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6.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6권 / 2호
저자명 : 황여정, 김경근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학교교육의 성과는 객관적 지표인 학업성취도, 주관적 지표인 학생의 학교만족도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업성취도에 편중되어 있었고, 학교만
족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조방정
식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
한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만족도 제고방안을 모색하
고자 수행되었다. 데이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2003년도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
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교수학습만족도, 내재적 학습동기 등이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정의 사회경
제적 배경은 직접효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이를 능가하는 간접효과로 인해 총효과는 정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업성취도
나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 내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보다 세심한 관심이 기울여져야 하며, 특히 가
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이 관계 형성이나 학습동기 측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각별한
배려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Outcomes of schooling are divided into academic achievement as an objective result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s a subjective one. During the past years, however, the researches on outcomes
of schooling have laid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placing insufficient
emphasi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determinants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o
examine their causal relations and to try to find an effective way of raising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t used a sample from the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ative Level and
Actu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the Case of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3, and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onship among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instruction,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re positive factor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hile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satisfaction.
However, its positive indirect effect exceeds negative direct effect, so that its overall effect proves to
be positive.
These results imply that careful attention must be placed not only on cognitive aspects of
schooling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instruction but also on student's building up of social
relationships in school. In particular, speci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students from low class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classmates
nor from having constructive learning motivation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