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사 서술을 위한 무용구술채록문의 색인어 추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4.06
22P 미리보기
무용사 서술을 위한 무용구술채록문의 색인어 추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33권
    · 저자명 : 최해리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새로운 역사쓰기와 무용구술사
    1. 새로운 역사쓰기로서의 구술사
    2. 무용구술사와 새로운 무용사 쓰기
    Ⅲ. 무용사 서술을 위한 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
    1. 무용구술채록문의 분석
    2. 무용사를 위한 색인어 추출 및 목록화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of dance is always poorer than the other arts.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photo and video recording was not even a mean age at the time, the dance was only remained in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dancers and the audience. Oral dance history is a new scholastic field that collect and research those people’s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dance historians have possibility to write a new dance history. Thought oral dance history targeted at living dancers and utilized personal experience, most of the topic area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periods and provided concrete evidence. Above all, oral history narratives as the primary source of oral dance history suggest new horizons for writing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the dancer’s oral statement,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of dancer, and dancer’s regional,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etc. That is, the dancer’s narratives are similar to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psychological information. Therefore, dance historian can evaluate identity or consciousness of dancers based on narrative flow of the them. Subsequently, dance historian could research on dance structures and systematic development with deep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st of key words for oral dance history statements. For this purpose, 48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the Archive for Performing Arts at the Korea National Arts Council (KNAC) in 2008 and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KNAC displayed various aspects of dat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howing the missing data and lack of data in the past 55 years. Up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oral dance history scripts, this study made list of key word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 dance history. First, 15 key words were cataloged as labeled terms. Then, 36 sub-terms were derived for the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labeled items. Finally, 1,977 final-terms were extracted for the items associated with each topic in the sub-terms. In microscopic viewpoint, the key words list relating to the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could be utilized for querying resources of writing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Macroscopically the lis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for infrastructure of database of oral history involved in education, research, cultural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