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PAT) 검사 반응 특성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10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4권 / 2호
저자명 : 이현정, 김선희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ree: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검사에서의 반응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임상현
장에서 객관적 심리검사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지방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233명에게 취업스트레스 척도, 자아존중감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와 PPAT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부실기재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222명의
전체 자료를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가 상위 30%(68명)에 해당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한 후, 이들을 자아
존중감의 평균을 기준으로 각각 상․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림의 형식적인 요소를 분석
하기 위하여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형식척도)를 채점 체계로 사용하였고, Contents
Scale(내용척도)를 통하여 그림의 내용적인 면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스트레스
가 높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PPAT검사의 형식척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내용
척도 중에서 ‘추정나이’, ‘사과나무의 색’, ‘환경과 세부묘사’ 항목들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PPAT검사는 취업 준비 등으로 바쁜 대학생들이 비교적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문제에 직면한 자신을
파악하고, 심리상태를 점검하며, 정서를 표현 및 탐색하고 돌볼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는 그림 검사로서
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ponsive characteristics which university students’
show in the drawings of the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find the
possibility of using ‘PPAT’ as a supplemental tool to enhance an objec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in clinical field. Two hundred twenty-two university students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he ‘Scale of
Employment Stress (SES),’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and drew a picture of
‘PPAT.’ The upper 30% respondents (N=68) of scale of employment stress were selected
among the 222 respondents, 11 false respondent excluded. The selected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based on the mean value of ‘RSES.’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was used as a scoring system to analyze formal factors of the
picture, and contents of the picture were treated through Contents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 employment stress subjects did not presented the differences on
the FEATS Scales according to their self-esteem levels. However, some items of Contents
Scale, such as ‘Approximate Age of Person,’ ‘Color of Apple Tree,’ and ‘Environmental
Detai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self-esteem level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PAT,’ a simple and low cost assessment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busy to prepare their future employment, may be of utility as a drawing test to
understand, inspect, explore and express university students’ mental stat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PAT) 검사 반응 특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