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연습모드

원하는 과목, 오답노트를 선택하여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단에서 과목을 선택 후 응시해보세요.

실전모드

실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시험에
응시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전모드 시작 (50분)

1. 자격요약

자격명 :
청소년상담사2급(2교시)
관련부처 :
여성가족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3급 청소년상담사(1교시 : 필수), 3급 청소년상담사(2교시 : 선택), 2급 청소년상담사(1교시 : 필수), 2급 청소년상담사(2교시 : 선택), 1급 청소년상담사(1교시 : 필수), 1급 청소년상담사(2교시 : 선택)

2. 자격정보

□ 청소년상담사2급(2교시)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2급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실시하는 100시간 이상의 연수과정을 마친 자로서 여성가족부장관으로부터 자격을 부여받은 자를 말함.
□ 주요특징
청소년상담사란 청소년, 부모 또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청소년의 심리정서 및 진로·학업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상담과 해결을 도와주는 상담복지전문가를 말함.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기본법(제22조 1항)에 의거하여 실시되는 '청소년상담'과 관련된 국내 유일의 국가자격증으로, 학력 또는 경력에 따라 1급, 2급, 3급, 3개 등급으로 구분됨.
청소년을 보호·선도하고 건전한 생활을 지도하며 수련활동의 여건을 조성하고 장려 및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
청소년단체를 육성하고 그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에게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고 유해환경을 정화하는 등의 직무를 수행.
2급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 정신을 육성하는 청소년 상담사(기간 인력)로서, 청소년상담의 전반적 업무 수행, 청소년의 각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적 개입, 심리검사 해석 및 활용, 청소년상담과 관련된 독자적 연구 설계 및 수행, 3급 청소년상담사 교육 및 훈련을 하는 역할을 수행.
□ 진로 및 전망
자격부여

- 청소년시설과 청소년단체는 청소년육성을 담당하는 청소년지도사나 청소년상담사를 배치하여야 함. (청소년 기본법 제23조 ①)

- 학교는 청소년육성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할 때에 필요하면 청소년지도사나 청소년상담사를 채용할 수 있음. (청소년 기본법 제24조 ①)

-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이하 "시 · 도"라 한다), 시·군·구(자치구를 말한다. 이하 같다) 및 읍·면·동 또는 제26조에 따른 청소년육성 전담기구에 청소년육성 전담공무원을 둘 수 있음. (청소년 기본법 제25조 ①②)

3. 시험정보

□ 수수료

필기 : 26,000원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원의 상단관련분야 석사학위

- 기술자격 소지자 : 3급 청소년상담사 + 상담 실무경력 2년

- 순수경력자 : 대학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의 상담관련분야 학사학위 + 상담 실무경력 3년

- 동일직무분야 : 여성가족부령에 의한 자격(제1호부터 제3호에 규정된 사람과 같은 수준 이상)

시험과목

- 필기

1) 진로상담
2) 집단상담
3) 가족상담
4) 학업상담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5지 택일형 과목당 25문항(과목당 25분)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50분

1 과목 : 진로상담
  • 1. 수퍼(D. Super)의 발달모형에 바탕을 둔 진로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ㄱ. 접수면접
    ㄴ. 진로발달사정
    ㄷ. 상담목표설정
    ㄹ. 자료통합과 내러티브 해석
    ㅁ. 상담절차와 과정

    • 1ㄱ - ㄴ - ㄷ - ㄹ - ㅁ
    • 2ㄱ - ㄴ - ㄷ - ㅁ - ㄹ
    • 3ㄱ - ㄴ - ㄹ - ㄷ - ㅁ
    • 4ㄱ - ㄴ - ㅁ - ㄷ - ㄹ
    • 5ㄱ - ㄷ - ㄴ - ㄹ - ㅁ
  • 2. 진로상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자신이 바라거나 바라지 않던 통찰에 참여하기
    • 2상담자의 상담방법을 이유 없이 비난하기
    • 3책임지기를 두려워하여 진로의사결정을 회피하기
    • 4반복적으로 상담시간에 연락 없이 오지 않기
    • 5상담시간에 계속 침묵하기
  • 3. 다문화 진로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1다문화에 대한 사회인식은 고려사항이 아니다.
    • 2내담자가 한국문화를 따르도록 한다.
    • 3내담자의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알 필요는 없다.
    • 4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은 중요하다.
    • 5구성주의 진로상담이론은 다문화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4. 가이스버스(N. Gysbers)와 무어(E. Moore)가 목표설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진로상담 기법은?

  • 5. 고용노동부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ㄴ.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ㄷ. 고등학생 적성검사
    ㄹ. 청소년 의사결정 유형검사
    ㅁ. 초등학생 진로인식검사

  • 6. 진로성숙도검사(CM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 베츠(N. Betz)와 해켓(G. Hackett)의 이론에서 5가지 진로상담전략으로 옳은 것은?

  • 8. 구성주의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9. 다음 중 청소년 진로집단상담에서 고려해야 할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전 요구 조사를 통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기
    ㄴ. 진로집단상담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와 활동을 조사하여 프로그램 만들기
    ㄷ. 집단상담 실시에 필요한 공간과 준비물 등 환경적 요소들을 고려하기
    ㄹ. 변화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과 절차 만들기

  • 10. 청소년 진로상담에서 사용하는 심리검사와 사용목적과의 연결이 옳은 것은?

  • 11. 진로상담에서 심리검사를 활용할 때 옳은 것은?

  • 12. 다음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미는 다른 친구들이 장래에 하고 싶은 것을 정하여 관련된 방과 후 활동을 하는 것을 보면 부러웠다. 자기는 아직 무엇을 해야할 지,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것 같아서 답답하다.

  • 13. 다음 사례에 나타난 진로상담 단계는?

    - 상담자 : 우리가 처음 약속한 대로 지금까지 상담을 하면서 다미에게 도움이 되었던 것이 무엇이 있을까? - 내담자 : 저에게 많은 일들이 있었어요. 먼저 이렇게 자세히 누구와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하여 이야기해 본 적이 없었어요. 특히 부모님에게 제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하여 용기를 내어서 이야기해 보았던 것이 무엇보다 좋았어요. 생각보다 많이 이해해 주셨어요. - 상담자 : 하고 싶은 이야기를 누구에게 해보고 특히 부모님에게 이야기했더니 너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이해해 주셨다는 말이구나. 그런데 혼자 지내다 보면 이런 고민이 다시 생길수도 있는데... - 내담자 : 네, 선생님. 이제 혼자서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선생님이나 부모님, 그리고 여러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고민을 할 것입니다.

  • 14.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 제안한 진로발달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

    ㄱ. 탐색기
    ㄴ. 성장기
    ㄷ. 유지기
    ㄹ. 확립기
    ㅁ. 쇠퇴기

  • 15. 다음 대화 중 청소년 진로상담의 목표에 관한 진술로 옳지 않은 것은?

    - A : 청소년 진로상담은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 B : 자신의 특성뿐만 아니라 직업세계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면 좋지.
    - C : 아직 청소년이니까 진로정보탐색이나 활용은 필요하지 않아.
    - D : 청소년에도 진로정보탐색은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기르는데 필요해.
    - E : 올바른 직업관과 태도를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

  • 16.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진로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8. 크럼볼츠(J.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학습경험은 도구적 학습과 연합적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ㄴ. 계획한 일이 운명처럼 다가오는 것을 계획된 우연(planned happenstance)이라 한다.
    ㄷ. 관찰을 통해 어떤 직업에 대해 호감을 갖는 경험은 도구적 학습에 포함된다.
    ㄹ.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는 우연한 사건을 진로에 유리하게 활용하는 기술이다.
    ㅁ. 선천적 능력, 환경 상황과 사건들, 학습경험, 과제접근기술 등은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 19. 다음이 설명하는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진로포부 발달단계는?

    - 남여 성역할 차이에 대해 인식하면서 고정관념을 형성하게 된다.
    - 자기개념과 불일치하는 성별 관련 직업을 배제하기 시작하고, 수용 가능한 성유형 경계선을 형성한다.

  • 20. 다음 중 하렌(V. Harren)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진로의사결정 단계는 "인식 - 계획 - 확신 - 이행" 이다.
    ㄴ. 진로의사결정유형은 개인이 진로결정을 내릴 때 선호하는 접근방식이다.
    ㄷ. 진로의사결정유형은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 중립적 유형" 이다.
    ㄹ. 합리적 유형은 의사결정의 기초로 상상과 정서적 자각을 사용한다.

  • 21. 슐로스버그(N. Schlossberg) 등이 제시한 진로전환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2. 다음 중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일과 관련된 가치관은 스트롱(strong) 흥미검사로 평가할 수 있다.
    ㄴ. 직업적응과 관련된 주요 지표는 만족과 충족이다.
    ㄷ. 만족은 직업에서 요구하는 과제와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말한다.
    ㄹ. 직업 적응은 유연성, 적극성, 반응성, 인내와 같은 적응 양식이 영향을 미친다.

  • 23. 다음이 설명하는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개념으로 옳은 것은?

    - 어떤 과업을 수행했을 때 자신 또는 타인에게 일어날 일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 내가 이일을 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에 대한 예측으로, 이 예측에는 물리적 보상, 사회적 평가, 자신에 대한 평가 등 다양한 측면이 포함된다.

  • 24. 다음 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 개인은 분화와 통합을 통해 직업정체감을 형성해 나감
    - 직업자아정체감은 의사결정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성숙해짐
    -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예측 4단계(탐색 - 구체화 - 선택 - 명료화)와 실행 3단계(적응 - 개혁 - 통합)로 구분함

  • 25. '학자 - 진로상담이론 - 개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2 과목 : 집단상담
  • 26. 교류분석 집단상담의 생활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7.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집단상담에서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집단상담자와 집단원들 사이에 심리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ㄴ. 집단상담자는 집단원들과의 관계에서 일치성을 보이고 통합되어 있다.
    ㄷ. 집단상담자는 집단원들에게 조건적 긍정적 관심을 보인다.
    ㄹ. 집단원은 의사소통과정에서 집단상담자의 공감적 이해를 지각하고 경험한다.

  • 28.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성장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청소년 집단원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가치관 혼란으로 고민하는 청소년
    ㄴ. 반복적인 자살시도로 극도의 위기상황에 처한 청소년
    ㄷ. PTSD로 심각한 플래쉬백(flashback)증상을 보이는 청소년
    ㄹ. 급성 정신증이 있는 청소년

  • 29. 다음의 개념이나 기법이 강조되는 집단상담 접근은?

    - 지금
    - 여기
    - 접촉
    - 알아차림
    - 과장하기

  • 30. 심리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모레노(J. Moreno)가 창안한 것이다.
    ㄴ. 정화(catharsis) 그 자체가 목적이다.
    ㄷ. 책상, 현관, 옷장 등의 사물은 보조자아가 될 수 없다.
    ㄹ. 거울기법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ㅁ. 무대에서 조명이나 음향기구는 필수적이다.

  • 31. 다음 대화에서 집단원이 보이는 얄롬(I. Yalom)의 치료적 요인은?

    - 집단상담자 : 오늘 집단상담을 통해 알게 된 것이 무엇일까요?
    - 고수 : 다른 사람도 나만큼 불행하거나 혼란스러운 성장배경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 32.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 원빈 :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아빠와 엄마는 돈 때문에 자주 싸워요. 3일 전에도 다투셨지요. 그런데 사실 저는 부모님 일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요.
    - 집단상담자 : 원빈이는 부모님 일에 관심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부모님 싸움에 신경을 쓰고 있는 것 같구나.

  • 33.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4. 구조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특정 주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련의 구체적인 활동으로 구성된다.
    ㄴ. 집단상담자가 사전에 마련한 계획과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 집단의 형태이다.
    ㄷ. 비구조화 집단상담보다 집단상담자의 전문성이 더 요구된다.
    ㄹ. 참만남 집단상담이 해당된다. .

  • 35.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6. 집단상담자의 자질을 인간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로 구분할 때, 인간적 자질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집단상담 계획 및 조직 능력
    ㄴ. 상담·심리치료 이론에 관한 지식
    ㄷ. 개인상담의 상담자 경험
    ㄹ. 유머 감각
    ㅁ. 자기수용

  • 37.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집단상담자] (나영이를 보면서) 고수가 자기를 무시하는 아빠에 관한 이야기를 했을 때, 나영이는 눈물을 흘리면서 고수를 위로해주고 빨리 고통을 덜어주려고 애쓰는 것처럼 보여요. 어쩌면 나영이가 어릴 때 겪었던 아빠와의 힘들었던 기억이 되살아날 것에 대한 두려움의 표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38.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집단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9. 공동상담자가 청소년 집단상담을 진행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집단계획, 목표, 세부목표, 규범에 대해 협의·결정한다.
    ㄴ. 집단원들은 공동상담자의 상호작용을 보면서 역할모델을 배울 수 있다.
    ㄷ. 남성-여성 공동상담자의 경우에만 부모에 대한 전이를 다룰 수 있다.
    ㄹ. 공동상담자는 집단 회기 후에 만남을 하지 않는다.

  • 40. 다음의 집단 유형은?

    - 대상 : 고3 남학생 10명
    - 내용 : 대학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을 위해 체계화된 프로그램 실시
    - 기간 : 2021년 8월 13일 ~ 8월 14일 (2일 동안 총 12시간)

  • 41. 청소년 집단상담의 사전 동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2. 아들러(A. Adler) 집단상담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협력, 평등주의, 상호존중에 기초한 좋은 치료적 관계를 설정한다.
    ㄴ. 자신이 희망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새로운 선택과 행동을 한다.
    ㄷ. 삶의 과제를 탐색하고 가족구도와 초기기억분석을 한다.
    ㄹ. 생활양식을 통찰하고 현재 기능하는 자신의 모습을 이해한다.

  • 43. 정신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다음 사례에서 집단원 동호가 하고 있는 문제행동은?

    - 정희 : (울먹이면서) 어릴 때부터 제일 친한 동네 친구가 이번에 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어요.
    - 동호 : 아.. 나도 그런 적이 있는데 너무 걱정하지마세요. 모든 것이 다 잘 될 거에요.

  • 45. 청소년 집단상담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를 모두 고른 것은?

    ㄱ. 평가주체
    ㄴ. 평가대상
    ㄷ. 평가목표
    ㄹ. 평가과정

  • 46. 청소년을 위한 집단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7. 구조화 집단상담 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8. 학교 집단상담의 시행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집단참여자 모집
    ㄴ. 집단상담 실시
    ㄷ. 집단주제 선정
    ㄹ. 보호자 사전동의서 확보
    ㅁ. 학교장 승인

  • 49. 집단상담 초기단계에 있는 집단원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0. 코리(G. Corey)의 과도기 단계(transition stage)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분리감정 다루기
    ㄴ. 저항 처리
    ㄷ. 자연스러운 갈등 촉진
    ㄹ. 생산적인 성과 산출

3 과목 : 가족상담
  • 51. 다음이 설명하는 가족상담기법은?

    - 이야기치료에서 사용되는 기법
    - 문제를 외부로 추출해 내는 기법
    - 개인의 문제를 문제로부터 개념적·언어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법

  • 52.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미국 위스콘신주의 단기가족치료센터(BFTC)가 기초가 되었다.
    ㄴ. 드 세이저(S. de Shazer)와 김인수가 개발하였다.
    ㄷ. 귀납법적 과정이 활용되었다.
    ㄹ. 병리적인 것을 주로 다룬다.

  • 5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의 개념으로 옳은 것은?

  • 54.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중심철학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어떤 것이 잘 기능하면 고치지 않는다.
    ㄴ. 가장 어려운 것부터 고친다.
    ㄷ. 효과가 없으면 그것을 하지 않고 다른 것을 한다.
    ㄹ. 효과가 있으면 그것을 더 많이 한다.

  • 55. 다음은 가족상담이론의 질문기법이다. ( )에 들어갈 말은?

    문제가 해결된 상태를 상상해보고 해결하기 원하는 것들을 구체화하고 명료화하며, 상담목표를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을 (   )질문이라고 한다.

  • 56. 다음이 설명하는 카터(B. Carter)와 맥골드릭(M. McGoldrick)의 가족생활주기 단계는?

    - 이 단계의 발달과제는 부모-자녀관계의 재정립이다.
    - 자녀의 발달과 관심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모의 역할도 변화해야 한다.
    - 자녀의 자립과 의존 욕구 간의 충돌로 부모-자녀 간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

  • 57. 이야기치료의 첫 번째 단계인 '문제의 경청과 해체의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활동은?

  • 58.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사티어(V. Satir)는 인간의 내면을 개인의 빙산에 비유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말은 빙산의 일각이며 내면은 "감정 - 감정에 대한 감정 - (ㄱ ) - 기대 - ( ㄴ ) - 자기"의 순서로 이루어 진다고 하였다.

  • 59. 가족사정에 관한 맥매스터 모델(McMaster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가족기능을 문제해결, 의사소통, 역할, 정서적 반응성, 정서적 관여, 행동통제, 가족의 일반적 기능 등 7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ㄴ. 적합성은 가족원들의 균형을 유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ㄷ. 엡스타인(N. Epstein)등이 개발한 가족전체의 기능을 파악하는 도구로서 질문지법을 활용한다.
    ㄹ. 자아분화척도와 부모 - 자녀간 의사소통 척도를 통한 가족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60. 이야기치료의 기본가정(전제)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1. 대상관계 가족상담에 기초를 둔 개입방법은?

  • 62. 다음 중 전략적 가족상담으로 분류되는 학자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코헛 (H. Kohut)
    ㄴ. 헤일리 (J. Haley)
    ㄷ. 말러 (M. Mahler)
    ㄹ. 마다네스 (C. Madanes)
    ㅁ. 베이트슨 (G. Bateson)

  • 6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4. 구조적 가족상담 이론에서 역기능적 가족의 재구조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5.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가족항상성(Family homeostasis) : 어떤 상황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가족의 속성이다.
    ㄴ. 경계선(boundary) :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개인과 하위체계의 안팎에 누가 어떻게 참여하는가를 규정하는 것이다.
    ㄷ. 부분균열(marital schism) :부부간의 권력이 지나치게 불균형을 이룬 상황으로 강한 배우자가 약한 배우자를 지배하는 것이다.
    ㄹ. 거짓상호성(pseudo-mutuality) : 가족원 간의 친밀감과 사랑에 대한 욕구를 숨기고 겉으로 거리감을 두거나 적대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 66.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7. 가족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8.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자유 연상
    ㄴ. 가장 기법
    ㄷ. 역설적 개입
    ㄹ. 고된 체험 기법
    ㅁ. 긍정적 의미 부여

  • 69. 가족상담 이론과 상담목표의 연결로 옳은 것은?

  • 70.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상담기법은?

    - 상담자 : 성현이가 상담에 오기 전에 가장 힘들었을 때를 1점으로 하고, 원하는 대로 해결되는 최상의 상태를 10점이라고 하면, 오늘 상담하고 난 후 점수를 매긴다면 몇 점이라고 할 수 있을까?
    - 내담자 : 8점이요. 선생님이랑 애기하고 나니까 가슴이 뻥 뚫렸어요.

  • 71. 다음 사례에 나타나는 가족역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족상담 개념은?

    부부싸움 후 어머니는 아들에게 와서 아버지에 대한 불평을 하곤 했다. 어머니가 아들과 밀착된 관계를 추구할수록 부부관계는 더욱 소원해졌다. 아버지는 가족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껴 더욱 사회활동에 집중하게 되었다. 아버지의 귀가 시간이 늦어질 때면 어머니와 다툼이 있었고, 어머니는 아들에게 더 가까워짐으로써 불안을 해소했다. 아들은 어머니의 불평을 들을 때마다 어머니를 위로하고 아버지를 비난하는 편에 서게 되었다.

  • 72. 가족상담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악몽질문(nightmare questioning) : 증상이 나타날 때 내담자가 괴로워하는 정도에 대해 묻는 질문기법
    ㄴ. 긍정적 의미부어(positive connotation) : 가족의 부정적인 증상행동을 긍정적인 동기로 재구성하며 파괴적인 가족게임을 무력화시키는 치료기법
    ㄷ. 역설적 개입(paradoxical intervention) : 일상 생활에서 성공적으로 잘하고 있으면서도 의식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여, 성공했던 행동을 의도적으로 하도록 강화시키는 기법
    ㄹ. 순환질문(circular questioning) : 각 가족원에게 돌아가며 가족상호작용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가족원의 입장에서 새로운 인식을 도모하고 관계적 맥락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대화기법

  • 73. 가족상담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4. 올슨(D. Olson) 등의 순환모델(Circumplex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5.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의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과목 : 학업상담
  • 76. 학습부진(underachiev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7. 다음 설명은 길포드(J. Guilford)의 창의적 사고력의 구성 요인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특정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생성해 낼 수 있는 능력

  • 78. 반두라(A. Bandura)의 자기효능감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9. 몰입(flo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0.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기대가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적절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교사는 자신의 기대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학생을 대한다.
    ㄴ. 교사는 학생의 배경에 근거하여 기대를 형성한다.
    ㄷ. 학생은 교사의 기대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 81. 기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2. 와이너(B. Weiner)의 귀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83.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발상기법에 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화이팅(C. Whiting)이 개발한 방법
    - 관련이 없는 두 개 이상의 물건을 억지로 연결시켜 아이디어 산출의 시발점으로 삼는 방법

  • 84. 맥키치(W. Mckeachie)는 학습전략을 인지적, 초인지적, 자원관리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다음에 나열한 전략 중 초인지적 전략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정교화전략
    ㄴ. 계획전략
    ㄷ. 점검전략
    ㄹ. 조직화전략
    ㅁ. 조정전략

  • 85. 데시와 라이언(E. Deci &R. Ryan)은 자기결정이론에서 자율성과 관련하여 여섯 유형의 학습동기를 제시하였다. 다음이 설명하는 동기유형은?

    외적동기 가운데 가장 자율적이며 외부 관점이 개인 내면과 통합되어 비교적 자기결정성이 높은 상태이다.

  • 86. 드웩(C. Dweck)의 이론에서 수행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새로운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도전감있는 과제를 선호한다.
    ㄴ. 자신의 능력을 판단할 때 다른 사람의 비교수행, 외적 피드백을 토대로 한다.
    ㄷ. 자기조절과 언어정보의 심층처리 학습전략을 선호한다.
    ㄹ. 피상적이고 단기적인 학습전략을 선호한다.
    ㅁ. 능력에 대한 실체이론을 수용한다.

  • 87. 시간관리 매트릭스에서 중요도가 높고 긴급도가 낮은 분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장기적 자기개발
    ㄴ. 가치관 확립
    ㄷ. 인간관계 구축
    ㄹ. 진정한 휴식

  • 88. 학업상담에서 상담자의 역할과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9.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0. 중재반응 모델(RT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학습문제를 가진 학생을 조기에 선별하여 중재를 실시하고 중재에 따라 학습장애 학생을 선별하는 모델이다.
    ㄴ. 같은 반 또래보다 낮은 성취수준과 낮은 학습진전도를 보이는 경우를 학습장애로 진단하다.
    ㄷ. 학습의 수행수준과 발달속도가 진단기준이 된다.
    ㄹ. 1단계에서는 소집단중심 집중교육, 2단계에서는 개별화중심 특수교육을 실시한다.
    ㅁ.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으로 학업문제를 가진 학생을 학습장애로 판별할 오류를 감소시킨다.

  • 91. 학습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92. 학습장애 진단 평가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장애 적격성 여부 결정
    ㄴ. 진단 및 평가 의뢰서 작성
    ㄷ. 진단, 평가를 실시
    ㄹ. 장애 적격성 여부 통보
    ㅁ. 장애학생 배치

  • 93. 학습부진 영재아 상담의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켈러(J. Keller)의 학습동기유발이론 ARCS모형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관심
    ㄴ. 관련성
    ㄷ. 자신감
    ㄹ. 유능성
    ㅁ. 만족감

  • 95. 고등학생 민주가 호소하는 고민의 내용이다. 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저는 수업시간에는 내용이 이해도 잘되고 문제풀이도 잘하는데 시험만 치면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고 눈앞이 깜깜해지면서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아요. 시간내에 다 풀지 못하게 될까 초조해지면서 결국 시험을 망치게 되어요. 기말시험 때가 가까워지니 또 그런일이 생기게 될까 두렵고 숨이 막혀요.

  • 96. 학습관련문제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검사로 옳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 97. 학업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98. 학습 무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9. 학습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00. 학업문제 유형에 포함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성적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
    ㄴ. 동기 부족
    ㄷ. 능력 부족
    ㄹ. 성적에 대한 집착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