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안전과 생활 - 학교 및 학교 주변에서의 안전 사고 사례 (안전의 사각지대, 대학교의 사건사고)

교나7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3.05
최종 저작일
2020.03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안전과 생활 - 학교 및 학교 주변에서의 안전 사고 사례 (안전의 사각지대, 대학교의 사건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가. 실험실 사고
1) 화학물질 취급 부주의로 인한 폭발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2) 경북대 폐기물 폭발 사고 사례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3) 대학 실험실 내 사고의 문제점과 대책

나. 캠퍼스 내 교통사고
1) 청주 대학 캠퍼스 음주운전 사례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2) 고려대학교 셔틀버스 사고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3) 캠퍼스 내 교통사고의 문제점

다. 폭행사건
1) 순천향대학교 하키채 집단 폭행 사건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2) 호산대학교 기숙사 집단폭행 사건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라. 성범죄 사건
1) 건국대학교 ‘성추행’ 게임 강요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2) 서울대학교 음대 교수 성추행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마. 대학생 음주 사고
1) 미국 펜실베이니아 음주 사망 사건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2) 대학생 음주운전 사망 사건
1. 사고의 경위
2. 사고의 원인
3. 사고의 처리 내용
4. 사고 대책
3) 대학 내 음주 문제점

바. 소감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실험실 사고
대학교 실험실의 불충분한 사전 교육과 실험자의 부주의, 안전장치 미착용 등으로 실험 중 사고가 빈번하다.
미래 창조 과학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실험실 사고가 대학 내에서 일어나며 1 년에 100 회 이상 일어난다. 학부생이나 대학원생은 경험이 미숙할 수밖에 없는데 실험 과정에서 지도 교수나 안전 관리
담당자의 부재와 사전에 안전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실험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사고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인명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실험실에서 일어난 안전사고 중 2018 년에 KAIST 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합성 폭발 사고와 2019 년 12 월에 발생한 경북대 폐기물 폭발 사고를 사례로 들었다.

1) 화학물질 취급 부주의로 인한 폭발
1. 사고의 경위
2018 년 2 월 7 일, KAIST 자연과학동 3 층의 화학과 실험실에서 학생 1 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피해 학생은 대학원 석박사 통합과정 1 년 차의 화학과 학생으로 화학 반응이 끝난 플라스크 바닥의 잔류물을 시약 스푼으로 긁는 과정에서 생긴 마찰로 폭발이 일어났다. 유리 플라스크에는 폭발 위험이 높은 카르닐 디자이드와 헥사 플로우 아이소프로판올, 디아자바이시클로를 합성했고, 반응 잔량의 카르보닐디자아이드를 물에 용해시킨 후 제거했다. 이후 실리카를 넣어 생성물을 패킹한 후 증류 작업 후 홈 후드 바깥쪽에서 금속제 시약 스푼으로 추출하던 중 유리 플라스크에 기체가 팽창하면서 플라스크가 폭발했고 후드 안쪽 다른 실험기구들이 함께 깨졌다.

2. 사고의 원인
폭발의 원인 물질은 ‘카보닐 디자아드’로 분석됐다. 해당 약물은 아자이드화물의 일종으로 화학실험 과정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약품이지만 불안정하며 마찰과 충격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이 높아 시중에 유통이 어려워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약품이다. 해당 사고는 생성물의 실리카 패킹 과정과 증류 작업 이후 채집하는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카르보닐 디자아드가 금속재와 마찰하며 플라스크가 팽창하여 폭발했다.

참고 자료

조유주, “교육부, 안전한 대학 실험실 환경 조성에 1606 억원 지원”, 파이낸셜뉴스. 2015 년 4 월 22 일 수정, 2020 년 9 월 21 일 접속, https://www.fnnews.com/news/201504221058434439.
"2014 년 연구실사고사례 분석결과 발표."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2015 년 3 월 19 일 수정, 2020 년 9 월 21 일 접속,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054615.
"'연구실 안전사고' 증가세, 안전관리 강화 시급." 문화저널 21. 2020년 9 월 22 일 수정, 2020년 9 월 21 일 접속, http://www.mhj21.com/134812.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 동아사이언스. 2018 년 2 월 26 일 수정, 2020 년 9 월 21 일 접속,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1507.
"연구실 내 화학물질 취급 및 보관 등 안전조치 요청." 국립한국교통대학교. 2018 년 8 월 22 일 수정, 2020 년 9 월 21 일 접속,
https://www.ut.ac.kr/cop/bbs/BBSMSTR_000000000745/selectBoardArticle.do?nttId=1016011&kind=&mno=sitemap_12&pageIndex=1&searchCnd=&searchWrd=.
"경북대 화학관, 폐 화학물질 처리 중 폭발." 대구신문. 2019년 12월 29일 수정, 2020년 9월 22일 접속, https://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7298.
"경북대 화학관 폐기물 폭발사고." 나무위키. 2020 년 9 월 22 일 수정, 2020 년 9 월 22 일 접속,
https://namu.wiki/w/%EA%B2%BD%EB%B6%81%EB%8C%80%20%ED%99%94%ED%95%99%EA%B4%80%20%ED%8F%90%EA%B8%B0%EB%AC%BC%20%ED%8F%AD%EB%B0%9C%EC%82%AC%EA%B3%A0.
""화상 치료비 걱정 말라더니...이제 와서 딴소리"." 조선일보. 2020 년 5 월 4 일 수정, 2020 년 9 월 22 일 접속,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4/2020050402300.html.
"경북대는 폭발사고 피해자들의 치료를 끝까지 책임져라!"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 . 2020 년 5 월 4 일 수정, 2020 년 9 월 22 일 접속, https://graduunion.or.kr/2020/3393.
"대학 ‘교통안전 사각지대’…교통사고 위험 ↑." 우먼컨슈머. 2020 년 8 월 14 일 수정, 2020 년 9 월 22 일 접속, http://www.womanc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982.
"청주 대학캠퍼스, 음주운전 사각지대…교직원이 학교에서 인명사고." 충청투데이. 2017 년 11 월 28 일 수정, 2020 년 9 월 23 일 접속,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1110.
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대학 내 교통안전실태조사. n.p.: 한국소비자원, 2018.
"[경찰팀 리포트] 캠퍼스 내 도로엔 '면죄부'… 교통 사각지대에 몰린 학생들." 한국경제. 2018 년 3 월 16 일 수정, 2020 년 9 월 23 일 접속,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8031660681.
"대학교 셔틀버스 사고 "휴대전화 보며 걷다가…", "다들 차조심 하시길"." 부산일보. 2011 년 11 월 2 일 수정, 2020 년 9 월 23 일 접속,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11102000017.
"셔틀버스 사망사고 고대학생들, "언젠가 이럴줄..."." 중앙일보. 2011 년
교나7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안전과 생활 - 학교 및 학교 주변에서의 안전 사고 사례 (안전의 사각지대, 대학교의 사건사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