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개혁주의 입장에서 바라 본 자살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8.24
최종 저작일
2017.04
2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6,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자살에 대한 개념 이해
1. 어원적 이해
2. 일반적 이해
3. 성경적 이해

Ⅲ. 기독교역사에서의 자살 이해
1. 교회사적인 견해
2. 학자들의 견해

Ⅳ. 자살에 대한 개혁주의적 이해
1. 일반적 접근
2. 신학적 접근: 성도의 견인교리와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Ⅴ. 목회적 대안
1. 예방적 차원
2. 실천적 차원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살은 세계인들의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2016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해 1만 3,800명이 자살하여 인구 10만 명당 약 38명이 자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하루 평균 38명이 자살하는 것이며, 남자 중 자살률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54세로 1176명이며, 여자는 25-29세로 573명이다. 2010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31.2명, 2011년에는 31.7명, 2015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26.5명이 자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OECD 평균 12.2명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자세한 통계수치는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

<표 1. 2015년 자살률>

<표 2. OECD국가 자살률 비교>

이같은 현상은 경이적이며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힘들다. 우리나라는 소위 ‘자살 공화국’인 것이다. 어디 이뿐인가? 자살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정신과 관련 질환(우울증)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 어느 때와 달리 정신과 의사들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은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자살이 급증해 2003년부터 교통사고 사망자를 훨씬 앞지르고 있다. 2015년 통계로는 교통사고 사망자의 2.6배나 된다. 그리고 자살 사망자는 10대 사망 원인 중 1위 악성신생물(암), 2위 뇌혈관질환, 3위 심장질환 4위 폐렴, 다음인 5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청소년을 포함한 10-30대 자살률이 최근 10년간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자살은 어느 특정한 계층의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국가고위층, 연예인, 기업인, 청소년 등 다양한 계층과 연령대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는 기독교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2007년 한 조사에서 기독교인 5명 중 1명이 자살충동을 느낀다고 밝히고 있다.
한국교회는 거의 최근까지 신자들의 자살에 대해서 침묵해 온 것이 사실이다.

참고 자료

Alexander Murray. Suicide in the Middle Ages: The Curse on Self- Murd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G. Brillenburg Wurth. Christian Counselling. Phillipsburg, NJ: The Presbyterian and Reform Publishing Co., 1962.
G.I. Williams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For Study Classes. Philadelphia: Presbytr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5.
Karl Barth. Church Dogmatics Ⅲ.4: The Doctrine of Creation. London: T&T Clark, 1961.
Luther’s Works. vol 54: Table Talks, ed. and trans by Theodore G. Tappert. Philadelphia, PA: Fortess Press, 1967.
The Works of John Wesley. vol ⅩⅢ: Letters, Third Editio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8.
본 회퍼. 『윤리학』 손규태, 이신건, 오성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Stanley Grenz. 『기독교 윤리학의 토대와 흐름』 신원하 역. 서울: IVP, 2001.
성 아우구스티누스. 『하나님의 도성』 조호연,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12.
에밀 뒤르켐. 『자살론』 황보정우 역. 서울: 청아출판사, 1994.
존 칼빈. 『칼빈성경주석6』 한국기독교 선교백주년기념 존칼빈 성경주석 출판위원회 편역.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2.
H. Norman Wright. Crisis Counseling. 『위기상담학』 전요섭, 황동현 역. 서울: 쿰란출판사, 1998.
헤르만 바빙크. 『개혁교의학 2』 박태연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2.
김충렬. 『기독교인이 왜 자살하는가?』 . 서울: 한국상담치료연구소, 2009.『자살과 목회상담』 . 서울: 학지사, 2010.
나학진. “자살은 정당한가?” 『자살』 . 서울: 두란노, 1991.
신원하. 『교회가 꼭 대답해야 할 윤리문제들』 . 서울: 예영, 2001.
손재익. 『십계명 언약의 10가지 말씀』 . 서울: 디다스코, 2016.
이상영 외 2명 공저.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이선미 외 3명 공저. 『정신건강문제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 우울증을 중 심으로』 . 서울: 국민보험보건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3.
『옥스퍼드 원어 성경 대전』 . 서울: 제자원, 2006, 제57권.
전형준. 『성경적 삼담과 설교』 . 서울: CLC, 2011.
정정숙. 『기독교상담학』 . 서울: 도서출판 베다니, 2008.
『종교개혁자들의 교육사상』 .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1983.
조성돈, 정재영. 『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 . 서울: 예영, 2008.
통계청. 『215년 사망원인통계』 . 2016.
한글학회 지음. 『우리말 사전』 . 한글학회 100돌 기념판. 서울: 어문각, 2008.
박상봉. “기독교인의 자살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신학정론』. 2015, 제33권 1호.
박혜근. “자살한 사람도 구원을 받는가?” 『칼빈논단』. 2005.
신원하. “자살과 구원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목회윤리적 성찰” 『기독교사회윤리』. 2012, 제23집.
이상원. “기독교 윤리적인 측면에서 본 자살” 『신학지남』. 2009, 봄호.
이한수. “성경신학적 측면에서 본 자살” 『신학지남』 . 2009, 통권 제298호.
조성돈. “자살예방은 영적싸움이다.” 『월드뷰』. 통권 186호, 2015, 12월호.
하상훈. “자살사례 평가를 통한 자살예방운동” 『생명존중 자살예방 전화상담봉사자 교육』.
용인: 용인생명의 전화사, 2011.
황봉환. “자살 문제에 대한 성경 및 신학적 논증과 예방적 대안” 『신학과 실천』. 제7권: 2009.
원성윤, “38분마다 1명씩 자살하는 나라가 있다. 11년째 1위를 기록 중이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 2. 3.
MBN뉴스, “38분다마 한 명 자살하는 나라”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9&news_seq_no=2760374
www.kostst.go.kr
*동*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개혁주의 입장에서 바라 본 자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