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요양병원 간호행위 위임 실태 및 인식

*신*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7.09
최종 저작일
2018.07
13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2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간호행위 위임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연구입니다.

전국 6개 지역 360명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연구이며,

2018년 8월 졸업 논문의 따끈한 신논문입니다.

도움 되시길 빕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1. 요양병원에서 수행하는 간호행위
2. 요양병원에서 수행하는 간호행위 위임 및 위임인식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자 및 표본크기산출
3. 연구 도구
4. 자료 수집
5. 자료 분석
6. 질적 자료 결과의 질 확보
7. 윤리적 고려

Ⅳ. 연구 결과
1. 양적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요양병원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간호행위 수행실태
3) 요양병원에서 수행하는 간호행위의 위임에 대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인식의 차이
2. 질적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한 요양병원의 간호행위 위임현상에 관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인식

Ⅴ. 논의
1.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간호행위 수행실태
2. 요양병원에서 수행되는 간호행위 위임 인식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00년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17년 만에 2017년 8월말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14.02%에 이르는 고령사회에 들어섰다. 이는 예상했던 2018년보다 1년 당겨진 결과이며 인구학자들은 우리나라가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에 들어서고 2050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고령국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행정안전부,2017).노인은 80-90%가 고혈압, 관절염, 요통, 당뇨병, 골다공증 등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 노인 중 60.5%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보유하는 등 의료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정영호, 고숙자, 김은주, 2013). 이에 따라, 요양병원의 수는 2008년 장기요양보험이 시행된 이후 급격하게 늘어나 2008년 690개소에서 2015년 기준으로 전국 1,372개소에 이르고 있으며(이성우, 김명화, 박진관 2016), 요양병원에 필요한 간호인력의 수요도 증가하여요양병원의 간호인력 난을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간호인력으로 간호조무사를 포함하며 요양병원의 간호등급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2015년 의료법의 개정으로 요양병원의 간호사 정원은 연평균 1일 입원환자를 6명마다 1명을 기준으로 하고, 간호조무사는 정원의 3분의2내에서 둘 수 있게 되면서(의료법 제3조 제2항 제3호), 요양병원 간호조무사수는 점점 늘어나 2013년에 간호조무사 수(14,458명)가 간호사 수(12,460명)를
뛰어넘어 2015년 기준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18,612명인데 비해 간호조무사는 23,124명에 달한다(이성우 등, 2016).이런 상황에서 전국 대부분의 요양병원은 간호사와 위임받은 간호조무사가간호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간호조무사는 법적으로 이론740시간, 실습 780시간으로 총 1,520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도록 되어있다(의료법 제80조 제2항).

참고 자료

김명희, 정추영 (2014).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간호행위 수행 실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2), 940-951.
DOI:http://dx.doi.org/10.5762/KAIS.2014.15.2.940
김문옥, 김계하 (2014).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의무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의무인증 시행 후 업무수행. 노인간호학회지, 16(1), 68-76.
김성재, 오상은, 은 영, 손행미, 이명선 (2007).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군자출판사
김정희 (2007). NIC 간호중재분류체계를 이용한 일개 지역 중소 종합병원의 간호중재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13(4), 431-444.
김한나, 김정선 (2016). 기혼간호사의 일-가정양립경험-가족확대기 간호사를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545-559.
김후자, 김정남 (2001).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Focus groupmethod)에 대한 고찰. 계명간호과학, 5(1), 1-21 대한간호협회 (2003).
간호표준-간호활동기술서. 서울:대한간호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2006.
박소은, 염은이 (2016).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368-381. DOI:http://dx.doi.org/10.5392/JKCA.2016.16.07.368
박옥엽, 정면숙 (2005).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 수가 항목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11(4), 449-467.
박정호, 성영희, 송미숙, 조정숙, 심원희 (2000). 한국 표준 간호행위 분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11-1426.
Kirsten N. Corazzini., Ruth A. Anderson., Carla Gene Rapp & Christine
Mueller (2010). Delegation in long-term care:Scope of practice or job description?. The Online Journal of Issue in Nursing, 15(2) pii:Manuscript 4. DOI: 10.3912/OJIN.Vol15No02Man04.
McCloskey, R., Donovan, C., Stewart, C., & Donovan, A. (2015). How registered nurses, licensed practical nurses and resident aides spend time in nursing home: An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Nursing Studies, 52(9), 1475-1483.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Delegation decision-making
tree 1997". Retrieved september 5, 2017. from, http://www.ncsbn.org.
Paquay, L., De Lepeleire, J., Milisen, K., Ylieff, M., Fontaine, O., & Buntinx,
F. (2007). Tasks performance by registered nurses and care assistantsin nursing homes: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survey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8), 1459-1467.doi:10.1016/j.ijnurstu.2007.02.003
Potter, P., Deshields, T., & Kuhrik, M. (2010). Delegation practices between registered nurses and nursing assistive personne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2), 157-65. doi: 10.1111/j.1365-2834.2010.01062.x. Tara, L., Barbara, R., Jennie, C., Jeanne, M., Nancy, M., & Robert, R. (2015).
Certified nurse aide scope of practice:state-by-state differences in allowable delegated activities. JAMDA, 16(1), 20-24.
Timm SE. (2003). Effectively delegating nursing. Home Health Care Nurse,21(4), 260-265.
Weber R.P. (1990). Basic Content Analysis. Newburry Park, CA:SagePublications.
*신*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요양병원 간호행위 위임 실태 및 인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