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Notch signaling, Hedgehog signaling, Cytokine & NF-κB, HMGB1, Plakoglobin

*수*
최초 등록일
2010.08.25
최종 저작일
2010.05
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Notch signaling, Hedgehog signaling, Cytokine & NF-κB, HMGB1, Plakoglobin

목차

Notch signaling
요약
The Notch Signaling
발생과 분화에서 Notch의 기능
Secretase

Hedgehog signaling
요약
Hedgehog protein maturation
The Hedgehog signaling pathway
Mammal의 Hedgehog pathway

Cytokine & NF-κB
요약
Cytokine and Receptors
JAK/STAT pathway
NF-κB

HMGB1
요약
HMGB1의 구조
HMGB1 분비 과정
폐혈증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HMGB1 억제자

Plakoglobin
요약
Plakoglobin vs. β-catenin
암 억제자인 Plakoglobin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약
Notch signaling은 delta-notch signaling이라고도 한다. Delta와 Notch라는 두 개의 막 단백질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Delta에는 Notch랑 붙을 수 있는 Notch-binding domain이 있고, Notch에는 Delta랑 붙을 수 있는 Delta-binding domain이 있어 두 domain끼리 결합해서 signal을 전달한다.

The Notch Signaling
notch의 ligand인 delta가 notch랑 결합하면 NICD라는 전사인자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되는 전사인자는 Notch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2번 잘려서 생긴다. 첫 번째로 세포 밖 쪽을 ADAM10이 자르고, 두 번째로는 세포막에 있는 γ-secretase에 잘라 NICD가 세포질 쪽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 NICD는 막에서 떨어지면 핵으로 가서 전사인자로 활동한다.

발생과 분화에서 Notch의 기능
Notch signaling은 서로 다른 기관과 조직에서 다른 영향을 미친다.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lateral inhibition으로 모든 세포들이 delta(ligand), notch(receptor) 둘 다 발현하다가 한 세포가 neuronal precursor 세포로 분화되면 delta를 더 많이 띄게 된다. 그렇게 되면 그 주변 세포들의 Notch signaling이 활성화되고, neuronal precursor 세포로 분화되는게 억제된다.

Secretase
α-Secretase(ADAM10,ADAM17)은 delta-notch signal뿐만 아니라 치매와 알츠하이머같은 brain disease에 관여한다. APP에 α-secretase와 γ-secretase가 작용하면 세포 밖 쪽에서 12aa가, 세포막에는 14aa가 남고 세포질 쪽에서는 단백질이 떨어져나간다. 하지만, APP에 β-secretase와 γ-secretase가 작용하면 Aβ₄₂(세포 밖 쪽에는 28aa, 세포막에는 14aa)가 생기고 이것들이 모여서 단백질 덩어리를 만든다.

참고 자료

1.. Lodish, Berk, Kaiser, Krieger, Scott, Bretscher, Ploegh, Matsudaira, Molecular cell biology 6e, FREEMAN, , 2007
2. Huan Yang, Haichao Wang, Christopher J. Czura, and Kevin J. Tracey, The cytokine activity of HMGB1, 2005
3. Ulf Andersson, Helena Erlandsson-Harris, Huan Yang, and Kevin J. Tracey , HMGB1 as a DNA-binding cytokine, 2002
4. Z Aktary, K Chapman, L Lam, A Lo, C Ji, Graham, L Cook, L Li, JR Mackey, Plakoglobin interacts wqith and increases the protein levels of metastasis syuppressor Nm23-H2 and regulates the expression of Nm23-H1, 2010
*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Notch signaling, Hedgehog signaling, Cytokine & NF-κB, HMGB1, Plakoglobin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