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1. 자격요약

자격명 :
지적산업기사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Cadastral Surveying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응시자격 :
제한있음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홈페이지 :
www.q-net.or.kr
자격증 관계도

지적기능사, 지적산업기사, 지적기사

2. 자격정보

□ 지적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지적산업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함.
측판측량, 경위의 측량,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 사진측량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됨.
□ 주요특징
지적측량에 따른 지적측량계획을 수립.
지적법에 의한 토지의 재산권 행사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측량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취업

- 지적, 행정, 도시계획 관련 공무원이나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의 공공기관으로 취업 가능.

- 설계회사, 시스템통합(SI)회사 및 지리정보시스템(GIS)관련 업체 등으로 취업 가능.

- 연구소, 학계 등으로도 진출 가능.

우대

- 지적분야 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음.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 시설직렬의 도시계획, 일반토목, 농업토목, 측지, 교통시설, 도시교통설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일 경우에는 5%,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에는 3%의 가산점.

-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 한국국토정보공사 기술직 7급 채용시 지적기사는 필기시험 만점의 3%를 가산함.

자격부여

- 지적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감리원의 자격,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자격이 주어짐.

3. 시험정보

□ 시험일정 (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구분 필기원서접수
(인터넷)
필기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4년 산업기사 1회 2024.01.23 ~
2024.01.26
2024.02.15 ~
2024.03.07
2024.03.13 2024.03.26 ~
2024.03.29
2024.04.27 ~
2024.05.12
2024.06.18
2024년 산업기사 2회 2024.04.16 ~
2024.04.19
2024.05.09 ~
2024.05.28
2024.06.05 2024.06.25 ~
2024.06.28
2024.07.28 ~
2024.08.14
2024.09.10
2024년 산업기사 3회 2024.06.18 ~
2024.06.21
2024.07.05 ~
2024.07.27
2024.08.07 2024.09.10 ~
2024.09.13
2024.10.19 ~
2024.11.08
2024.12.11
□ 수수료

필기 : 19,400원
실기 : 38,600원

□ 출제경향
필기 : 출제기준을 참조
실기 :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며 출제기준을 참조

- 작업형 : 지적도면의 정리와 면적측정 및 도면작성과 지적측량, 종합적 계획수립 등의 직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의 수행 능력 평가

□ 출제기준

□ 취득방법
응시자격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지적관련 학과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 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능경기대회 입상

- 순수경력자 : 실무경력 2년 (동일, 유사 분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디자인,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기·전자, 농림어업,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과목

- 필기

1) 지적측량
2) 응용측량
3) 토지정보체계론
4) 지적학
5) 지적관계법규

- 실기

1) 기초측량 및 세부측량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 [필답형(3시간, 55점) + 작업형(1시간45분 정도, 45점)]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제한시간

- 필기 : 150분

- 실기 : 210분

1 과목 : 지적측량
  • 1. 다음 중 지적공부를 정리할 때에 검은색으로 제도하여야 하는 것은?

    • 1경계의 말소선
    • 2일람도의 철도용지
    • 3일람도의 지방도로
    • 4도곽선 및 도곽선 추치
  • 2.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의 허용범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지적삼각점:0.10m 이내
    • 2지적삼각보조점:0.20m 이내
    • 3지적도근점(경제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0.20m 이내
    • 4경계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0.10m 이내
  • 3. 지상 경계를 결정하는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토지가 해면 또는 수면에 접하는 경우:평균 해수면
    • 2연접되는 토지 간에 높낮이 차이가 있는 경우:그 구조물 등의 하단부
    • 3도로ㆍ구거 등의 토지에 절토(切土)된 부분이 있는 경우:그 경사면의 상단부
    • 4공유수면매립지의 토지 중 제방 등을 토지에 편입하여 등록하는 경우:바깥쪽 어깨부분
  • 4. 지적도근점측량에서 배각법으로 다음과 같이 관측하였을 때 교차각은?

  • 5. 평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는 때에 측량기하적의 표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 다음과 같은 삼각형 모양 토지의 면적(F)은?

  • 7.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따른 지적측량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8. 경위의측량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의 연직각을 관측하는 경우에 올려본 각과 내려본 각을 관측하여 그 교차가 최대 얼마 이내인 때에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하는가?

  • 9. 축척 600분의 1 지적도를 기초로 도곽의 규격이 동일한 축척 3000분의 1의 새로운 지적도 1매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축척 600분의 1 지적도의 매수는?

  • 10. 다음 그림에서 DC 방위각은?

  • 11. 교회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 값의 한계는?

  • 12. 두 점의 좌표가 아래와 같을 때 AB방위각 VBA의 크기는?

  • 13.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측량에서 도근점간 거리가 102.37m일 때 각관측치 오차조정에 필요한 변장 반수는?

  • 14. 축척 1/1200 지역에서 도곽선의 지상거리를 측정한 결과 각각 399.5m, 399.5m, 499.4m, 499.9m일 때 도곽선의 보정계수는 얼마인가?

  • 15. 지적삼각점의 게산을 진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때 진수의 계산단위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 16. 전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할 때에 “1도선”의 의미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17. 가구 정점 P의 좌표를 구하기 위한 길이 ℓ은? (단, AP=BP, L=10m, θ=68°)

  • 18. 다음 중 지적세부측량의 시행 대상이 아닌 것은?

  • 19. 지적기준점의 제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 강재 권척이 기온의 상승으로 늘어났을 때 측정한 거리는 어떻게 보정해야 하는가?

2 과목 : 응용측량
  • 21. 곡선반지름이 500m인 원곡선 위를 60km/h로 주행할 때에 필요한 캔트는? (단, 궤간은 1067mm이다.)

  • 22. 항공사진 판독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23. GNSS 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 24. 1:2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 25. 지형측량에 의거하고 지표의 지형ㆍ지물을 도면에 표현하는 기호의 형태와 선의 종류 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도식과 기호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6. 초점거리 20cm의 카메라로 표고 150m의 촬영기준면을 사진축척 1:10000로 촬영한 연직사진 상에서 표고 200m인 구릉지의 사진축척은?

  • 27. 고속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진입할 때 발생하는 횡방향 힘을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설치하는 선은?

  • 28. 축척 1:30000으로 촬영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cm, 사진크기는 18cm×18cm, 종중복도 60%일 때 이 사진의 기선고도비는?

  • 29. 원곡선 중 단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장(T.L.)을 구하는 공식은? (단, R:곡선반지름, I:교각)

  • 30. GNSS 항법메시지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 31.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2. 노선의 결정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3. GNSS 측량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4. 촬영고도 750m에서 촬영한 사진 상에 철탑의 상단이 주점으로부터 70mm 떨어져 나타나 있으며, 철탑의 기복변위가 6.15mm일 때 철탑의 높이는?

  • 35. 교호 수준 측량의 성과가 그림과 같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70m, a1=0.87, a2=1.74m, b1=0.24m, b2=1.07m)

  • 36. 지표면에서의 500m 떨어져 있는 두 지점에서 수직터널을 모두 지구 중심방향으로 800m 굴착하였다고 하면 두 수직터널 간 지표면에서의 거리와 깊이 800m에서의 거리에 대한 차는? (단, 지구는 반지름은 6370km의 구로 가정한다.)

  • 37. 수준측량에서 시점의 지반고가 100mn이고, 전시의 총합은 107m, 후시의 총합은 125m일 때 종점의 지반고는?

  • 38. 터널 측량에서 지상의 측량좌표와 지하의 측량좌표를 일치시키는 측량은?

  • 39. 삼각점 A에서 B점의 표고값을 구하기 위해 양방향 삼각수준측량을 시행하여 고저각 αA=+2°30'와 αB=-2°13', A점의 기계 높이 iA=1.4m, B점의 기계높이 iB=1.4m, 측표의 높이 hA=4.20m, hB=4.20m를 취득하였다. 이 때의 B점의 표고값은? (단, A점의 높이=325.63m, A점과 B점 간의 수평거리는 1580m이다.)

  • 40. 지형의 표시법 중 급경사는 굵고 짧게, 완경사는 가늘고 길게 표시하는 방법은?

3 과목 : 토지정보체계론
  • 41. 인접성(neighborho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2.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장ㆍ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3. 지적도 전산화 작업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44.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정으로 옳은 것은?

  • 45. 오버슈트(Overshoot), 언더슈트(Undershoot), 스파이크(Spike), 슬리버(Sliver) 등의 발생원인은?

  • 46.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 구성을 위한 내용에 포함될 수 없는 것은?

  • 47. 4개의 타일(tile)로 분할된 지적도 레이어를 하나의 레이어로 편집하기 위해서 이용하여야 하는 기능은?

  • 48. 다음 중 점ㆍ선ㆍ면으로 나타난 도형(객체) 간의 공강산의 상관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 49. 공간분석을 위해 여러 지도 요소를 겹칠 때 그 지도 요소 하나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하나는 독립된 지도가 될 수 있고 완성된 지도의 한 부분이 될 수도 있는 것은?

  • 50. 다음 지도의 유형들 중 관계가 다른 것은?

  • 51. DXF(Drawing eXchange Format)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2. 다음 중 가장 높은 위치정확도로 공간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 53. 지적전산자료의 이용ㆍ활용에 대한 승인권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 54. 래스터데이터의 압축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55. 중첩(overlay)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6.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57. 토지정보시스템에서 필지식별번호의 역할로 옳은 것은?

  • 58. PBLIS의 개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59. 고유번호에서 행정구역 코드는 몇 자리로 구성하는가?

  • 60.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

4 과목 : 지적학
  • 61. 지적불부합지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62. 다음의 토지 표시사항 중 지목의 역할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 63. 다음 중 토렌스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4. 지적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65. 일필지의 경계와 위치를 정확하게 등록하고 소유권의 한계를 밝히기 위한 지적제도는?

  • 66. 지적공부에 공시하는 토지의 등록사항에 대하여 공시의 원칙에 따라 채택해야 할 지적의 원리로 옳은 것은?

  • 67. 고려시대 토지대장 중 타량성책(打量成冊)의 초안 또는 각 관아에 비치된 결세대장에 해당하는것은?

  • 68. 기본도로서 지적도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9. 지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70. ‘소유권은 신성불가침이며 국가의 권력에 의해서 구속이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원칙은?

  • 71. 토지등록에 있어 직권등록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72. 다음 중 증보도는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73. 실제적으로 지적과 등기의 관련성을 성취시켜주는 토지등록의 원칙은?

  • 74. 지적제도와 등기제도를 서로 다른 기관에서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 75. 임야조사사업 당시의 재결 기관은?

  • 76. 다음 중 가장 원시적인 제적제도는?

  • 77. 토지표시사항이 변경된 경우 등기촉탄 규정을 최초로 규정한 연도는?

  • 78. 토지에 지번을 부여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 79. 통일신라시대의 신라장적에 기록된 지목과 관계없는 것은?

  • 80. 다음 지목 중 잡종지에서 분리된 지목에 해당하는 것은?

5 과목 : 지적관계
  • 81.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을 산정한 결과 증가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와 감소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에 차액이 생긴 경우 이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 82. 과수류를 집단적으로 재배하는 토지 내의 주거용 건축물 부지의 지목으로 옳은 것은?

  • 83.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할 경우 거리측정단위로 옳은 것은?

  • 84. 지적재조사측량에 따른 경계 확정으로 지적공부상의 면적이 증감된 경우 징수하거나 지급해야 할 금액은?

  • 85. 지적업무처리규정에서 정의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86.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정정할 수 없는 것은?

  • 87.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부지(또는 토지)에 따른 지목의 구분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88. 지적도의 등록사항으로 틀린 것은?

  • 89. 지적공부의 복구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0.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의 허용범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n은 측선의 수평거리의 총 합계를 100으로 나눈 수를 말한다.)

  • 91. 토지소유자에 관한 등록사항의 정정은 무엇에 의하여 정리하여야 하는가?

  • 92. 토지이동에 따른 지적공부 정리를 통하여 폐쇄 또는 말소된 지번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 93. 토지소유자는 토지를 합병하려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적소관청에 합병을 신청하여야 한다. 다음 중 토지의 합병을 신청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 94.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용어 정의로서 토지의 표시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95. 지적전산자료의 수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자화폐ㆍ전자결제 등의 방법으로 납부하게 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 96. 동일한 지번부여지역 내 지번이 100, 100-1, 100-2. 100-3으로 되어있고, 100번지의 토지를 2필지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지번 결정으로 옳은 것은?

  • 97. 지적측량의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98.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라 지적공부를 새로 작성할 경우 토지이동일은?

  • 99.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어 이를 정정함으로 인해 인접 토지의 경계가 변경되는 경우 토지소유자가 정정을 신철할 때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것은?

  • 100. 측척변경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ㆍ해당 자격증 혹은 기출문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