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박물관 문화유물과 현대미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7.0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30권
저자명 : 김영길

목차

Ⅰ. 서론
Ⅱ. 박물관 문화유물의 해석적 접근
1. 오브제로서의 박물관 유물
2. 오브제의 미술사적 고찰
3. 해석적 측면의 박물관 오브제
Ⅲ. 박물관 문화유물과 현대미술의 상관관계
1. 박물관 디스플레이와 현대미술의 상관관계
2. 고고학적 절차와 현대미술의 상관관계
3. 박물관에 대한 현대미술의 도전적 개입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박물관 문화유물(artifact)이 갖는 독자성과 개별적 중요성(significance)은 미술의 영역에서 관람자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예술적 영감을 제공한다. 박물관 유물을 통한 다양한 미적체험은 예술가들의 동기부여와 창작력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박물관학적 미술경향(Museological art tendency)’이라고 일컫는 일련의 미술경향을 파생시켰다. 박물관학적 미술경향은 제임스 퍼트남(James Putnam, 2001: 7)이 그의 책 ‘예술과 문화유물: 매개체로서의 박물관(Art and Artifact: Museum as Medium)’에서 사용한 용어로서(“I have set out here to show an emerging Museological tendency in art which is matched by the use of the traditional museum as a site for artists' interventions”), “박물관 문화유물에 대한 미적체험을 통해 작가들이 각자 박물관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반 미술경향”을 지칭한다(김영길, 2006: 368).

영어 초록

This study purposes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museum artifact and
contemporary art considering the Museological art tendency which is matched by
the use of the traditional museum as a site for artists' intervention. The principles
followed by museums for ordering their collections have had a strong aesthetic
and conceptual influence on contemporary art practice. The establishment of
system of organization is as instinctive to human nature as is the accumulation
and collecting, and artists frequently imitate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creating
inventories and archives as part of a working process. In the using systems of
classification, display, archiving and storage, artists have been able to apply
Museological methods to both the production and the presentation of their work.
In the base of ontological meaning, museum has inevitably correlated with
art history. The metamorphic character of museum artifacts has influenced upon
the many artists, who are involved in the Museological art tendency as medium to
represent their own idea.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to museum, the Museological art tendency derives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museum artifact in its own way.
In this sense,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for the
hermeneutic approach to the museum artifact, this research is attempting to analyse
art history within the realm of object ar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object and museum artifact. Second,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se the
interaction of museum artifact with the contemporary art. Lastly, this paper is to
evolve the prospective tendency for the Museological aesthetic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박물관 문화유물과 현대미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