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급여사료 내 에너지원 사료가 연속식 배양에 따른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특성 및 미생물체 단백질과 아미노산 조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농업생명과학연구 / 57권 / 6호
ㆍ저자명 : 김상윤, 한지훈, 이지혜, 송재용, 배귀석, 정수연, 김창현
ㆍ저자명 : 김상윤, 한지훈, 이지혜, 송재용, 배귀석, 정수연, 김창현
목차
서론재료 및 방법
1. 한우 반추위 내용물 채취
2. 실험 사료 및 연속식 배양
3. 배양액 채취 및 분석 방법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한국어 초록
한우에게 급여하는 사료 내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반추위 미생물의 아미노산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한우 비육우 사육에 주로 이용되는 에너지원 사료인 옥수수(T1), 생미강(T2), 소맥(T3) 그리고 소맥피(T4)로 반추위 환경과 유사한 연속식 배양기를 이용하여 72시간까지 배양을 진행하였다. 배양이 진행되는 동안 6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의 발효 성상을 확인하였으며 pH, NH3-N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양 종료 시점인 72시간대에 미생물체 단백질 합성량(MPS), 미생물의 아미노산 조성 및 미생물 균총 변화를 분석하였다. 배양액의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기간동안 5.5~7.0을 유지하였다. Total VFA 농도는 T1이 23.13 mM으로 가장 낮았고, T4가 29.93 mM으로 가장 높았다(p<0.05). A (acetate) :P (propionate) 비율은 T1이 1.48로 가장 낮았으며, T4가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Butyrate는 T1이 2.37 mM으로 가장 낮았으며, T2, T3 그리고 T4는 4.37~4.58 mM으로 차이가 없었다(p<0.05). MPS는 T2 (332.5 mg/L)와 T3 (320.2 mg/L)가 높았고 T1 (137.5 mg/L)와 T4 (154.2 mg/L)로 낮게 나타났다(p<0.05). DGGE band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는 57.5 % 이하의 유사도가 나타났다. 미생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T1 (31.59 %)과 T3 (31.33 %)가 가장 높았으며, T2 (20.09 %)가 가장 낮았다 (p<0.05). 이는 급여된 사료 내 총 아미노산 함량과 반대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우 급여 에너지원 사료에 따른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과 미생물체 단백질 합성량이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미생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영어 초록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in ruminant microbial, differs according to different energy source feeds used for Korean beef cattle (Hanwoo) finishing diets. This experiment analyzed ruminal fermentation patterns, microbial protein synthesis (MPS), microbial amino acid composition, and the microbial community after 72 h continuous cultur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using corn grain (T1), rice bran (T2), wheat grain (T3), and wheat bran (T4). The pH in the culture was maintained at 5.5~7.0 during the incubation in all treatment. The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st (29.93 mM) in T4 and lowest (23.13 mM) in T1 (p<0.05). The A (acetate) :P (propionate) ratio was highest (2.81) in T4 and lowest (1.48) T1 (p<0.05). The butyrate was lowest (2.37 mM) T1 and highest (4.37~4.58 mM) in T2, T3, T4 (p<0.05). The MPS was highest (332.5 mg/L) T2 and (320.2 mg/L) T3, lowest (137.5 mg/L) T1 and (154.2 mg/L) T4 (p<0.05). The rumen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by DGGE showed a 57.5% similarity or less between treatments. The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rumen microorganisms was highest (31.59 %) T1 and (31.33 %) T3, lowest (20.09 %) T2 (p<0.05). This was difference to the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in the feed.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t energy feeds for Hanwoo affected rumen fermentation patterns, MPS changing the microbial community and amino acid content of rumen microorganisms.참고 자료
없음"농업생명과학연구"의 다른 논문
- 메타지놈 분석에 의한 두릅나무에서의 곰팡이 다양성 조사5페이지
-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의 한계기업 전락의 영향 요인 분석8페이지
- 개 및 개고기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7페이지
- 가구의 가공식품비 결정요인 분석15페이지
- MaxEnt 모델을 이용한 진주시 소나무재선충병 잠재분포 예측12페이지
- 편백의 흉고직경-수고 생장곡선식과 초기 수고생장 모델 개발을 통한 초기 생장특성8페이지
- 국내 목재데크에 사용되는 수입 목재의 자연내후성 평가7페이지
-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roughfall in an Unmanage..14페이지
- 신품종 길뚝사초(Carex bostrychostgma) ‘설맥’의 형태적 특성 구명7페이지
- 경주국립공원 소금강지구의 관속식물상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