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면유형 변화로 본 공영단독주택의 근대적 변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11 최종저작일 2006.06
20P 미리보기
평면유형 변화로 본 공영단독주택의 근대적 변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15권 / 2호
    · 저자명 : 유재우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plan type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proposed after the 1945 implicatively showed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modern hous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created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were analyzed in Micro-Historically. Moreover, by providing a new viewpoint on the changes of the residential houses that occurred around 1945, we tri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earch background for the research on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future housing cultures. The research pursued mainly on the major spaces that became the modern change indices of housing plan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housings in 1940s to the modern housings such as the master bedrooms(An-Bang), kitchen, the main floored-space(Maru), and the secondary bedroom (Kune-Bang). The major experimental subjects are the 87 public residential plan types designed and supplied by the Korea Housing Cooperation in between 1945 and 1970. The study synthesized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from the traditional residential houses in 1940s through modern situation and intrusion of foreign housing cultures.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various and experimental housing plan types had been proposed as public residential houses since 1945. Among them, the plan having the main floored-space(Maru) were the representative type of public residential houses and various series of hou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is type. Second, the main floored-space(Maru) type had continued building connection order of the R-M-R that were used in the traditional houses. On the other hand, with decomposition of connecting ring between the main floored-space(Maru) and the kitchen, rationalization of women circulations and introduction of family-centered spaces had been resolved the demands of modern society. It had greate effect on settlement of the current double-row Maru plan type. Third, in Korea most of plan types for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were proposed in between 1945 and 1965. Forth, the location of kitchen and relation between Maru and the master bedroom were arranged visually on the corner and center of the rear row with the micro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residential houses. In this process, the front row was similar with traditional residential houses but the rear row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with expansion of Maru and Ondol rooms, increase of closet spaces, and introduction of kitchen that divided spaces for sleeping and e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