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이야기판의 전통과 문화론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12
4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저자명 : 천혜숙

목차


1. 머리말
2. 이야기판의 전통
3. 이야기판의 활성과 문화적 의미
4. 결어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야기판과 이야기문화는 오늘날에 이르러 크게 변화되었다. 농어촌 공동체 단위의 이야기 전승도 급속도로 망각일로에 있다. 첨단 매체의 출현이 그러한 변화를 더욱 추동한 면이 없지 않다. 따라서 농어촌의 설화 조사는 유능한 화자들이 ‘기억하고 있는’, 그러나 지금은 더 이상 구연하지 않게 된 이야기들을 캐내는 방식에서 여전히 머무르고 있다. 이 연구는 여러 유형의 공동체에서 이루어졌던 다양한 이야기판의 전통이 그 존재 의미를 상실해가고 있는 현실에서, 전통적 이야기판들의 활성(活性)을 가능하게 했던 인자(因子)들을 중심으로 이야기판의 문화적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과거에는 집안과 문중에서, 마을에서, 또는 마을을 벗어난 다양한 공간에서 이야기판이 활발하게 벌어졌다. 특히 공동체의 이야기판들은 그 구성원들의 만남과 소통의 공간이자, 공동체적 삶을 위한 유의미한 담론 생산의 공간이었다. 따라서 이야기판의 유무와 활성 여부는 곧 그 공동체 자체의 활성과 지속을 좌우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었다.
가문이나 마을 공동체의 이야기판에서는 내방한 빈객(賓客)이나 혼입(婚入)한 며느리들은 이방의 공간을 매개하는 활성인자로, 아이들은 시간과 세대를 이어주는 잠재적 활성인자로 특히 주목될 만하다. 그들이 각각 이야기의 지평을 넓히고 또 시간을 매개함으로써 공동체 의 이야기판은 역동적 담론 생산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조선조 가문 이야기판에 대한 기록들이 그러한 국면을 잘 보여준다. 조선조 사대부가의 이야기판은 친지와 동료를 넘어 신분이 낮은 평민이나 유랑 이야기꾼들에게까지 개방되었고, 또 집안의 아이들 세대까지 포괄하는 활성을 지님으로써, 궁극에는 새로운 시대의 전망을 담은 야담집(野談集)의 창출(創出)이 가능했던 것이다.
마을공동체에서도 내방객과 혼입여성, 그리고 아이들이 그 공동체의 이야기판을 활성화 하는 역할을 한 점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성별, 또래, 계층 등을 중심으로 복수의 이야기판들이 마실가기 공간의 구도로 이루어졌던 마을의 이야기 문화도 이제는 많이 달라졌다. 농어촌에서는 아이 울음소리가 사라졌고, 이촌(離村)의 행렬이 길어진 지 오래이다. 이러한 마 을의 공동화(空洞化)가 마을 이야기판의 부재를 초래했을 것으로 보인다. 후속세대인 아이들과 내방자를 통한 매개가 없으니 마을 이야기판의 활성이 쇠퇴되었을 것은 당연하다. 이야기판의 부재가 역(逆)으로 마을 공동체의 활성을 더욱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야기판이야말로 공동체의 정서적 구조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을 공동체를 벗어난 이야기판은 주로 사람과 물화가 교류하는 시정의 경계공간들-주점, 객사, 시장, 사찰 등-에서 이루어졌다. 이렇듯 불특정 다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한 완전히 열린 공간에서는 이야기꾼의 전문성이 이야기판의 활성을 유지하는 조건이 되었다. 조선 후기- 근대 이행기에 나타난 전문 이야기꾼의 존재는 이러한 이야기 문화의 산물이다. 근대 이후 이야기판의 변화를 읽기 위해서는 ‘전통적’ 전문 이야기꾼들의 이야기판이 근대적 공연무대로 승화되지 못한 배경과 아울러, 만담 장르를 전문으로 하는 ‘근대적’ 이야기꾼의 출현과 활동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에 와서 다양한 공동체들이 생겨나고 구술 이야기판이 다시 활성화되는 국면과, 첨단 사이버매체를 통한 새로운 이야기판의 도래에 대해서도 전망적 시각을 갖출 일이다.

영어 초록

Storytelling Parties(‘이야기판’) and their culture have had a major change recently. Even the transmission of narratives in the traditional communities such as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vanishing rapidly. The appearance of high-tech media has accelerated these changes in some aspects. Accordingly, even the fieldwork of folktal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remains in the stage of digging out the narratives that capable narrators just ‘remember’ but doesn’t naturally perform any more in the field. Today, the varieties of storytelling parties from all types of communities are losing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is study has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from which traditional storytelling parties have been invigorated and investigate the cultural principles.
In the past, storytelling parties occurred inside the household, a family, a village and various spaces outside of villages. Especially, storytelling parties of communities are both the space of members meeting up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space of producing significant discourses for communal life. In the storytelling parties of communities, guests, visitors, and daughters -in-law deserved attention as the active factor of introducing strange situations and children also deserved attention as a potential active factor for bridging times and generations. It was due to these people that the storytelling parties of communities could be a place for producing active discourse. The storytelling parties of the gentry in Joseon Dynasty opened up for commoners and a vagrant raconteur of the lower class as well as acquaintances and co-workers. In addition, since their storytelling parties also had an active trait including the younger generation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they could lead to the creation of an unofficial historical story book forecasting a new era.
The presence of a storytelling parties and its invigoration into the community could be a barometer indicating the activation and survival of the community. Today, the hollowing of farm and fishing villages isn’t disconnected with the absence of storytelling parties in the community. Babies in the farm and fishing villages are not being born any more and more young villagers are leaving the villages. The absence of mediators such as the children of subsequent generations and visitors led to the decline of storytelling parties and along with it, the vigor of the community also has weakened dramatically.
Storytelling parties outside communities usually occurred in the border space such as pubs, inns, markets, and temples where people and goods were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is completely open space targeting unspecific audience, the expertise of a raconteur was needed more. In this case, his expertise is in the assumption of sustaining the activation of storytelling parties. The existence of a professional raconteur appearing late in Joseon Dynasty
through modern times is the fruit of such a narrative culture. To recognize the changes of storytelling parties in modern times, we nee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storytelling parties of a ‘traditional’ professional raconteur failing to be sublimated into the modern performances on stage and along with it, the investigation of the activities of a ‘modern’ raconteur as an expert of ‘comic dialog’(‘만담’) also needs mention.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aspects of the appearance of various communities and the reactivation of storytelling parties in the present times and need to have forecasts for the advent of new storytelling parties through a highly technical cyber medium.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워드파일 대중 문화의 분석_대한민국의 문화, 어디까지가 우리나라 것이고, 어디까지가 남의 나라 것인가? 5페이지
    사진을 찍어, 조선의 여성을 미개한 여성, 성적인 여성으로 만들었다고 이야기한다 ... 잡고 앉아 있는 일본의 천황 모습은 프랑스 나폴레옹 황제의 일본식 번안판이라고 ... 조선의 왕가를 무너트린 일제는 아지노모토를 이용하여 조선의 전통 음식에 침투해
  • 파일확장자 현대 이야기판의 구연 양상과 구술문화적 의미 - 시합형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 (시합형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43페이지
    한국구비문학회 박현숙
  • 한글파일 [신학]에서의 가정(가정 구성원으로서의 에서의 장단점)(10p) 12페이지
    각 가정의 좋은 문화를 잘 넘겨줄 방법을 꾀해야 할 것입니다. Ⅴ. ... 건강한 가정은 가정의 문제를 피하지 않고, 그것을 발판으로 도약하려고 합니다 ... 에서의 이야기 ……………………………………… 1 Ⅱ.
  • 한글파일 중국 5세대 감독의 영화와 역사에 대한 고찰 - 영화 을 중심으로 17페이지
    가 외국영화제에서 큰 상을 받으면서 중국영화가 외국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 통하여 격변하는 사회에서 살아나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며 역사와 개인의 이야기를 ... “닭이 자라면 거위가 되고, 거위가 자라면 양이 되고, 양이 자라서 이야기
  • 한글파일 정화의 남해원정과 그 세계사적 의의 15페이지
    수준의 조선기술로 건조된 선박 62척에 총 27,800여 명을 데리고, 나침판과 ... 이준태,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이를 통해 동남아지역에 명의 우수한 문화와 풍습을 전파하고 동남아 및 주변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이야기판의 전통과 문화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