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프랑스어문학과 졸업 논문 (2018) - 프랑스 난민 정책의 한계 및 시사점

sterlinggg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12.17
최종 저작일
2018.12
17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2. 프랑스의 난민 수용 현황

II. EU난민정책과 프랑스의 난민정책
1. 유럽 연합 공동 난민정책
2. 프랑스 난민정책

III. EU 공동 난민정책 및 프랑스 난민정책의 한계
1. EU 공동 난민정책의 제도적 한계
2. 프랑스 난민정책의 실효성 문제
3. 안전한 제3국가와 재입국협정의 남용

IV. 시사점 및 결론

본문내용

1. 연구 배경
프랑스는 국제난민협약이 1951년에 체결되고 난 직후인 1952년에 난민청(Office Français de Protection des Réfugiés et Apatrides, OFPRA)을 설립하며 난민 수용에 선도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2005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난민 신청자수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2006년 이후부터 신천자수가 급격하게 줄었으며, 2012년의 시리아 내전 이후 대부분의 유럽연합 국가의 난민 수용률이 증가하였음에도 프랑스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018년, 우리나라에서도 난민 관련 문제는 꾸준히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에 예맨에서 온 난민 신청자가 450명을 상회하면서 논란이 점화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난민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였다. 즉, 이들 중 난민 인정률이 0%라는 것이다. 난민인정자가 한 명도 없는 결과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난민심사의 공정성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프랑스의 난민 신청 및 인정 현황에 대해 유심히 관찰해보게 되었고, 프랑스에서 역시 유사한 이유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국제 무대에서의 현황은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난민유입은 유럽이 최근에 받고 있는 가장 큰 도전이기도 하다. 2012년 시리아 내전이 심화된 이후 유럽으로의 난민 유입이 급증하였으나, 유럽의 난민위기는 199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겪어왔다. 특히 1992년 유고내전으로 인해 700,000명에 가까운 대규모 난민의 유입이 있었고 이는 난민 문제에 대해 유럽이 서둘러 해결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각성한 계기가 되었고, 이후 유럽 공동 난민정책 지침인 더블린 체제가 생겨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2003년 이라크 전쟁의 여파로는 450,000명의 난민이 유입되었으며, 유럽은 이로서 난민문제에 대한 해결책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김복래, 「프랑스의 이민자 동화정책 : 신화인가 실재인가?」,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2017, p.165.
김종법, 「EU의 환대와 공생 개념의 변화에 따른 난민과 이민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박선희, “유럽연합의 난민 정책,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2016.6.04.29 http://gspres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21230
박선희, 「프랑스의 난민정책: EU 공동난민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EU연구』, 2016년 제 42호, 2016
안병억, 「유럽연합 난민정책의 대내외적 변화: 2015년 난민위기를 중심으로」, 『유럽의 난민문제』, 2017.
연합뉴스, “EU, 터키 비자면제 난민송환협정 이행과 연계”, 2016.05.02. https://www.yna.co.kr/view/AKR20160502159800098?input=1195m
홍연, “제주 예멘인 난민인정 0%… 난민심사 절차 개선해야”, 2018.11.02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55627
이병렬, 김희자, 「캐나다, 호주, 독일, 프랑스 난민정책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2011.
“Eurostat asylum applicants in the EU”, Eurostat, https://ec.europa.eu/eurostat/news/themes-in-the-spotlight/asylum2016
Asile en France, “La procédure dite ‘accélérée’”, http://asile-en-france.com/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27&Itemid=183
ECRE(European council of Refugees and Exiles) , “Safe Country of Origin”, 2018 http://www.asylumineurope.org/reports/country/france/asylum-procedure/safe-country-concepts/safe-country-origin
EU 지정 안전한 제3국가: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코소보, 몬테네그로 (출처: AN EU ‘SAFE COUNTRIES OF ORIGIN’ LIST –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Commission, “Asylum applicants in the EU”, https://ec.europa.eu/eurostat/news/themes-in-the-spotlight/asylum2016
European Migration Network, “Safe Countries of Origin”, 2018. https://ec.europa.eu/home-affairs/sites/homeaffairs/files/00_inform_safe_country_of_origin_final_en_0.pdf
Eurostat News Release, “650 000 first-time asylum seekers registered in 2017”, 2018.03.20
Eurostat News Release, “EU Member States granted protection to more than half a million asylum seekers in 2017 “, 2018.04.19
Eurostat News Release, “EU Member States granted protection to more than 700 000 asylum seekers in 2016”, 2017.04.26.
Eurostat News Release, “1.2 million first time asylum seekers registered in 2016”, 2017.03.16
Gouvernement.fr, “Asylum reform definitively adopted by Parliament”, https://www.gouvernement.fr/en/asylum-reform-definitively-adopted-by-parliament
Gouvernement.fr, “Asylum reform definitively adopted by Parliament”, https://www.gouvernement.fr/en/asylum-reform-definitively-adopted-by-parliament
OFPRA, “Guide for Asylum Seekers in France”, https://ofpra.gouv.fr/sites/default/files/atoms/files/guide-da-france_anglais.pdf
OPFRA, “Présentation générale”, https://www.ofpra.gouv.fr/fr/l-ofpra/presentation-generale
The Guardian, “We want to work': refugees tell France why UK is so attractive”, 2018.03.09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8/mar/09/we-want-to-work-refugees-tell-france-why-uk-is-so-attractive
Weekly Bulletin, “Hungary reverses suspension of Dublin Regulation”, 2015.06.15. http://ecre.org/component/content/article/70-weekly-bulletin-articles/1112-hungary-revers

자료후기(2)

sterlinggg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프랑스어문학과 졸업 논문 (2018) - 프랑스 난민 정책의 한계 및 시사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