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와 전공계열 간 일반화 가능성 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6.10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4권 / 4호
저자명 : 박수미, 고장완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구
조적 관계의 전공계열별 일반화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교육개발
원 교수·학습의 질제고 전략 탐색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수도권 대규모 4년제 사립대
학에 재학하는 인문·사회·공학·자연계열의 1-4학년 재학생 4,4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다
변량분산분석, 구조회귀모델의 교차 타당성 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
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는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학계
열에서는 대학의 교육환경에 대한 학생 인식이 학습성과 증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문계열에서만 능동적 수업활동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whether
such relationships can be generalized by academic disciplin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data collected in the course of an exploratory study on improvement
strategy for learning process and quality of faculty and learning for Korean college
students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in 2014
were used. This study analyzed 4,423 students of four academic disciplines attending
four-year private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employed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ncerned variables were different by academic disciplines. Based on the total effect
on learning outcomes, college environmen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romotion of learning outcomes in engineering. In addition, active class activities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only in liberal art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eaching-learning mechanism can be different by academic field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tudy were elaborated in the main text, and related
implications for academy and policy were discuss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와 전공계열 간 일반화 가능성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