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Color-Tunable Light-Emitting Polymers via the Controlled Oxidation of MEH-PPV

케미곰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9.08
최종 저작일
2020.12
11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화학실험기법2 A+ 받은 레포트입니다. 잘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화학실험기법2 A+ 받은 레포트입니다. 잘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ethod
I. Preliminary
II. Oxidation of MEH-PPV in chloroform using m-CPBA
III. Oxidation of MEH-PPV in THF m-CPBA

4. Results & Discussion

5. conclu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이번 실험의 목적은 π-conjugated system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배우고particle in a box model을 이용해 광학적 특성을 이해해보는 것이다. π-Conjugated polymer인 MEH-PPV를 oxidation 시켜서 색을 control 한다. MEH-PPV와 m-CPBA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고 각 반응 조건에 대해 알 수 있는 결과를 조사한다. 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복잡한 구조, limit, blue shift에 대해 알아본다. 산화제와 반응한 시간, 농도, 용매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고 고분자의 광학적 성질에 대해 알아본다.

2. Introduction
PLED (Polymer Light Emitting Diode)는 고분자 발광재료를 이용한 고분자 유기발광 다이오드로 간단한 공정이 가능하고 flexible 디스플레이로의 응용이 가능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형광 분자와 나노 입자는 높은 sensitivity와 간단한 multiplexing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sensing 분야에서 사용되며 발광 다이오드 및 태양 전지와 같은 광전자 device 제조에도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되는 MEH-PPV 또한 Solar cell과 OLED에 많이 쓰이며 높은 형광 효율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MEH-PPV는 π-conjugated polymer의 대표적인 물질이다. π-conjugated polymer는 이중결합과 단일결합이 교대로 연결되어 있는 monomer들이 중합된 고분자이다. 단일 결합과 이중결합이 반복되어 형성된 π-conjugated structure 때문에 기존의 고분자에 비해 낮은 band gap energy를 가지고 있으며 반도체적 전기 전도성과 visible 영역대에 해당하는 흡수 및 발광의 특징을 나타낸다.

참고 자료

전창덕.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ange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by Concentration of MEH-PPV.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08, p.184-185
강미정ᆞ우한영. 공액 고분자와 센서 응용.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09, Vol. 20, No. 4
이명호ᆞ김영관ᆞ손병청.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EH-PPV Langmuir-Blodgett Film.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1997, Vol. 14, No. 3, 79~87
이화여자대학교. Lecture PPT file. 2020, p.11-15
이화여자대학교. Physical Methods in Chemistry II Lab Manual. 2020, p.16-20
Yi-Jia Zhao, Kesong Miao, Zhengtao Zhu, Li-Juan Fan. Fluorescence Quenching of a Conjugated Polymer by Synergistic Amine-Carboxylic Acid and π–π Interactions for Selective Detection of Aromatic Amines in Aqueous Solution. ACS Sens. 2017, 2, p. 842-847
김재호. Paraffin을 이용한 CdSe양자점 합성 및 특성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p.21
8 Duncan, T. V.; Park, S. -J. “A New Family of Color-Tunable Light-Emitting Polymers with High Quantum Yields via the Controlled Oxidation of MEH-PPV” J. Phys. Chem B. 2009, 113, 13216.

자료후기(1)

케미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Color-Tunable Light-Emitting Polymers via the Controlled Oxidation of MEH-PPV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