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미술관 아카이브와 교육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4
2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박물관교육연구 / 11권
저자명 : 박상애

목차

Ⅰ. 서 론
Ⅱ. 미술관 아카이브
Ⅲ. 미술관 교육과 아카이브
Ⅳ. 결 론

한국어 초록

미술관 아카이브는 미술관의 기능 수행 과정에서 유기적으로 생성된 기록과 미술관의 미션에 맞추어 수집한 기록을 포함한다. 미술관 아카이브는 진본성, 계층성, 집합성을 지니고 있으며, 아카이브 본연의 가치인 정보적, 증거적, 본질적 가치 이외에도 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미술관 아카이브는 저자성이 배제된 사료로서 미술관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실물로 전시에 활용되기도 한다. 미술관 학술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미술관 아카이브는 미술관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시연계 교육, 학교연계 교육, 전문성 강화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교육 자료 및 교육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아카이브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제작한 교육 자료는 사실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정확성을 확보한다. 또한 아카이브를 활용한 교과 과정의 개발은 미술관과 외부기관의 관계성 강화에 기여한다. 아카이브를 교육 콘텐츠로 활용한다면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아카이브의 개념, 의의, 활용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카이브의 표준과 개발에 대한 워크숍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에의 활용을 통해 아카이브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정보적, 예술적 가치는 배가될 수 있다.

영어 초록

Art museum archives discussed in this article cover: 1) museum records which are organically created at art museums while museum functions performed; and 2) manuscript collections that art museums collect based on their mission, including personal papers, institutional records, and oral history. Having authenticity,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and collectiveness as its unique attributes, art museum archives have aesthetic value other than informational value, evidential value, intrinsic value, all of which are common values of general archives. As historical records without any authorial interpretation, art museum archives are used as primary sources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useum studies as well as art history. They are also presented as actual objects for museum exhibitions. Art museum archives are generally understood as research sources, and they also be functioned as educational resources for museum education programs and outreach programs, such as kids and family programs, teachers’ workshops, group tours, internship programs, lectures and talks, and among others. Educational materials produced based on archival materials contain factual information. Classroom materials developed among teachers and museum educators with archival materials would be understood as visual academic output of museum’s outreach activities. Also, archives itself would be main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which introduce the meaning and the practical use of archives to the public. Archival workshops discussing best practices could provide museum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in museum studies. Art museum archives would no longer be dead records as long as they are used for lively education and outreach program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미술관 아카이브와 교육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