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어 증가 구문의 의미 혼동과 인지 양상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5.01
2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수록지정보 : 우리말연구 / 40권
저자명 : 김종휘

목차

1. 서론
2. 증가 구문의 의미 혼동
3. 의미 혼동의 인지 양상
4. 의미 혼동과 표현법
5. 마무리

한국어 초록

한국어 명사 ‘배(倍)’는 수 관형사의 선행 여부에 따라 의미가 구
분되는 의미 변동이 발생하며, ‘몇 배가 증가하다’ 등 한국어 배수 표현
역시 수량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 많은 혼동을 일으킨다.
한국어 배수 표현의 의미적 혼동은 언어적 현상으로서 기술 대상인 동시
에 사회적 소통의 문제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미 혼
동에 대한 실태와 더불어 의미적 소통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지 양상을 분
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증가 구문 ‘몇 배가 증가하다’를 대표적 사례로
선택하였다.
의미 혼동과 관련한 인지 양상의 분석은 정확한 표현법을 위한 사회적 합의의 단서가 될 수 있다. 한국어 사용자들이 보이는 의미 혼동에 대한 자
발적인 문법 지향성은 의미 혼동 현상에 대한 기술뿐 아니라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한 표현법 수립의 필요성을 반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증가 구문의 의미 혼동에 대한 문법성
인지와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은 그 구성에
특히 유의하여 시초 부분과 종결 부분 사이의 변화된 응답 행태를 중점적
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문법성 인지 여부를 반영하는 사용 행태의 변화는 응답
자 전체는 물론 특정 그룹들의 대비에서도 확연히 드러나 증가 구문에 대
한 문법성 인지 양상을 확인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증가 구문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확한 표현법으로서 몇 가지 예를 제시할
수 있었다.

영어 초록

The Korean noun ‘bae(배, multiple times)’ has meaning variants under the
condition of the existence of the adjective, and may well affect the occurrence of
the meaning confusion especially in the increment construction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concatenation of the multiplicational word ‘bae’ and the
increment verb ‘jeunggahada(증가하다, increase)’.
The meaning confusions observed in the multiplicational expressions are not to
be regarded as just a phenomenon to be described in linguistic researches but a
serious problem to be recognized and settled down by the native speakers and
linguists. With this regard, a increment construction is chosen to show the native
speakers' recognition of the meaning confusion and its changing phase through the
questioning items in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designed to arouse the native speakers' grammaticality and
thus to stimulate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 confusion or misunderstanding
mostly unnoticed in the daily usages of the constructions. Among the 30
questioning items in the questionnaire the first 3 items and the last 3 items together
play the most important roles to reveal the changing phase of the grammatical
recognition lying dormant in the native speakers' sub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he native
speakers are ready to conform to the grammatical formations that do not cause the
meaning confusions anyway in the structures. Backed up by the consequences of
the questionnaire, some expression modelling examples are offered for the purpose of the comparison and correction of the increment constructions, which may be of
some use to treat the meaning confusions in the contemporary Korean usag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어 증가 구문의 의미 혼동과 인지 양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