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영화 메시아 성경과 비교 분석

어리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8.30
최종 저작일
2020.05
1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A+ 받은 레포트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영화와 성경의 종교적 갈등과 정치적 갈등
2. 영화와 성경의 비교를 통한 주제의식 파악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태복음 24장에서는 예수의 재림과 거짓 그리스도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예수는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일 때(마태 24:30)’, ‘아무도 모르고,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는 때(마태 24:36)’에 다시 세상에 임할 것임을 밝힌다. 성경의 구절들이 암시하는 예수의 재림에 대하여 기독교인이라면 한 번쯤은 ‘만약 예수가 재림한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져보았을 법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질문에서 출발한 영화가 존재한다. 바로 영화 <메시아>이다. 이 영화는 예수가 재림한다면 펼쳐질 일들을 다루고 있다.

사람들은 보이는 것에 집착한다. 따라서 신을 믿지 않는 자들은 신이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신을 부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신이 가시적인 육체에 임해 세상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이 신의 존재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질문을 던져본다면 역설에 빠지게 된다. 비가시적이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는 존재가 가시적인 형태로 드러남으로써 오히려 가시적인 존재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한다. 의심은 가시적인 신을 사기꾼, 귀신, 혹은 악마와 같은 대조적인 존재로 여기게 할 수도 있다.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신을 믿는 사람들 또한 신의 가시적인 재림을 받아들일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그들은 신의 재림을 부정하는 하나의 이유로 성경을 근거로 들기도 한다. 성경에서는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나는 그리스도라 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케 하리라(마태 24:5)’는 구절이 등장하며 거짓 그리스도 등장의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 구절은 거짓 그리스도를 분별할 수 있는 안목과 지혜를 갖추기를 바라는 의도를 담고 있겠지만, 오히려 이 구절이 진짜 그리스도의 재림을 의심하게 만드는 원인이나 증거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보이는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것을 믿지 못하게 되는 역설, 신의 재림을 누구보다 바라던 신자들이 신의 재림을 의심하게 되는 역설을 영화 <메시아>는 효과적으로 다루고 있다.

참고 자료

소정현. “유대교와 기독교! 근본적 차이점은?”. 일요주간. 2018년 11월 7일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ilyoweekly.co.kr/news/newsview.php?ncode=179569819009786.
홍익희. 세 종교 이야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믿음과 분쟁의 역사 (파주: 행성B잎새, 2014).
https://books.google.co.kr/books?id=GDw8DwAAQBAJ&pg=PT260&lpg=PT260&dq=%EC%9C%A0%EB%8C%80%EA%B5%90+%EC%83%81%EC%84%A0%EB%B2%8C%EC%95%85&source=bl&ots=R6g4WmwBgb&sig=ACfU3U2TWyPR3-uemJpYX_TmVc64u_24ow&hl=ko&sa=X&ved=2ahUKEwi7zcH13o7qAhXNBKYKHT58DTkQ6AEwBHoECAgQAQ#v=onepage&q=%EC%9C%A0%EB%8C%80%EA%B5%90%20%EC%83%81%EC%84%A0%EB%B2%8C%EC%95%85&f=false.
“신약시대의 세계-정치, 종교,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마음관통 성경통독 #01]”. Godposting. 2019년 1월 16일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gp.godpeople.com/archives/95661.
박영서. “이슬람교 수니파와 시아파”. Voa. 2016년 1월 7일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www.voakorea.com/world/3133543.
노석조. “수니파·시아파, 1400년째 왜 싸우나”. chosun.com. 2016년 1월 5일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05/2016010500676.html.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원인과 배경”. 가톨릭평화신문.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m.cpbc.co.kr/paper/view.php?cid=184737&path=200108.
김인철. “[나사렛 예수의 죽음] 다섯째 마당: 빌라도에게 정죄 받다”. 울림. 2019.10.07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www.woolrimstory.net/news/articleView.html?idxno=878.
“본디오 빌라도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wol.jw.org/ko/wol/d/r8/lp-ko/2005683.
인남식. “[新중동천일야화] 미국이 항상 이스라엘을 편드는 이유”. chosun.com. 2017.12.11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10/2017121001549.html.
김동석. “2%유대인, 미국을 쥐락펴락”. dongA.com. 2009.09.26 수정. 2020년 6월 16일 접속.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071215/8523202/1.
어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영화 메시아 성경과 비교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