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지표형과 지중형 지진계의 상시미동 자료를 이용한 HVSR 비교 연구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4.01.29
최종 저작일
2023.12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지구과학회지 / 44권 / 6호
저자명 : 강수영, 김광희

목차

1. 서 론
2.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3. 결 과
3.1. 부여관측소(BUY and BUYB)
3.2. 칠곡관측소(CIG and CIGB)
3.3. 구미관측소(GUM and GUMA)
3.4. 해남관측소(HAN and HANB)
3.5. 금산관측소(KMS and KMSB)
3.6. 포항관측소(POHB)
3.7. 포항공대 관측소(POSB)
3.8. 상주관측소(SAJ and SAJB)
4. 토의 및 결론
감사의 글

한국어 초록

상시미동을 이용한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 방법은 해당부지의 공명주파수와 지반증폭 계수를 추정하여 퇴적층 두께 및 부지응답 등 지반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이 연구는 배경잡음을 관측한 깊이와 풍속 변화가 HVSR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표형 지진계와 지중형 지진계가 설치되어 있는 8개 지진관측소를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서 지진센서가 설치된 깊이에서의 지질학적 특성이 HVSR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결정된 공명주파수는 지진센서가 설치된 퇴적층 전체 두께를 지시한다. 지표에서 관측한 배경잡 음을 분석하면 풍속 변화에 따라 공명주파수가 다르게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지중 20-66 m 깊이에서 관측한 배경잡음은 풍속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명주파수가 일정하게 추정되었다. 지중 100 m 이상의 깊은 깊이에서 수 집한 상시미동 자료를 HVSR 분석하는 것은 결과가 불안정하다. 이번 연구는 지진계를 얕은 깊이(~0.3 m)에 매설하고 약한 풍속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여도 HVSR 분석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 초록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has been widely applied to evaluate ground characteristics such as site response and thickness of the soft sedimentary layer on top of the bedrock via dominant frequencies and amplification factors of microtremors. Eight seismic station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HVSR results at the surface and at varying depths, and their variations due to wind speeds. These stations are equipped with seismic sensors on the surface and downhole(s) at depths. The borehole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geological condition at burial depth influences the HVSR results. Their dominant frequencies indicate the entire thickness of the soft layer, not the thickness to the bottom or top of the soft sedimentary layer from the seismometer burial depth. Analysis o f the b ackground n oise o bserved at the surface showed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estimation varied with wind speed changes. In the studied cases, the background noise observed in t he s edimentary l ayer a t depths o f 20 to 6 6 meters y ielded s table and consistent resonance frequency estimation regardless of wind speed fluctuations. The results of the seismic sensors buried deeper than 100 meters are unstabl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background noise from the buried seismometer at shallow depths (~0.3 m) under light wind conditions (wind speeds less than 3m/s) is suffici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HVSR analysi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지표형과 지중형 지진계의 상시미동 자료를 이용한 HVSR 비교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