극에 노출되면 결과 신호가 진폭으로 시간 코스를 표시한다. a-wave, b-wave의 진폭과 시간패턴은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강도 및 주변 조도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파동 기울기와 진동 전위와의 상관관계는 내부 망막 장애를 식별하는 유용한 지수가 될 수 있다.
· 어둠에 적응한 눈에서는 희미한 빛에 ERG가 수행되고 주로 Rod system에서 발생한다. 반면 조명에 적응한 눈에서는 플래시가 Cone system에서 활동을 일으킨다. 충분한 밝기의 빛은 a파(초기음성파)를 유도하고 이어 b파(양성파)를 유도한다. 파동의 앞부분은 photoreceptor에 의해 생성되고, 나머지 단계는 bipolar, amacrine, Muller cells 및 muller glia의 통합적인 작용으로 생성된다.
· ERG는 임상진단 목적으로 주로 쓰이나, 이 외에도 신약 개발 과정과 임상 시험에서 신약 또는 기존 약물의 안구 안정성 및 효능, 치료방법 등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특히 조현병 환자에서의 ERG 결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토대로 ERG는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를 구별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참고 자료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ctroretinogram a-wave, b-wave and oscillatory potentials and their application to clinical diagnosis - PubMed (nih.gov)
Stockton RA, Slaughter MM. B-wave of the electroretinogram. A reflection of ON bipolar cell activity. J Gen Physiol. 1989 Jan
The Electroretinogram: ERG by Ido Perlman – Webvision (utah.edu)
Jiang, X., Mahroo, O.A. Negative electroretinograms: genetic and acquired causes, diagnostic approaches and physiological insights. Eye 35, 2419–2437 (2021)
Mears AJ, Kondo M, Swain PK, Takada Y, Bush RA, Saunders TL, Sieving PA, Swaroop A. Nrl is required for rod photoreceptor development. Nat Genet. 2001 Dec;29
https://ko.wikipedia.org/wiki/원추세포
https://ko.wikipedia.org/wiki/간상세포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oretinography
https://en.wikipedia.org/wiki/Evoked potential
https://en.wikipedia.org/wiki/NRL(gene)
https://en.wikipedia.org/wiki/Photoreceptor_cell
https://sydneynorthneurology.com.au/visual-evoked-potential-vep/
https://pubmed.ncbi.nlm.nih.gov/31277872/visually evoked potentials
콩돌밤돌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NRL-KO에서의 ERG 변화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