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기태양전지 실험보고서

*윤*
최초 등록일
2018.05.28
최종 저작일
2010.09
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ABSTRACT
2. 서 론
3. 실험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기물 고분자 기반의 소자 제작은 많은 연구를 거쳐 왔고 특히 OLED(Organi Light Emitting Diode)[1], 고분자 transistor[2], 전자회로[3] 그리고 태양전지[4]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고분자 기반의 소자들은 휘게 제작을 하거나, 소자 자체의 무게가 가볍고, 무기물 기반보다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작 가격이 절감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5] 그러나 유기 태양전지는 무기물 기반의 Si 태양전지와 비교해 아직까지 안전성이나 효율, 수명에서 매우 불안정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하고자 지금도 많은 연구 기관과 대학에서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최근 Si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현 Si기반의 태양전지의 가격 절감을 하고자 low cost를 목표로 MDMO-PPV, P3HT등의 고분자와 PCBM-C61과 같은 유도체를 통해 고분자 유기태양전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6-8]

참고 자료

J. H. Burroughes, D. D. C. Bradley, A. R. Brown, R. N. Marks, K. Mackay, R. H. Reiend, P. L. Burns, A. B. Holmes, nature. 347 (1990) 539.
J. Krumm, E. Eckert, W. H. Glauert, A. Ullmann, W. Clemens, IEEE Elec. Dev. Lett. 25(2004) 346.
C. J. Drury, C. M. J. Mutsaers, C. M. Hart, M. Matters, D. M. de leeuw, Appl. Phys. Lett. 73 (1998)108.
Y. Kim, K. Lee, N. E. Coates, D. Moses, T. Nguyen, M. Dante, A. J. Heeger, Science. 317 (2000)222.
S. Forrest, P. Burrows, M. Thompson, IEEE Spectrum. 37(2000)29.
N. S. Sariciftci, A. J. Heeger, in Handbook of organic Conductive Molecules and Polymers, Vol. 1(Ed:H. S. Nalwa), Wiley, New York(1997)
G. Yu, J. Gao, J. C. Hummelen, F. Wudl,A.J. Heeger, Science.270(1995)1789.
C. J. Brabec, N. S. Sariciftci, J. C. Hummelen, Adv. Funct. Mater. 11(2001) 15.
J. Y. Kim, K. Lee, N. E. Coates, D. Moses, T.Q. Nguyen, M. Dante and A. J. Heeger, "Efficient Tandem Polymer solar Cells Fabricated by All-Solution Processing", Science, 317(5835), 222 (2007)
M. Drees, R. M. Davis and J. R. Heflin, "Improved morphology of polymer-fullerene photovoltaic devices with thermally induced concentration gradients", J. Appl. Phys, 97, 036103(2005)
H. Hoppe, T. Glatzel, M. Niggemann, W. Schwinger, F. Schaeffler, A. Hinsch, M. Chu. L. Steiner and N. S. Sariciftci, "Efficiency limiting morphological factors of MDMO-PPV:PCBM plastic solar cells", Thin Solid Films, 511-512, 587(2006)
H. Sirringhaus, P. J. Brown, R. H. Friend, M. M. Nielsen, K. Bechaard, B. M. W. Langeveld-Voss, A. J. H. Spiering, R. A. J. Janssen, E. W. Meijer, P. Herwig and D. M. de leeuw, "Two-dimensional charge transport in self-organized, high-mobility conjugated polymers", Nature, 401(6754), 685(1999).
G. Wang, J. Swensen, D. Moses and A. J. Heeger, "Increased mobility from regioregular poly(3-hexylthiophene) field-effect transistors", J. of Appl. Phys, 93, 6137 (2003).
Cugola, U. Giovanella, P.D. Gianvincenzo, F. Bertini, M. Catellani and S. Luzzati, "Thermal characterization and annealing effects of polythiophene/fullerene photoactive layers for solar cells", Thin Solid Films, 511-512, 489 (2006).
*윤*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태양전지 반사방지막 동향 논문! 입니다! 10페이지
    그중에서 이 보고서는 ARC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 볼 것이다. 2. ... 때문에 유기박막 태양전지는 재료가 저렴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아직은 고효율화가 ...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접 실험을 하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최신 발전기술이나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기태양전지 실험보고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