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과정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5
31P 미리보기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과정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0권 / 2호
    · 저자명 : 김미옥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갑
    작스러운 사고로 장애를 갖게 된 중도장애인 8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총 393개의 개념
    이 도출되었고, 이를 45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할 수 있었다. 중도장애인 레질리언
    스 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장애에 대해 모름’, ‘너무 아파 힘듦’, 심리적 고통으로
    ‘마음 안으로 숨어듦’인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으로는 ‘집에만 있어 무기력해지고’, 장애인정이
    어려워 ‘스스로 장벽을 쌓으며’, 장애에 대한 ‘사회적 장벽’으로 좌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장애유형, 장애정도, 성(gender), 장애획득시기, 중도장애 여부 등에 따라 레질리언스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중도장애인이 레질리언스를 갖게 되는 중심현상은 ‘긍정의 힘에 탄력이 붙음’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중재조건으로는 외적으로 가족, 친구, 주변사람, 제도의 지원을 통해 ‘혼자가 아님을 깨닫고’, 내적으로 종교의 힘과 모델링을 통하여 ‘변화의 의지와 삶의 목표를 가지고 내일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노력을 배가하고’, ‘직접 찾아보며’, ‘능동적으로 실행하기’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중도장애인들은 장애와 사회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삶의 ‘여유가 생기며’, 매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중도장애인 레질리언스 과정의 핵심범주는 ‘긍정의 힘을 믿으며 주도적으로 나의 삶 선택하기’이었으며, 이는 장애인 레질리언스에서 선택과 자기결정을 통한 주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정분석에서는 ‘고통’, ‘낯섬’, ‘성찰’, ‘일상’ 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이 단계들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역동적인 순환과정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유형은 존재성찰형, 진로개척형, 은근노력형, 적극실행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개인, 가족 및 친구, 사회 및 제도 차원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상황모형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실천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 이해를 구축하면서 그 과정 및 유형, 상황모형 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중도장애인 연구에 관한 이론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393 concepts on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45 sub-categories and 18 primary categories. In
    the paradigm model on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casual conditions included 'unawareness of disability before being
    disability', 'extreme pain', 'repressing psychological pain', and the contingent
    conditions were 'dis-empowerment by staying in home', 'isolation by himself
    with difficulty in accepting the disability', 'experience of frustration from social
    barriers with prejudice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ilience process could be dependent on the type and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the gender, and the length of time being disability. In spite of the
    casual and contingent conditions, the central way in which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acquire resilience was identified as 'enhancement of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The control conditions which accelerate or retard central
    phenomenon were 'the awareness of not being alone through family, friends,
    neighborhood and the social system' externally and 'finding purpose in life
    through religion and help from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ally. The
    action/interactional sequences enhanced the efforts, self searching and active
    acting, and as a result,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find comfort in life,
    participate in society and change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in society. The core
    categories of resilience process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 belief in
    affirmation and choice of life by initiative. In the process analysis, stages
    developed in the following: 'pain', 'strangeness', 'reflection', 'daily life'. This stage
    was more continuous and causal than discrete and complete. In this process, the
    types of resil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divided into 'existence
    reflection', 'course development', 'implicit endeavor', and 'active execution'. This
    study showed the details of the paradigm models, the process and type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grounded theory as well as theory construction and policy and clinical
    involvement on the stud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전