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오이코스교회의 발전

jikyoung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6.24
최종 저작일
2016.01
7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성경에서 오이코스(οἰκος)라는 단어는 우리 말의 ‘집’이라는 단어처럼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주로 거주지와 건축물을 가리킬 때 사용되지만 때로는 가족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나아가 민족과 인종을 나타내는 용어로 쓰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하나님의 가족이라고 할 때도 좁게는 하나님을 모신 가정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크게는 하나님의 자녀들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모든 공동체들로 확대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하나님의 백성을 말하며 이는 언약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구약에서의 언약은 단순히 유대 민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방인까지도 수용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였다.
예수님의 사역도 하나님의 가족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사도행전에서 오이코스는 건물로서의 의미를 지니나, 당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해볼 때 교제와 식사, 전도와 세례를 베푸는 장소와 확대 가족이라는 개념까지 포괄한다.
오이코스는 경제(economy), 생태학(ecology)의 어원이기도 하다. 이점에서 오이코스 신학의 회복은 돈이라는 물질적 가치 아래 끊임없이 물화(物化)되는 인간 실존의 회복을 의미한다. 또한, 오이코스 신학의 회복은 문화 위임의 올바른 시행을 의미한다. 점점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에 대하여, 하나님의 피조물을 올바로 다스림을 통해 미래의 언약적 자녀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이코스 신학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오이코노미아(οἰκονομια;경륜)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 세상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실현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은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혈통적 가족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나아가 언약 아래서 다른 민족들도 수용할 수 있는 열린 공동체였다. 그리고 그들에게 예배와 교제의 장소는 가정과 성전이었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이 하나님의 집이라는 개념을 지니며, 따라서 이스라엘 공동체는 ‘오이코스 교회’이다.

참고 자료

김형태,「신약의 가정교회와 현대 가정교회 운동에 대한 평가」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박영철, “교회 본질로서의 공동체성의 회복”「복음과 실천」,대전: 침례신학교, 2001.
이상규, “교회사에서 본 가정교회”「개혁신학과 교회」통권 21호, 천안: 고려신학대학원, 2008.
정진성,「바울서신에 나타난 가정교회」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허경강,「효율적인 목회사역을 위한 가정교회에 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그리스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Blomberg, Craig L., The New American Commentary: Matthew, Nashville, Ten.: Broadman Press, 1992.
Campbell, John. Y., Three New Testament Studies , Leiden: E. J. Brill, 1965.
Gielen, M., Zur Interpretation der paulinischen Formel ἡ κα οἶκον τἐκκλεσία, ZNW 77, 1986.
Gehring, Roger W. ,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Massachusetts : Hendrickson Publisher, 2004.
Green, M., Euangelism in the Early Church. London: Hodder & Stoughton, 1976.
Mortimer Arias and Alan Johnson, The Great Commission: Biblical Models for Evangelism, Nashville, TN.: Abingdon Press. 1992.
Wieman, Regina, The Modern Famaily and the Church, New York: Harper, 1937.
Balch, David L., Let Wives Be Submissive: The Domestic Code in I peter, Scholars Press, 1981.
Filson, F.V.,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House Church, JBL 58, 1939.
Witherington Ⅲ, Women in the Earliest Churches, Cambridge: CUP, 1998.
Rattray, Alexander, The New Testament order for church and missionary. Audubon, New Jersey: New Testament Missionary Union, 1947.
Krautheimer, Hausgemeinde und Hauskirche im fruhen Christentum, Stuttgart: Katholisches Bibelwerk.
Piper, B. John, Let the Nations Be Glad!: The Supremacy of God in Missions, Grand Rapids: Baker Books, 1993.
Verkuyl, J., Contemporary Missi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78.
Zdero, Rad, The Global House Church Movement, Pasadena, CA: William Carey Library Press.
Banks, Robert & Banks, Julia,「교회, 또 하나의 가족」장동수 옮김, 서울: IVP, 2003.
Giles, Kevin,「신약성경의 교회론」홍성희 역, 서울: CLC, 2007.
Henry, Matthew,「메튜헨리주석 창세기」원광연 역,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Icenogle, Gareth W.,「소그룹 사역을 위한 성경적 기초」김선일 역, 서울: SFC, 2007
Khong, Lawrence,「신사도적 셀 교회」최봉실 역, 서울: 강해설교학교, 2001.
Kittel, Gerhard,「킷텔 신약원어 신학사전」G.W 브라밀리 역, 서울: 요단, 1986.
Kung, Hans,「교회」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aCugna, Catherine Mowry,「우리를 위한 하나님」이세형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Lenski, R.C.H.,「성경주석 사도행전」배영철 역, 서울: 복음서원, 1977.
Morgan, G. Campbell,「요한복음강해」김동훈 역, 서울: 아가페, 1998.
Robertson, O. Palmer,「계약신학과 그리스도」김의원 역,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8.Simson, Wolfgang,「가정교회」황진기 역, 서울:국제제자 훈련원, 2013.
Snyder, Howard A.,「교회 DNA」최형근 역. 서울: IVP, 2012.
Snyder, Howard A.,「참으로 해방된 교회」권영석 역. 서울: IVP, 2009.
Tony Rambert,「중국교회의 부활」김창영·조은화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5.
Towns, Elmer L.,「참으로 바른 교회」박민희 역, 경기: 도서출판 드림북, 2014.
Warren, Rick,「목적이 이끄는 교회」김현회 역, 서울: 디모데, 2008.
OMF 한미선교부 편,「중국을 조명한다」Pasadena: KAM-OMF, 1997.
김성곤, 「두 날개로 날아오르는 건강한 교회」서울: 도서출판 NCD, 2000.
김홍전, 「교회에 대하여Ⅱ」서울: 성약, 2007
박승로, 「가정교회」서울: 도서출판 세복, 2002.
박영선, 「교회란 무엇인가?」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7.
박윤선, 「성경주석 시편」서울: 영음사, 1972.
유성준, 「작은 공동체가 희망이다」서울: 도서출판 kmc, 2012.
유해무, 「개혁교의학」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이신건, 「교회에 대한 오해와 이해」서울: 신앙과지성사, 2012.
임영효, 「그리스도인과 교회를 위한 실천신학」서울: 도서출판 영문, 2008.
임영효, 「사도행전에서의 선교와 교회성장」서울: 프라미스 키퍼스, 2013.
정두영, 「약속 있는 하늘나라 가정」서울: PKK, 2012.
정두영, 「교회갱신」미간행 도서.
조병수, 「신약의 교회」수원: 합신대학원출판부, 2011.
최영기, 「가장 오래된 새 교회」서울: 두란노, 2015.
최영기, 「가정교회로 세워지는 평신도 목회」서울: 두란노, 2006.
최영기, 「가정교회로 세워지는 평신도 목회」서울: 두란노, 2006.
최영기, 「구역조직을 가정교회로 바꾸라」서울: 나침반, 2006.
홍성철 편, 「전도학」도서출판 세복, 2006.
jikyoung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소개
고신대학교 실천신학 박사(PH.D)
고려신학대학원 졸업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선교학 석사(TH.M)
전문분야
시험자료, 사회과학, 독후감/창작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오이코스교회의 발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