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Remembering Disasters : the Resilience Approach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Remembering Disasters : the Resilience Approach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이론과 현장 / 14권
    · 저자명 : Antoine le Blanc

    목차

    Introduction
    I. Risk mismanagements and political ambiguities
    1. Misleading risk management and memory policies
    2. The political ambiguities of disaster memory
    II. Resilience, perception and memory
    1.Taking into account perception and complexity
    2. The “positive” side of resilience
    3. A different approach of scales, actors and territories
    III. Disaster resilience: from theory to practice
    1. Memory as a complex system of links between people and territories
    2. The memory of disasters
    3. An example: preserving urban ruins
    4. Urban resilience and oblivion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paradigm of disaster resilience may help reorienting urban planning policies in order to mitigate various types of risks, thanks to carefully thought action on heritage and conservation practices. Resilience is defined as the “capacity of a social system to proactively adapt to and recover from disturbances that are perceived within the system to fall outside the range of normal and expected disturbances.”1 It relies greatly on risk perception2 and the memory of catastrophes. States, regions, municipalities, have been giving territorial materiality to collective memory for centuries,3 but this trend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4 This is particularly true regarding the memory of disasters: for example, important traces of catastrophes such as urban ruins have been preserved, because they were supposed to maintain some awareness and hence foster urban resilience – Berlin’s Gedächtniskirche is a well-known example of this policy.5 Yet, in spite of preserved traces of catastrophes and various warnings and heritage policies, there are countless examples of risk mismanagement and urban tragedies. Using resilience as a guiding concept might change the results of these failed risk mitigation policies and irrelevant disaster memory processes. Indeed, the concept of resilience deals with the complexity of temporal and spatial scales, and with partly emotional and qualitative processes, so that this approach fits the issues of urban memory management. Resilience might help underlining the complexity and the subtlety of remembrance messages, and lead to alternative paths better adapted to the diversity of risks, places and actors. However, when it is given territorial materiality, memory is almost always symbolically and politically framed and interpreted; Vale and Campanella had already outlined this political aspect of remembrance and resilience as a discourse.6 Resilience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are not ideologically neutral, but urban risk mitigation may come at that pri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