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발효 블루베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형 당뇨 C57/BL6J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현*
최초 등록일
2016.08.04
최종 저작일
2016.06
5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발효 블루베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형 당뇨 C57/BL6J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

2016년 8월 졸업논문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발효 블루베리 제조
2. 동물실험
2.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2.2 체중측정 및 식이효율
2.3 혈당검사
2.4 장기무게 비교
2.5 혈액화학적검사
2.6 통계처리

Ⅲ. 실험결과
3.1 체중변화 및 식이효율
3.2 혈당검사
3.2.1 포도당 내당검사 (Glucose tolerance test, GTT)
3.2.2 인슐린 내성검사 (Insulin tolerance test, ITT)
3.3 장기무게 비교
3.2.1 간무게
3.2.2 부고환주위 지방무게
3.4 총 콜레스테롤
3.5 LDL-콜레스테롤
3.6 HDL-콜레스테롤
3.7 당화혈색소(HbA1c)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요약

본문내용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습관 및 생활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현대인의 만성 질환도 증가하였다(1). 식습관의 변화는 식사 회수를 포함한 식사 패턴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식사패턴은 섭취양상을 변화시켜 증가시켰다. 특히 어린이와 성인에서 비만이 증가되었고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의 위험이 증가되었다(2,4).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1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사망원인 중 당뇨병이 5위를 차지한다. 2010년도에 비해 당뇨병 사망률은 감소하였으나 1999년에 사망원인은 6위 2010년에는 5위 2011년에 5위를 차지하고 있어 당뇨병은 한국인 주요 사망원인임을 알 수 있다(8). 2050년의 예상 당뇨병환자는 현재 대비 약 2배 수준인 591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당뇨병학회에서 밝혀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는 국민 보건상 큰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1).
당뇨병은 치료시 인슐린의 필요성에 따라 크게 제 1형 당뇨와 제 2형 당뇨로 나누어지는데, 제 1형 당뇨의 원인은 유전적으로 췌장의 β세포에서 인슐린의 분비가 극도로 감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주로 유아 및 청소년기에 발병한다. 반면에 제 2형 당뇨의 경우는 인슐린의 절대적인 부족보다는 비만증 등으로 인하여 근육이나 지방세포 등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둔화되어 당대사성장애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며, 전체 당뇨병의 90∼95%를 차지하고 있다(5). 당뇨병은 대사성 질환으로 간, 근육 그리고 지방 조직 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혈당의 이용이 감소하여 혈당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췌장의 β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못할 때 유발된다. 서양인의 경우 비만 등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 분비가 높은 고인슐린혈증을 나타내어 당뇨병으로의 진전은 늦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인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할 때 인슐린분비가 충분치 못해 혈청 인슐린 농도가 정상인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상태에서 당뇨병으로 진전된다.

참고 자료

Lee CM. 2013. Anti-diabetic activity of fucosterol and fucoxanthin. Master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Kerver JM, Yang EJ, Obayashi S, Bianchi L, Song WO. 2006. Meal and snackpatterns are associated with dietary intake of energy andnutrients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106(1) : 46-53
Jenkins DJ, Wolever TM, Vuksan V, Brighenti F, Cunnane SC, Rao AV, Jenkins AL, Buckley G, Patten R, Singer W. 1989. Nibbling versusgorging: metabolic advantages of increased meal frequency. N Engl J Med 321(14) : 929-934
Fabry P, Fodor J, Hejl Z, Geizerova H, Balcarova O. 1968. Meal frequency and ischaemic heart-disease. Lancet 2 : 190-191
WHO study Group. 1985. Dibetes mellitus. Technical Report Series 727:19
Kwon JH, Chang MJ, Seo HW, Lee JH, Min BS, Na MK, Kim JC, Woo M, Choi JS, Lee HK, Bae KH. 2008. Triterpenoids and a sterol from the stem-bark of Styrax japonica and their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y activities. Phytother Res 22 : 1303-1306
Park SM. 2007.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anti-diabetic functional foods. Food Sci Ind 40(2) : 46-58
Statistics Korea. 2011. Case of death statistics. p 6
Kim DJ. 2012. Summary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2. J Korean diabetes 13(1) : 7-14
Jang YS, Jeong JM. 2010.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7 : 1047-1053
Choi HR, Lee JH, Lee SJ, Lee MJ, Jeong JT, Lee TB. 2014.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4) : 489-497
TJ Montine, MD Neely, JF Quinn, MF Beal, WR Markesbery, LJ Roberts, JD Morrow. 2002. Lipid peroxidation in aging brain and Alzheimer's disease. Free Radic Biol Med 33(5) : 620-626
Kim JI, Kang MJ, Im JE, Seo YJ, Lee YM, Song JH, Lee JH, Kim ME. 2010. Effect of king oyster mushroom(Pleeurotus eryngii) on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in db/db mice. Food Sci Biotechnol 19 : 239-242
Yun WK, Bae HJ, Kim YJ, Kwon OJ, Im MH, Cho HD, Kim TW. 2014.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Coconopsis lanceolata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melioration in type 2 diabetes mouse model induced by high fat diet. Korean J Food Preserv. 21(1) : 107-113
Kim HJ, Chio SH, Chun BG, Kim DH. 2011. The role of adipose tissue vasculature in energy balance.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16:139-156
Kwag JS, Baek SH. 2003.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from Salvia miltorrhiza. Korean J Pharmacogn 34 : 293-296.
Son WR, Choi SW. 2013. Biological activity and analysis of α-glucosidase inhibitor from mulberry (Morus alba L.) wine. Korean J Food Preserv. 20(6) : 877-885
Kim JI, Yun SH, Son JY, Shin YE, Kang MK, Son YC, Lee MS, Kang IH, Lee SY, Park MY. 2010. Effect of blueberry intake on plasma and tissue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rats. J Living Culture Research. 24(2) : 53-63
O JY, Kang NL, Kang SW, Song HY, Kim HA, Hwang EY, Jeon Y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Blueberry. J KAIS 12 : 744-747
Kwon DI. 2016. http://www.hankookilbo.com/m/v/b675d5cbddcc4400b956905c24683d65. 2016.5.17.
Kim GY. 2001.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Korea Dictionary Reserch. Korea. pp 1268, 1731
Choi CS. 2011. http://old.ksbmb.or.kr/webzine3/webzine_img/2011_02_img/03.pdf. 2016.5.29.
Iwanicka Z, Glab E, Barg E. 2004.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disorders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Med Wieku Rozwoj 8(3 Pt 2) : 815-824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발효 블루베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형 당뇨 C57/BL6J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