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공채, 연고추천채용 및 인턴제와의 비교를 통한 장기현장실습제 채용효과 연구(중소중견기업 인력채용제도로서의 적합성 탐색)

코업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3.20
최종 저작일
2017.03
4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공채, 연고추천채용 및 인턴제와의 비교를 통한 장기현장실습제 채용효과 연구(중소중견기업 인력채용제도로서의 적합성 탐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기현장실습제의 개념과 특성 및 타 채용방식간의 비교
3. 장기현장실습제도의 채용효과 평가를 위한 조사 설계
4. 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본문내용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우수한 인력이 중소 기업으로 원활히 공급되고 활용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중소기업 은 우수 인재의 충원과 유지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최근 한국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격차가 심화되어 중소기업의 인력 확보 난은 더욱 심각 한 상태에 있다(이춘우 ‧노민선, 2013). 중소기업은 연고추천채용방식을 주로 활 용하고 일부 공채방식을 활용하여 인력을 충원하여 왔다.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인 턴제를 활용하여 필요한 인력을 충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모집에도 어려움 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혹 직원들을 채용할지라도 조기 퇴사율도 매우 높아 중소기업의 만성적인 인력난을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의 인력난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인력채용방식과 유지방식으 로 본 연구는 이론 교육과 실무 경험의 융합을 추구하는 인적자원개발제도인 장기 현장실습제도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새로운 인력 확보제도로서 일- 학습 병행제의 하나인 장기현장실습제도(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Co-op)*가 우리나라에도 1998년부터 도입되어 몇몇 대학들과 협력 기업들의 파 트너십에 의해 실시되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 정부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결을 위 해,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일학습병행제’를 2014년부터 도입해 확산시키고 있 으며, 2015년에는 장기현장실습제도와 일학습병행제를 융합한 ‘IPP**형 일학습 병행제’를 신설하여 전국 13개 대학에 도입하였다.
장기현장실습제도는 미국 University of Cincinnati의 Herman Schneider에 의해 1906년 시작되었다(Haddara & Skanes, 2007). Schneider는 보다 실용적이고 충 실한 고등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학교 전공 교육과 관련된 업무 현장에서의 일 경 험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참고 자료

김세움‧김진영‧조영준. 2011. 학력별 노동시장 미스매치 분석과 교육제도 개선과 제.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재. 2000. 현대 중소기업경영론: 이론과 사례. 박영사.
김향아. 2013. 국내 기업의 채용관행 변화 실태 와 개선과제: 대졸 인턴제를 중심 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박정민‧이규식. 2006. 현장실습교육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경북전문대학논문집, 25: 73-94.
박종원. 2012. 질적 분석 자료: NVivo 10 응용. 부경대학교 출판부.
박철우‧이치욱‧박상철‧최영섭‧이종항. 2014. 벌거벗은 공학교육과 산학협력. 푸른사 상.
서재현‧김정원. 2007. 팀과 조직에 대한 후원인식, 조직몰입 그리고 이탈의도 사이 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31(4): 103-128.
신유근. 2005. 인간존중경영. 다산출판사.
양미림‧왕지성‧한인수. 2015. 공식적 멘토링이 경력성공, 정서적 몰입과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전통성의 역할. 인적자원개발연구, 18(1): 115-137.
오성욱. 2013.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4): 93-117.
오종석. 2012. 미국의 무급 인턴제. 국제노동브리프, 10(6): 59-65.
오창헌. 2013. 대학의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IPP)제도 시행방안 연구. 한국기 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윤명희‧김진화‧김현희‧박성실. 2006. 대학의 산학협동 인턴십 프로그램 평가. 직업 교육연구, 25(3): 183-206.
이경미‧홍아정. 2011. 인턴십을 통한 대학생의 경력탐색과정과 경력인식의 분석과 함의. 직업교육연구, 30(3): 241-266.
이도화‧원성삼. 1998. 국내 기업체의 채용관리 관행: 기업규모와 채용대상자 학력 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22(2): 261-298.
이상민‧유규창‧박우성. 2010. 인사관리연구에 게재된 인사관리 분야 논문 분석: 1980년부터 2008년까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1): 177-218.
이종구‧김병기. 2008. 한국기업의 인턴사원제도의 사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사학, 23(3): 261-298.
이종구‧김홍규. 2010. 한국 공채문화의 사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사학, 25(2): 215-248.
이춘우‧노민선. 2013. 한국 중소기업 인력정책의 전개과정과 정책적 개선방향 및 과제. 중소기업연구, 35(3): 263-288.
임재원‧이찬. 2010.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터학습과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223-248.
전찬열. 1995. 채용원천 차이와 채용 후 인사처우 및 종업원 태도에 관한 연구. 조 직과 인사관리연구, 19: 395-415.
정범구‧이재근. 2002. 채용방식과 채용 후 직무태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 원개발연구, 4(2): 129-158.
조성진. 2015. 코칭이 대학생의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 근거이론적 접 근. 인적자원개발연구, 18(3): 1-24.
최애경. 2010. 대학생 기업 인턴십 현황과 과제. 상업교육연구, 24(2): 23-47. 한국경영자총협회. 2008. 대졸 신입사원 채용 및 재교육 현황조사 결과.
http://www.kefplaza.com
한국경영자총협회.
채용실태 신입사원 조사결과. 2014년
http://www.kefplaza.com
황의택. 2015. 장기현장실습제도를 통한 인력채용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 학교, 서울.
황의택‧류준열‧이춘우. 2016. 공채, 연고추천채용 및 인턴제와의 비교를 통한 장기 현장실습제의 채용효과 연구: 중소‧중견기업 인력채용제도로서의 적합성 탐색. 한국인사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대전.
황의택‧이춘우‧류준열. 2016. 중소기업 인력채용 방안으로서의 장기현장실습제도 (Co-op: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의 국내외 운영사례의 시사점 과 정책적 과제. 중소기업연구, 38(1): 49-85.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Becker, G. S. 1975.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2nd ed).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fo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Billett, S. 2001. Learning through work: workplace affordances and individual engagement.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13(5): 209-214.
Braunstein, L. A., & Stull, W. A. 2001. Employer benefits of, and attitudes toward postsecondary cooperative education.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36: 7-22.
Breaugh, J. A. 1981. Relationships between recruiting sources and employee performance, absenteeism, and work attitud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1): 142-147.
Case, C., & Hoy, F. 1981. Small business placement: The extra pays off.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19(2): 78-84.
Ford, M. 2011. Global trends in cooperative education: Lessons learned by education, industry and government.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Cheonan.
Gannon, M. J. 1971. Sources of referral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5: 226-228.
Granovetter, M. 1995.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4th ed).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ddara, M., & Skanes, H. 2007. A reflection on cooperative education: from experience to experiential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8(1): 67-76.
Hurd, J., & Hendy, M. 1997. What we know about co-op employ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education: A synthesis of research in the USA and Canada.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32(2): 55-62.
Kolb, D. A. 1984. Experiment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won, H. G., Park S. W., & Kim, S. H. 2010. Analyzing the effect of firm specific on-the-job training on labor incom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HLM): Center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인적자원관리연 구, 17(4): 245-264.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 Marvin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7-1343). Skokie, IL: Rand McNally.
Loh, E. S. 1994. Employment probation as a sorting mechanism.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47(3): 471-486.
Reio, T. G., & Sutton, F. C. 2006. Employer assessment of work-related competencies and workplace adapt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7(3): 305-324.
Ryder, K. G. 1987. Social and educational roots. In K. G. Ryder, J. W. Wilson & associates (Eds.), Cooperative education in a new era: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the links between college and the workplace (pp. 1-1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Sims, R. R. 1994. Human resource management's role in clarifying the new psychological contract. Human Resource Management, 33(3): 373-378.
Sprandel, H. 2009. Cooperative education and employment outcomes for post graduation business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AR.
Thiel, G. R., & Hartley. T. 1997. Cooperative education: A natural synergy between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62(3): business and academia. 19-24.
Ulman, J. C. 1996. Employee referrals: A prime tool for recruiting workers. Personnel 43: 30-35.
WACE. 2015. The best of co-op 2014-2015: A guide to the leading colleges & employers http:www.waceinc.org/eGuides/eGuide2015/index.html.
Wanous, J. P. 1977. Organizational entry: Newcomers moving from outside to inside. Psychological Bulletin, 84: 612-615.
Woolridge, R. L. 1964.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22(3): 10-17.
Yin, A. C. 2009. Learning on the job: Cooperative education. internships and engineering problem-solving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A.
코업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공채, 연고추천채용 및 인턴제와의 비교를 통한 장기현장실습제 채용효과 연구(중소중견기업 인력채용제도로서의 적합성 탐색)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