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왕유와 맹호연의 시 비교연구

*정*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1.24
최종 저작일
2010.10
11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왕유와 맹호연의 시 비교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序 論
1. 연구 동기
2. 기존 연구 개황
3. 연구 범위와 서술 방법

Ⅱ. 王孟 병칭의 背景 고찰
1. 交遊關係
2. 山水田園詩 위주의 창작

Ⅲ. 王維와 孟浩然의 詩 比較
1. 時代的 背景과 生涯·思想
(1) 時代的 背景
(2) 生涯·思想
2. 內容
(1) 시에 반영된 現實
(2) 隱逸의 양상
(3) 人情 표현의 대상
(4) 個別的 특성
3. 形式
(1) 詩形․ 格率
(2) 修辭法
4. 風格
(1) 雄渾함의 추구
(2) 沖淡과 淸新의 차이, 悲慨

Ⅳ. 王孟 詩 比較의 의미와 한계
1. 전통적 평가에 대한 再考
2. 比較의 한계

Ⅴ. 結論

參考文獻

본문내용

唐代는 중국의 고전시가가 최고의 번영을 구가한 시기로, 그 문학적 가치는 오늘날에도 소중히 다루어져 전 세계 문학 연구가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唐詩는 발전단계에 따라 다시 初唐·盛唐·中唐·晩唐의 네시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중에서도 盛唐 시는‘중국 고전시가의 꽃’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왜냐하면 盛唐은 魏晉南北朝에서 隋와 初唐을 거치면서 다듬어지고 발전한 아름다운 수사와 극도로 발달한 형식에 盛唐의 흥성과 풍유한 삶에서 우러난 사상 감정을 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盛唐 시단은 흔히 그 작품의 제재에 따라 몇 가지 유파로 분류되는데, 山水田園詩와 邊塞詩가 대표적이다. 盛唐의 흥성과 풍족한 생활에서 비롯된 낭만적인 문학풍조는 산수의 아름다움과 전원의 한적한 생활을 구가하는 山水田園詩를 이룩케 하였다. 또한 수당 개국 이래 영토가 크게 확장되면서 변경에서의 전쟁이 잦아지고 중원과 변경 지방간의 교류도 크게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과거에 합격하는 길 이외에 출세의 방법으로 변경의 군대 지휘관의 막료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邊塞詩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 대표적 山水田園詩人으로는 王維와 孟浩然이 있고, 邊塞詩人으로는 高適과 岑參이 있다. 山水田園詩人은 陶淵明의 田園詩와 謝靈運의 山水詩를 계승하였으며, 그 내용이나 형식면에서 더욱 발전하고 풍부해진 면이 있다. 특히 王維의 山水田園詩는 陶淵明과 謝靈運의 예술 전통에 초당의 王績을 거쳐 孟浩然의 수중에서 합류되면서 더욱 새롭게 형성 발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邊塞詩人들은 변방의 경색을 적절히 결합하여 영웅적 애국사상을 표현하거나 병사의 고통과 희생을 반영하는 등 현실 생활을 다양하게 반영한 수많은 걸작을 탄생시켰다. 하지만 盛唐 시단에서 王維와 孟浩然은 山水田園詩에 국한되지 않고, 高適과 岑參은 邊塞詩에 그치지 않고 이외에도 각기 또 다른 현실 생활을 반영한 시를 지었다. 따라서 그들을 일컬어 흔히 山水田園詩人이나 邊塞詩人이라고 하는 것은 단지 그 시작의 대표적인 경향을 두고 한 말에 불과할 뿐이다.

참고 자료

金俊淵,《唐代七言律詩 硏究》, 서울:亦樂, 2004
鄧安生 외,《王維詩選譯》, 成都:巴蜀書社, 1990
楊文生,《王維詩集箋注》, 成都:四川人民出版社, 2003
倪木興,《王維詩選》, 北京:人民文學出版社, 1988
范慶雯,《王維詩文選集》, 台北:獅谷出版公司, 1982
王達津,《王維孟浩然選集》, 上海古籍出版社, 1990
王福耀,《王維詩選》, 台北:仁愛書局, 1984
王友懷,《王維詩選注》, 西安:陜西人民出版社, 1988
張風波,《王維詩百首》, 花山文藝出版社, 1985
趙殿成,《王右丞集箋注》, 홍콩:中華書局香港分局, 1975
陳貽焮,《王維詩選》, 北京:人民文學出版社, 1983
陳鐵民,《王維集校注》, 北京:中華書局, 1997
余冠英 主編《中國古代山水詩鑑賞辭典》, 江蘇古籍出版社, 1987
周嘯天,《唐詩鑑賞辭典補編》, 成都:四川文藝出版社, 1990
劉維崇,《王維評傳》, 台北:正中書局, 1975
朴三洙,《唐詩의 거장 王維의 詩世界》, 울산大學校 出版部, 2006
宋天鎬,《孟浩然 詩》, 서울:정문사, 2006
中國·王維硏究會《王維硏究》第一輯, 北京:中國工人出版社, 1992
李南鍾,《孟浩然 詩 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2007
王洪,《唐詩百科大辭典》, 北京:光明日報出版社, 1990
劉開揚,《唐詩通論》, 台北:木鐸出版社, 1983
羅立乾, <“盛唐氣象”說述評>,《唐代文學硏究年鑑》,陜西人民出版社, 1987
王明居《唐詩風格美新探》, 北京:中國文聯出版公司, 1987
羅仲鼎 等,《詩品今析》, 江蘇人民出版社, 1983
臺靜農 編輯,《百種詩話類編》, 台北:藝文印書館, 1974
淸·何文煥,《歷代詩話》, 台北:漢京文化公司, 1983
丁福保,《歷代詩話續編》, 台北:木鐸出版社, 1983
高棅 編,《唐詩品彙》, 上海古籍出版社, 1988
丁福保 箋注,《陶淵明詩箋注》, 藝文印書館, 民國 16年
鄧安生·孫佩君,《孟浩然詩選集》, 巴蜀書社, 1991
傳東華 選注,《孟浩然詩》, 商務印書館, 民國 53年
徐鵬,《孟浩然詩校注》, 人民文學出版社, 1989
游信利,《孟浩然集箋注》, 臺灣學生書局, 民國 64年
李景白,《孟浩然詩集校注》, 巴蜀書社, 1988
李小松,《孟浩然·韋應物 詩選》, 三聯書店, 1983
葛曉音,《山水田園詩派硏究》, 遼寧大學出版社, 1993
郭紹虞,《滄浪詩話校釋》, 東昇文化事業有限公司, 1980
謝思煒,《盛唐氣象》,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3
宋天鎬,《孟浩然詩硏究》, 成均館大大同文化硏究院, 1988
謝靈運 著,《謝靈運詩選》, 河洛圖書出版社, 1980
王力,《漢語詩律學》, 上海敎育出版社, 1988
王運熙·楊明,《隋唐五代文學批評史》, 上海古籍出版社, 1994
劉曾遂,《唐詩論稿》, 杭州大學出版社, 1992
李炳漢,《增補·漢詩批評體例硏究》, 通文館, 1985
李炳漢·李永朱,《中國古典文學理論批評史》,韓國放送通信大學校出版部, 1988
李珍華·傳璇琮,《河岳英靈集硏究》, 中華書局, 1992
林庚,《唐詩綜論》, 人民文學出版社, 1987
張健,《滄浪詩話硏究》, 五南圖書出版公司, 臺北, 1986
朱先樹 等 編著,《詩歌美學辭典》, 四川辭書出版社, 1989
陳伯海,《唐詩學引論》, 知識出版社, 1990
鍾嶸 撰·林東錫 譯註,《(중국 양대의 시평서)詩品》, 서울:學古房 , 2003
喬力,《二十四詩品探微》, 山東:齊魯書社, 1983
詹幼馨,《司空圖詩品衍繹》, 香港:華風書局, 1983
杜黎均,《二十四詩品譯注評析》, 北京出版社, 1988
Kroll, paul W., Meng Hao- jan 孟浩然, Boston: Twayne Publishers, Inc., 1981
Owen, Stephen, 盛唐詩 - The Great Age of Chinese Poetry,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1
金億洙, <王維硏究 - 宗敎·藝術與自然之融合>, 台灣·文化大學 박사논문, 1985
黎金剛, <唐代詩歌與佛家思想>, 台灣師大 박사논문, 1980
姜孝琴, <中國自然詩의 特性에 관한 연구 - 陶淵明, 謝靈運, 孟浩然, 王維 의 自然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 석사논문, 1986
李炳漢, <漢詩風格試探>, 한국외대·중국문제연구소《中國硏究》제4호
柳晟俊, <王維詩攷>, 서울大 碩士學位論文, 1968
金在乘, <王維硏究>, 서울大 碩士學位論文, 1975
柳晟俊, <王維의 詩友에 關한 硏究>, 東西文化, 1975
金勝心, <王維詩硏究- 自然詩를 中心으로>, 淑明女大 碩士學位論文, 1980
柳晟俊, <王維詩比較硏究>, 北京:京華出版社, 1999
李東鄕, <王維의 山水詩와 禪理>, 中國語文論叢, 1999
金昌煥, <孟浩然 詩에 나타난 道家思想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碩士學 位論文, 1992
陶文鵬, <論孟浩然的詩歌美學觀>(《文學評論》 1984年 第1期)
勞思光, <論孟浩然詩>(《文學雜誌》第 4卷 第 3期), 民國 47年
鈴木修次, <孟浩然論>(《唐代詩人論(上卷)》, 鳳出版 昭和 48年
鈴木修次, <王維論>(《唐代詩人論(上卷)》, 鳳出版 昭和 48年
王達津, <孟浩然的生平和他的詩>(《唐詩叢考》), 上海古籍出版社, 1986
李景白, <也談孟浩然的隱逸>(《中國古代近代文學硏究》, 中國人民大學書報資料中心 復印報刊資料), 1990年
李南鍾, <孟浩然交遊考(1)>(韓國中國語文學會,《中國文學》 26호), 1996
宋天鎬, <孟浩然 交友詩(1)>(《中國文學硏究》), 韓國中文學會, 1985
宋天鎬, <孟浩然 交友詩(2)>(《中國文學硏究》), 韓國中文學會, 1985
朴炳仙, <孟浩然 絶句 硏究>(《中國語文學論集》), 中國語文學硏究會, 2002
李南鍾, <孟浩然詩 風格 試論>(《中國文學》), 韓國中國語文學會, 1997
陳秀淸, <孟浩然的平傳及其詩>, 藝術學報, 第 2期
陳貽焮, <孟浩然>(《論詩雜著》), 北京大學出版社, 1987
初國卿, <淸音絶響 風雲獨標 - 論孟浩然詩的淸美>(《唐詩賞論》), 遼寧人民出版社, 1991
*정*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왕유와 맹호연의 시 비교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