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해외직접투자 : 제조업과 글로벌가치사슬(GVC) 이론을 중심으로

*솔*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8.25
최종 저작일
2019.02
1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해외직접투자 : 제조업과 글로벌가치사슬(GVC)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이론적 분석틀: 글로벌 가치 사슬(GVC)
2) 한일 동남아시아 해외직접투자 현황
3) 한일 대 동남아 제조업 투자의 상이성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화 이후 전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는 양상이 나타나면서 더 이상 국가의 영토적 범위만으로는 시장을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 한국과 일본 역시 세계화의 흐름에 편승하여 이미 국가적 범위를 벗어나 세계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경제적 성과를 이룩해왔다.
한국은 아시아, 북미, 유럽 순으로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해왔으며, 일본은 북미, 유럽, ASEAN순으로 해외직접투자를 수행해왔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해외직접투자 규모에는 막대한 차이가 있는데, 절대적인 금액만 비교하더라도 일본은 2016년 기준 1695억 8천2백만 달러의 규모로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반면, 한국은 352억만 달러로서 일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국내외 산업규모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로 두 국가의 해외직접투자를 비교하기란 힘들다. <표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은 미국이나 유럽 국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막대한 양의 해외직접투자를 수행하는 국가이며, 한국은 하위권에 머물러있는 수준이다.

표 주요 국가별 해외직접투자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자료: OECD「http://www.oecd.org」2016. 7,「OECD Factbook」2011~2016

다양한 투자 형태 중에서도 해외직접투자(FDI)는 투자대상국의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그 대상국이 경제 발전을 한창 이루고 있을 경우, 즉 ‘개발도상국’일 경우 그 효과는 막대하다. 산업화를 진행하려고 해도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노동 인력의 작업 숙련도가 미숙할 경우 이는 산업화의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는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대외무역을 확대함과 동시에 기술을 이전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등 막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미시적인 효과 이외에도 거시적으로 볼 때에 투자대상국의 산업 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Urata, 1993)

참고 자료

김양우, 남광희, 윤성훈, 이종욱, 전승철, 강성진,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7). 우리나라 FDI의 현황과 과제. (금융경제논총 ; 2007-1). 서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박명섭, 한낙현, &김은채. (2016). FTA 확대에 따른 글로벌 가치사슬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41(2), 123-157.
양금성, 한국경제연구원. (2017). 한국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의 특징분석 및 U턴 촉진방안. KERI Brief 17-08.
정성훈. (2015). 우리나라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와 정책적 시사점. KDI FOCUS 제 59 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6). 2016년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조사. p. 9
Secretariat, ASEAN. (2016). ASEAN Investment Report.
Bair, J. (2005). Global capitalism and commodity chains: looking back, going forward. Competition &Change, 9(2).
Coe, N. M., &Hess, M. (2007). Global production networks: debates and challenges. In GPERG workshop, University of Manchester (Vol. 2526).
De Backer, K., & Yamano, N. (2012). International Comparative Evidence on Global Value Chain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2012(3), 0_1-4,6-30.
Dedrick, J., Kraemer, K. L., & Linden, G. (2009). Who profits from innovation in global value chains?: a study of the iPod and notebook PC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dtp032.
Hiratsuka, D. (2011). Production networks in the Asia-Pacific region : Facts and policy implications. IDEAS Working Paper Series from RePEc, IDEAS Working Paper Series from RePEc, 2011.
Urata, S. (1993).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ts Effect on Foreign Trade in Asia. Trade and Protectionism, NBER-EASE Volume 2 (pp. 273-30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tatistics Bureau of Japan. (2016). Statistical handbook of Japan. 日本統計協会.
ASEAN Secretariat, ASEAN FDI Database
asean.org/?static_post=foreign-direct-investment-statistics
RIETI-TID, www.rieti-tid.com
経済産業省, www.meti.go.jp/english/statistics/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http://211.171.208.92/odisas.html
*솔*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해외직접투자 : 제조업과 글로벌가치사슬(GVC) 이론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