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근대화 과정에서의 무속과 공동체문화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1.05
최종 저작일
2005.01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저자명 : 이용범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근대화 이전의 무속
3. 무속의 변화양상
4. 맺음말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지역공동체 문화와 관련시켜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한국무속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화 이전 한국인의 삶과 문화는 매우 지역 의존적이었다. 이는
무속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무당의 정체성, 무당들의 상호관계, 무당의 활동범
위와 일반 사람들과의 관계, 무속의례의 절차와 연행방식, 무속의 전승 등 무속의
거의 모든 것이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무속은 그것이 속
해있는 지역공동체와 그 문화에 의해 많은 부분이 설명된다.
그러나 근대화와 함께 지역공동체와 그 문화가 해체되거나 약화되고, 당연하게
지역공동체 및 그 문화를 기반으로 존재하였던 무속에도 일정한 변화가 일어난다.
이 글은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무속의 변화를 바로 무속과 지역공동체 및 그 문화
와의 관계 변화의 맥락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다시말해 한국무속은 지역공동체의
맥락속에서 존재하다가 근대화와 함께 그러한 지역성의 맥락에서 벗어난다는 전제
를 가지고 근대 한국무속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런 전제하에, 이 글은 먼저 근대화 이전 지역공동체를 토대로 한 무속의 모습
을 살펴보고, 근대화 이후 한국사회에 나타난 무속의 변화양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
럼으로써 결국 근대화 이후 한국무속의 변화를 지역성의 탈피라는 큰 틀에서 설명하
고자 한다. 근대화 이전이나 이후의 무속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무속의 종교전문가
인 무당, 굿을 중심으로 한 무속의 의례, 무당과 그 신봉자들로 이뤄진 단골제도의
세 부분으로 나눠서 서술하고 있다.
현재 한국무속은 그 기반인 지역 공동체와 공동체 문화의 해체내지 약화에도 불
구하고, 가신신앙이나 마을신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살아 움직이고 있다.
전통적인 지지기반인 공동체와 공동체 문화를 상실한 무속이 어떻게 생명력을 유지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나갈 지, 아울러 이러한 한국무속에 대해 어떤
관점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해야 될 지가 이후 한국무속 연구의 중요한 과제 가
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영어 초록

Before modernization the ways of life and culture of common
people were greatly dependent on their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The same situation was true of Korean
shamanism. The most parts of Korean shamanism, that is, the
identity of shaman, the processes and many features of
shamanism rituals might be defined by traditional local culture.
And the transmission of shamanism tradition were based on
traditional local community. So it is possible to explain many
aspects of Korean shamanism in connection with traditional
local community and its culture.
Under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Korean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and their culture were weakened or dissolved, and
it brought on many changes in Korean shamanism which were
highly dependent on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So this
paper intend to explain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shamanism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and their cul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shamanism's breakaway from local character and
community spirit. In other word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shamanism under
modernization on the presupposition that Korean shamanism
had been existed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local community
and along with modernization was out of the context of
traditional local community.
Concretely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three aspects
of Korean shamanism. First, the religious specialists of Korean
shamanism, that is Mudang(무당), second Korean shamanism
rituals, third the socio-religious organization of Korean
shamanism, that is Dangoljedo(단골제도).
As the result of such changes, Korean shamanism has lost its
local character and community spirit and come to be based on
individual human relations, not communal relations. Also in
shamanism rituals its ‘religious aspects’(namely, shaman's
spiritual, charismatic ability) are overemphasized in comparison
with its ‘cultural aspects’(namely, ritual music, dance, songs
and so on).
In spite of many changes, Korean shamanism is still alive in
Korean society. So it will be an important theme in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how to explain the vitality and the future
developments of Korean shamanism in modern Kore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국어국문학과 졸업논문 - 백석 시인에 대한 연구 22페이지
    이상 위에서 살펴 본 다섯 편의 시에서 마을 공동체의 민간신앙의 모습을 俗信 ... 있도록 한 것은 서구문학이 밀려오는 과정에서 우리 나름대로의 주체적이고 ...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에게 민간신앙, 무속신앙은 삶의 한 방식으로 뿌리깊게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근대화 과정에서의 무속과 공동체문화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